욱하는 성질 죽이기 - 행복하고 싶으면 분노를 조절하라!
로널드 T.포터 에프론 지음, 전승로 옮김 / 다연 / 2014년 10월
평점 :
품절


우리나라에서도 얼마 전에 이른바 삼단봉 사건도 있었고, 또 며칠 전에 뉴스를 보니 미국에서도 이른바 운전 중에 생기는 갈등 때문에 상대 운전자를 폭행하는 일이 잦아지고 있다는 소식이 들렸다. 게다가 우발적인 분노로 인해 살인을 저지를 만큼 심각한 사건들이 간간히 뉴스를 장식하고 있다. 이 책은 이처럼 과도한 분노로 제정신이 아닌 상태를 다각도로 분석하고 그 해결책을 제시하고 있다. 이 책에서 다루는 화는 영어 원제목처럼 "Rage", 또는 이 책의 본문에서 설명하는 데로 "Explosive Anger"이다. 이 책에서 이러한 상태는 주체할 수 없는 분노의 감정과 동시에 부분적으로 혹은 완전하게 이상적인 수준의 인지력, 자의식, 행동조절 능력을 상실했을 때 일어난다고 기술하고 있다. 이렇게 맹목적 분노를 표출한 사람은 나중에 당시의 일을 전혀 기억하지 못하거나 극히 일부만을 기억한다고 언급한다. 그리고 왜 이런 현상이 일어나는지 정답은 없지만 현재로서는 우리 뇌가 극도의 스트레스나 위협을 인지했을 때 나타나는 자기방어의 일환이라는 가설이 가장 지배적이라 설명하고 있다.

 

이러한 분노를 이 책에서는 돌발성 분노, 잠재적 분노, 생존성 분노. 체념성 분노, 수치심에서 비롯된 분노, 버림받음에서 비롯된 분노로 나누어 살펴보고 있으며, 그 원인은 뇌의 결함, 심리적 트라우마, 약물 남용, 부모의 잘못된 본보기, 욱하고 화를 폭발시켰을 때 발생하는 대가와 쾌감, 극심한 부끄러움이나 버림받았던 기억 등으로 언급하고 있다. 예를 들어, 욱하는 성질이 있는 사람들은 집중하려 할 때 전전두엽의 활동이 줄어드는 현상이 있거나 또는 너무 활발하게 움직이며, 좌측 측두엽이 비정상적으로 작동한다고 언급하고 있다. 또한 발륨 같은 벤조디아제핀 류의 약물을 처방 받아 복용하는 사람들 중에는 이른바 의원성 영향이라고 그 약의 복용 환자에게 갑자기 예기치 못한 분노가 발생한다고도 언급한다. 게다가 과도한 수치심을 더는 못 견뎌 하는 사람은 그것을 분노로 표출하기도 한다는 것이다. 이 책에서는 이러한 분노들을 어떻게 다스려야 하는지 정신건강 측면에서 다루고 있다.

 

그 첫 번째로 자신이 욱하는 성질을 이해하거나 설명하는 데 도움이 되는 내용을 적어보는 게 좋다고 한다. 그러면서 과거 있었던 비폭발 분노를 살펴보며 자신이 종종 어떻게 하여 돌발성 분노를 예방했는지 알아볼 수 있다고 한다. 또한 욱하는 성질이 폭발하기 시작했지만 일부라도 행동을 통제할 수 있을 때를 역시 상기해보라고 조언한다. 그리고 자신이 위험할 정도로 화가 난 상태임을 인정하고, 바보 같은 말이나 행동을 하기 전에 피하며, 분노가 사그라질 때까지 쉬었다가 자신을 화나게 한 상황으로 돌아가 문제를 합리적인 태도로 다루는 것을 연습하라고 말한다. 특히 체념성 분노 같은 경우 자신이 통제할 수 있는 것과 없는 것을 항상 분명히 하고, 자신이 상대방에게 헛된 기대를 품고 있었던 건 아닌지 자문해보라고 언급하고 있다. 그 밖에도 수치심과 분노의 연결 고리를 끊기 위한 방법은 오직 한가지뿐이라면서 자기 성격의 자기 공격적인 측면, 즉 자신이 수치스럽다고 하는 말을 들어주는 수 밖에 없다고도 이야기한다. 이 책을 통해 분노의 다양한 종류도 알 수 있었지만, 마음을 다스리는 다양한 방법을 알 수 있어서 좋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