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경
원성 글.그림 / 이레 / 1999년 8월
절판


절을 하면은



오체투지
내 온몸 땅에 맞땋아
정신마저도 가장 낮은 곳으로 나를 던집니다.


땅속 깊은 곳으로 묻힐지라도
님 앞에서라면 그럴 수 있습니다.


내 깊은 사모는
나를 잊은 투명함으로
벌거벗어 보일 수 있습니다.


어리석음은 한숨으로
망상은 구슬땀으로


나를 던져 버리 고요함으로
나를 다시 보게 됩니다.
나를 알게 됩니다.


세상을 모두 담을 수 있었던 그 큰 마음이
옹졸해진 땐 바늘 하나 꽂을 자리 하나 없는
마음이 되는 그런 나를 알게 됩니다.


내 안에 님과 같은 우주를 열어 보일 때
거기서 참 자유를 얻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120쪽

슬픔에게



슬픔이라 일컫는 그대여!
안녕하신가?


그대를 애타게 기다려 온 나는
가슴이 여린 사람인가 보오.


가끔씩은 그대와 함께
삶을 엮을 거라 생각은 했지만


고맙게도 너무 자주 찾아 주니
정말 반갑구려.


내 성숙의 키를 자라게 하는 그대는
착한 마음의 소유자인가 보오.


또다시 그대 내게로 가깝게 온다면
기꺼이
기꺼이
눈물을 준비하고
행복스레 맞이하리다.- 124쪽

나는 웃어야만 한다



나를 보고 기뻐하고
나를 느끼고 맑아지려 하고
나를 안고 위안을 삼고
나를 그리며 희망을 가지고
나를 품어 꿈꾸어 살고
나를 알고 열심히 정진하고
나를 생각하며 행복해지고
나를 간직하고 착한 일 하려는 사람을 위하여
나는 웃어야 한다.


병이 들어 아파도
며칠 밤을 새워 힘들고 피곤해도
슬퍼도, 외로워도, 괴로워도
참아야 한다. 버려야 한다.


나를 모르고
나를 잊은 이들을 위해서라도
나는 웃어야 한다.- 127쪽

나를 바라보기



알 수 없는 두려움에
나는 언제나 겁이 많다.
싸움을 하면 옹졸했고
시샘이 많아 욕심도 많았다.
잠이 많아 부지런하지도 않고
기억력이 없어서 공부도 못했다.
잘 참지도 못해 끈기도 없을뿐더러
마음이 약해 눈물이 많다.
누가 내 약점을 알까 봐 위선을 떨었고
잘난 체하려고 가식적이었다.
남의 말을 듣기 전에 내 말이 앞섰고
내 생각대로 해 버리는 고집쟁이였다.
욕망은 생각에서 지울 수 있지만
외로움은 견딜 수 없었다.


인간이 가질 수 있는 나쁜 것만 모조리 안고 있는
나를 보고, 나를 보고
나를 탄식한다.
나를 내보임으로써 집착을 버리고
나를 스스로 변화시키려는 방법을
나는 선택했다.


나약한 인간이라 인정하며
스스로를 기만하며 살고 싶지 않기에.- 128쪽

인연



우연이었다기보다는 인연이라 믿고 싶었습니다.
그렇지 않고서는 우리의 이야기를 해명할 수는 없습니다.


전생 쌓고 쌓은 숱한 날들을 거슬러 올라가야만
그 첫 만남을 축복할 수 있을 것입니다.


만약 우리가 헤어진다면
분명 나의 큰 잘못 때문일 겁니다.
그는 결코 나를 버리지 않기 때문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스스로 떠나야 하는 아픔으로 헤어질 것입니다.
애별리고愛別離苦 애별리고愛別離苦*
처절한 괴로움으로 더 이상 인연을 맺고 싶지 않을 것입니다.


*애별리고愛別離苦
부처님이 설한 8가지 인간이 가지는 고통 중의 하나.
생노병사 그리고 싫어하는 사람과 만나는 고통, 구한 것을 얻지 못하는 고통.
심신의 5가지 구성 요소로 인한 고통과 함께 사랑하는 이와 헤어지는 고통을 의미한다.- 145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