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사 - 단군에서 김두한까지 한홍구의 역사이야기 1
한홍구 지음 / 한겨레출판 / 2003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역사는 보는 관점에서 다르게 기술될 수 있다. 다시말해, 분명히 그 사건은 있었으나 보는 이의 관점이나 사고방식에 따라 엄청나게 다르게 기술될 수 있다는 것이다. 결과론적으로 보면 흑백 논리처럼 명확하게 규정지을 수 있을 것 같은 사건도 꼼꼼히 되새겨보면 어딘가 우리가 잘못 듣고, 이해하는 부분이 있다는 것이다. 특히, 과거의 역사들은 지배자나 승리자 입장에서 저술되다보니 특정 사건들을 자기 식으로 해석하고, 오도하는 문제점이 있다보니 하나하나 관련된 역사 저술서를 보면서 이해하는 것이 진정 역사를 이해하는 것이라고 했던 학창시절 선생님의 말씀이 생각나게 하는 책이었다.

인천상륙작전하면 생각나는 인물 맥아더 장군. 그는 6.25라는 민족간 전쟁에서 수세에 몰려있던 남한에게 전세를 역전시키는 계기를 만들어준 고마운 인물로 인천 앞바다에는 그의 동상이 있으며, 우리 국민의 존경을 한 몸에 받고 있는 사람이다. 하지만, 그가 당시  미대통령 트루먼에 의해 물러나지 않았다면 우리는 일본보다 몇배이상의 핵폭탄 전쟁에 휘말려 그 고통으로 고생했을지 모른다는 사실을 안다면 아마 분노할 것이다. 또, 모TV에서 일제시대 민족 정신이 가득한 의적으로 묘사된 김두한의 실상은 거의 그가 저지른 모든 일들이 자신의 세력과 이권을 위해 행해진 행위이며, 그역시 전후 진흙탕같은 정치판의 정치깡패로서 소모품처럼 쓰이다가 버려진 존재라면 그를 존경하고 추앙하는 우리의 어린 학생들은 어떠한 표정을 지을까? 우린 얼마나 심한 역사 왜곡속에 살고 있는지 이 책은 읽는 순간부터 경악스러움에 치를 떨게 만들었다.  

진정한 보수라고 주창하는 그들의 실상은 일제 말기 뿌리가 제대로 뽑히지 못한 채 철저한 실리와 모략에 의해 성장한 친일파들의 잔재들이며, 그들이 말하는 보수는 우리 한민족을 반공이라는 매커니즘에 의해 철저히 분리함으로써 자신의 죄과를 숨기려는 모략이었음을 이 책을 말하고 있다. 노덕술이라는 친일 악질 고문경찰이 남긴 잔재들이 경찰에게 고문과 폭력이 일반화된 관행처럼 만들어 버렸다면 우리의 제대로 역사인식과 이해가 얼마나 중요한지 이 책을 주장하고 있는 듯 했다.

이 책에서는 요즘도 유행하는 병영기피가 과거 조선시대부터 존재했으며 그역시 가진 자들의 논리에 이끌려 다니다 보니 모순이 가득한 제도로 남기게 되었고,  그 안좋은 씨앗들은 결국 현재의 병역 불평등을 일으키고 있다고 말하고 있다. 또한 북한에 의한 행해진 민간인 학살보다 더 심각하게 자행되었던 미군과 한국군, 경찰등의 민간인 학살에 대한 진상 규명 및 조사의 중요성을 역설하고 있다.

진정 역사에 대한 올바른 판단과 해결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어떤 일들이 일어나는지 일본과 독일의 역사인식을 보면서 알 수 있었을 것이다. 우리 역시 우리가 저지른 치부와 부끄러움에 대해서는 철저히 인정하고, 반성함으로써 다가오는 미래의 세대들에게는 더 큰 역사적 과오를 저지를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