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니볼 - 불공정한 게임을 승리로 이끄는 과학
마이클 루이스 지음, 윤동구 옮김, 송재우 감수 / 한즈미디어(한스미디어) / 2006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야구구단인 뉴욕 양키스, 뉴욕 메츠 그리고 일본의 요미우리, 우리나라 삼성의 공통점은 무엇일까? 바로 팀의 승리를 위해서는 막대한 거금을 가지고 훌륭한 선수들을  트레이드해 오거나 대어급 FA선수들을 무자비할 정도로 데려와 팀을 구성한다는 것이다. 그 틈에 팀의 미래를 짊어진 루키나 장래성이 보이는 유망주들은 폐기처분되듯 사라지고 만다. 약육강식 프로세계 단면을 보여주는 것이라 이성적으로 볼 수 있지만 과연 그것이 팀의 승리 그리고 챔피언되기까지 얼마나 도움이 될 것인가라는 자문해 본다면 그리 썩 좋은 평가를 받지 못할 것이다. 다시말해 최소한 비용으로 최대의 효과를 얻는다는 경제적 개념이 아닌 많이 투자하면 꼭 이기다는 무대포식 접근방법은 그 실효성 측면에서 다소 문제가 되는 듯하다. 특히, 통계와 과학을 야구에 도입해 특정 감독이나 선수들의 감이나 센스로 치부되어 불확실한 스포츠 경기로 치부되었던 운동에 혁신과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은 오클랜드 어슬레틱스와 그팀의 단장인 빌리 빈의 신기에 가까운 이야기는 우리에게 새로운 세상보기를 말해주고 있는 듯하다.

가난한 야구팀인 오클랜드가 나날이 치솟는 야구선수의 몸값에 대응하기란 힘들 것이다. 그들에게는 이름과 지명도가 아닌 과거와는 다른 기준과 통계를 가지고 접근하는 것만이 어쩔 수 없는 생존방법이었는지 모르지만 과거 야구의 흥미를 떨어뜨린다는 이유로 무시되었던 4구를 얻는 비율이나 출루율등으로 선수를 평가하는 새로운 접근방식은 정녕 승리를 위한 공식을 바로 이곳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헛길을 헤매고 있는 기존의 구단주와 감독 그리고 야구관계자들에게 큰 울림과 반성을 주었는지 모른다. '야구공은 둥글다는 말'로 불확실성과 예기치 못한 우연성으로 가득찬 야구경기에 데이타와 통계를 이용한 자료의 수집과 분석능력은 이제 야구를 단순 재미 이상의 호기심과 흥미를 유망시키는 경기를 발전시킨 것이다. 이것이 이루어지기까지 선구자적으로 <야구개요서>라는 책을 통해 야구에 신분석 기법을 도입한 빌제임스의 애정과 노력 그리고 수많은 아마추어 야구전문가들의 끊임없는 질문과 분석 그리고 의지가 아니었을까? 또한,  이것을 가상 야구경기에서만 이루어졌던 이론들을 실제 경기에 도입했던 빌리 빈 단장과 그의 조력자들의 굳은 신념과 실행이 아니었다면 소리없는 아우성에 불과했는지 모른다.

기존에 통계과 보수적인 야구관속에서 버려져있던 스캇 해티버그, 채드 브랫포드, 제레미 브라운등과 선수들은 빌리 빈 단장의 마술속에서 새롭게 부각되고 성장한 선수들이었다. 그들의 노력과 의지도 한 몫을 했지만 끝까지 자신의 신념과 판단으로 선수를 파악하고 활용했던 빌리 빈의 판단과 실행능력이 아닐런지? 이것은 어찌보면 과거 최고의 유망주였던 그의 경험에서 기인된 것은 아닌지? 자신을 최고의 선수로 판단했던 과거의 잘못된 관행과 습관에 철저히 벗어난 이성과 과학을 통한 선수의 발굴과 팜시스템의 운용과 관리는 동일리그에서 가장 낮은 연봉을 가지고 운영해도 가장 많은 승리를 거둔 팀으로 오클랜드를 만들었는지 모른다.

사실 그가 추구하는 야구는 재미없다. 사구, 출루율은 중요시 여기면서도 야구의 흥미와 전략의 하나인 도루와 번트 작전을 철저히 거부한다는 점. 어떤 구단보다 감독보다는 프런트 힘이 커서 제대로 감독의 역량과 의도가 펼쳐지지 못한다는 문제도 있지만 그가 미 야구계에서 일으켰던 센세이션 통계적 야구운영과 관리방식은 '스몰볼'이라는 개념으로 전구단에 새로운 깨달음을 주었고 이후 많은 구단에서 그의 의견과 주장들이 반영되고 있는 점만 봐도 그가 이룩한 업적은 사뭇 크다고 볼 수 있다. 그가 부자구단인 보스턴 단장으로 영전될 수 있었지만 끝내 포기했던 그가 꿈꾸고 희망했던 모든 여건과 희망들이 그곳에 있기때문은 아닐었을까? 굉장히 다혈적이고 직설적이면서도 철저히 냉정하면서도 이성적 판단을 하는 그의 모습이 다소 의아스럽지만 가난한 구단이 부자구단을 철저히 이겨버리는 짜릿한 재미와 흥미를 주는 그의 마술이 계속되기를 난 희망한다. 그래야 야구는 돈이 아니고 진짜 승부라는 생각이 들테니까 말이다. 마지막으로 작가가 그를 평가한 내용를 마지막으로 쓰면서 이 글을 마치고 싶다.

그는 이를테면 특별한 사고만을 담아두는 하나의 완벽한 容器와 같은 사람이다. 그리고 그가 담아두었던 사고들은 마치 오클랜드 선수들이 베이스 사이를 이동하듯이 오늘도 한 곳에서 다른 곳을 찾아 끝없이 이동하고 있다. 그런 사고를 덕분에 빌리 빈은 행동인이 될 수 있었고, 또 행동인이 되었기에 뚜렷한 업적도 이룰 수 있었다. 그는 그의 도움이 없었더라면 자신의 숨겨진 장점을 평생 알릴 기회가 없을 수도 있었던 선수들에게 삶의 구원자와도 같은 사람이다. 그리고 그의 사상으로부터 영향을 받은 선수들이 오늘도 그의 호의에 보답하고자 열심히 뛰고 있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부엉이 2006-08-17 20:0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핫~ 저도 이 책 읽고 있어요^^ 뒤늦게 야구에 푹빠져 있는데 이 책 읽고나서 야구가 더 좋아졌어요~!!

암리타 2006-08-17 22:3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 역시 그래요 넘 재밌게 본 책이예요 야구를 새롭게 이해하게 된 책이라고 할까요 님의 좋은 서평 기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