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은 본디 귀신을 위한 음식이었다고 한다. 따라서 산사람의 경우는 음복(飮福)이라 하여 귀신에게 먼저 베푼 술을 일정한 의례가 끝난 뒤에 나누어 마시는 관습이 있었다. 우리나라 전통술은 크게 세 가지로 나뉘는데, 탁주(濁酒)·청주(淸酒)·소주(燒酒)가 그것이다. 탁주는 예로부터 농사일을 하던 사람들이 많이 마신다 하여 ‘농주(農酒)’라고도 불렀고, 술을 빚은 뒤 바로 걸러 마신다 하여 ‘막걸리’, 그 빛깔이 희다고 하여 ‘백주(白酒)’, 술맛이 달다고 하여 ‘감주(甘酒)’로도 불렀다. 청주는 ‘약주(藥酒)’라고 불리는데, 탁주와 달리 빛깔이 투명하고 정성이 더 들어갔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으로 옛날부터 관혼상제(冠婚喪祭)의 의례용으로 가장 많이 쓰인 술이다. 소주는 고려 후기에 원나라를 통해 우리나라에 널리 보급되었고, 의례용으로 쓰이게 된 것은 조선에 들어와서 비롯하였다. 상례 때에는 처음 음식을 올리기 시작할 때부터 술을 따르고 음식을 바꿀 때에도 술을 치우지 않고 남겨 놓는다. 다만 아침과 저녁 제사 때 음식을 올릴 때에는 술잔을 치웠다가 밥을 올리고 나서 다시 술잔에 술을 가득 채워 올린다. 이 때 쓰이는 술은 대개 하룻밤 정도 숙성시킨 술을 쓴다고 한다. 또한 술이 마련되지 않았을 때에는 ‘현주(玄酒)’라고 하여 정화수를 올리기도 했다고 하는데, 이것이 관례가 되어 술과 함께 따로 올렸다고도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