깊은숨
김혜나 지음 / 한겨레출판 / 202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여름 같았던 9월도 이제 막바지에 다다랐다.

혼자라면 차라리 어땠을까? 하는 막연한 생각이 들다가도 어느 정도의 불편을 감수할 수 있는 안정감과 사랑이라는 감정들과 혼자의 자유스러움이 비교가 될까?

한주의 시작인 월요일 예기치 못한 일정이 꼬임과 동시에 고민으로 한 시간을 허비하고 난 뒤 읽은 단편소설의 주인공에게 감정이입을 하고 나니 머리가 개운해졌다.

소설가 김혜나 작가님의 두 번째 소설집 <깊은숨>은 지나치면 잊힐 것 같지만 그 당시에는 계속 이어질 것 같은 감정들이 잘 느껴졌다.

<깊은숨>이라고 쓰여있었지만 나는 깊은 숲으로 보였다. 내 현재의 감정이 깊은 숲에 있는 것 같아서인지도,

몇 시간 전에 내가 고민했던 그 일들도 몇 년 뒤 생각도 안 나겠지라는 희망으로 7개의 이야기에 빠져들었다.

제목처럼 7개의 이야기 안에는 각기 다른 감정들로 의식적으로 깊은숨을 쉬어야지 하는 순간들이 나온다. 달콤 씁쓸한 순간들의 연속 그래서 여유를 갖고 천천히 읽고 싶었다.


처음 읽는 김혜나 작가님의 소설은 더 깊고 내밀하다는 느낌을 받았다. 분명 단편소설인데 장편을 읽는 감정이 계속 잔향이 남는 것 같이 여운이 계속 이어졌다.

맛으로 치면 달콤 쌉싸름한 오후의 홍차를 만나는 기분. 가을에 이보다 더 읽기 좋은 책이 있을까라는 생각이 마지막 페이지를 덮고 나서 났다.


책을 읽기 시작할 때 했던 고민도 잘 해결됐다. 어쩌면 2022년 9월은 김혜나 작가의 소설집 <깊은숨> 그리고 처음 가는 발라드 페스티벌 ‘발라당‘이 둘의 조합으로 나에게 오래 기억될 것 같다.

팬데믹의 낯선 느낌과 솔직한 고백들을 읽어서, 소설에서 이런 기분을 느낀 적은 처음인데 정말 신선한 채소를 만난 기분 좋은 차가움과 생생함이 좋았다.

(출판사 서포터즈로 도서를 제공받았으나, 개인의 주관적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백만 번의 상상 - 부산 개금동에서 뉴욕 카네기홀까지
김지윤 지음 / 다산북스 / 2022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금수저의 성공기가 아니다. 읽으면 읽을수록 나와 다르지 않았던 성장 배경에 그녀의 성공이 더 궁금해졌고 단숨에 마지막 페이지까지 읽어 나갔다. 그녀의 공연에서 소통처럼 글 또한 편안하게 다가왔다. 진심을 담은 간절했던 그녀의 행보가 나에게 동기부여가 됐고, 많은 핑계들은 부질없다는 생각이 들었다.
모르지 않았지만 다시 점검하는 마음으로 하나씩 행동으로 옮기고 싶어졌다.
그리고 언젠가는 꼭 피아니스트 김지윤 님의 콘서트에 가서 생생하게 느끼고 소통해야겠다는 바람이 생겼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머릿속이 복잡한가? 아니면 우울한가? 당장 기분 전환이 필요한가? 휴식이 필요한가? 조금 더 창의적으로 생각하고 싶은가? 그렇다면 지금 당장 밖으로 나가서 한번 걸어보자. 춤을 추거나 자전거를 타거나 등산을 하거나 수영을 하거나 상관없다. 지금 당신의 몸을 움직여라. 그리고그 활동을 매일 반복해서 실행해 보자.
물론 운동이 삶의 모든 문제를 해결해 주지는 않는다.
하지만 몸을 움직이는 노력은 결과적으로 내 삶을 긍정적으로 끌어갈 수 있게 도와주었다. 매일 몸을 움직이는 건 우리가 자신에게 할 수 있는 최고의 선물이자 최고의 투자다. - P23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말에는 우리의 생각과 감정과 행동을 변화시키는 엄청난 힘이 있다. 그렇게 메리의 눈부신 성장은 그가 부정적인생각을 입 밖으로 내뱉지 않음으로써 시작되었다. 우리는얼마나 자주 일상생활에서 우리 자신 혹은 다른 사람에게부정적인 말들을 하고 살고 있는가? 당신은 한 번이라도자신의 그런 부정적 말들을 되돌아본 적이 있는가? 우리는종종 자신이 하는 말을 지각하지 못할 때가 많다. 무의식적으로 독성이 강한 말들에 우리의 생각을 지배할 권한과 힘을 부여하고 있었던 것이다. - P19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럴 때 나는 ‘이틀의 법칙‘을 활용한다. 이 법칙은 하루는 건너뛸 수 있지만 이틀 연속은 건너뛰지 않는다는 규칙이다. 습관을 만들어 실천하고 싶지만 도저히 할 수 없는날에는 ‘오늘은 못 하지만 내일은 꼭 한다‘라고 자신과 약속하고 그다음 날에는 절대로 투정이나 변명을 허용하지않는다. - P14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