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정비결은 토정 이지함의 점서입니다. 흙집에 살았다고 해서 이지함의 호가 토정입니다. 주역에 달통한 토정이 이지함식 점서를 만들었는데 그것이 토정비결입니다. 자세한 것은 아래를 보세요...

#
백과사전 내용

1
년 열두달의 신수를 판단하는 술서(術書)이다. 조선 후기부터 수백년간 정월 초승이면 으레 《토정비결》로 그 해 신수를 알아보는 일은, 조선 민간의 세시풍경이다. 그 내용은 기본적으로 주역의 괘로써 풀이한 것이지만 주역과는 많은 차이가 있다. 첫째, 《주역》의 괘는 64괘인데 이 책은 48괘로 16괘가 적으며, 둘째, 주역은 하나의 괘에 본상(本象)이 하나, 변상(變象)이 여섯, 도합 일곱 상으로 총 424개의 괘상인데, 이 《토정비결》은 144괘이다. 셋째, 괘를 만드는 방법도 연 · · ·시 중에서 생시가 제외된다는 점이다.

작괘법(作卦法)을 보면, 백단위(상괘), 십단위(중괘), 일단위(하괘)가 합해서 하나의 완성된 괘가 이루어진다.
백단위:나이와 해당년의 태세수(太歲數)를 합한 수를 8로 나눈 나머지 숫자이다. 이 때 만약 나머지가 없으면 8이 된다. 십단위:해당년의 생월(生月) 날자수(큰달이면 30, 작은달이면 29)와 월건수(月建數)를 합한 수를 6으로 나눈 나머지 수(6보다 작거나 같다)이다. 일단위:생일수와 일진수(日辰數)를 합한 수를 3으로 나눈 나머지 수(3보다 작거나 같은 수)가 된다. 이렇게 얻은 세 단위의 숫자대로 책에서 찾으면 맨 처음에는 괘상이라 해서 그 해 전체의 운수를 개설하는 말이 나오고 그 다음 월별 풀이가 나온다.

《토정비결》은 4언시구(四言詩句)로 이루어지고 그 밑에 한줄로 번역되어 읽기 쉽게 되었으며 다른 점서와 마찬가지로 비유와 상징적인 내용이 많다. “북쪽에서 목성을 가진 귀인이 와서 도와주리라” “꽃이 떨어지고 열매를 맺으니 귀한 아들을 낳으리라는 희망적인 구절이 많고, 좋지 않은 내용도이 달은 실물수(失物數)가 있으니 잃어버리지 않도록 조심하라” “화재수가 있으니 불을 조심하라는 식으로 되어 있어 경각심을 일깨워 주기 때문에 절망에 빠진 사람도 희망을 갖게 하고, 매사에 최선을 다하고 조심스럽게 생활을 하도록 독려한 것으로 평가된다.

#
다음 미디어 내용

조선시대 토정 이지함이 만든 토정비결에는 일년의 길흉화복을 미리 알아보고 적극적으로 한 해를 준비하는 지혜가 배어 있다.
토정비결은 144개의 괘로 이뤄지는데, 각 괘의 번호는 세 자리 수다.
백의 자리는 출생 연도를 기준으로 한 태세수(太歲數) 1부터 8까지의 수다.
십의 자리는 1부터 6까지인데 음력 출생 월을 기준으로 한 월건수(月建數)라 부른다.
마지막으로 일의 자리는 음력 출생 일을 기준으로 한 일진수(日辰數) 1부터 3까지의 수가 된다.
이 경우들을 모두 고려하면 8×6×3=144개의 괘가 만들어진다.
여기서 첫 번째 괘는 111이고 마지막 괘는 863이 된다.
태세수를 구하기 위해서는 신수를 알고자 하는 해의 10 12지에 대응되는 수를 만세력에서 찾아야 한다.
이 수에 나이를 더한 후 8로 나눴을 때의 나머지가 태세수다.
나머지가 0일 때는 8로 한다.
월건수는 출생한 달의 간지에 대응되는 수에 출생 월이 큰 달이면 30,  
작은 달이면 29를 더한 후 그 합을 6으로 나눈 나머지를 구한다.
마찬가지로 나머지가 0이면 6으로 한다.
일진수는 생일의 간지에 대응되는 수에 생일을 더한 후 그 합을 3으로 나누어 남는 수다. 나머지가 0이면 3으로 한다.
이렇게 구해진 세 자리 수를 토정비결 책에서 찾으면 1년의 전체적인 운세와 더불어 각 달의 신수를 알 수 있다.
'
사주팔자(四柱八字)'는 한 사람의 운명을 결정하는 것을 출생 연월일시의 네 가지로 보고, 연월일시 각각을 간지로 표현한 두 글자가 대응돼 모두 8글자가 되기 때문에 '사주팔자'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이에 반해 토정비결은 출생 연월일만 고려하기 때문에 말하자면 삼주(三柱)가 된다.
토정비결은 전근대적인 것으로 치부되면서도 현재까지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
괘를 찾는 방법이 수학적 원리를 이용해 체계적으로 표준화돼 있어, 누구든 어렵지 않게 찾을 수 있는 점도 연초의 관습으로 건재하는 한 요인이라 생각된다.

박경미 홍익대 교수 수학교육과

 

 
토정비결을 보는 방법은 두가지이다.

사람이 태어난 시간을 중심으로 우주만물과 어떤 관계인지 분석헤보는 시간적인 방법과 ,태어난 생명이 수시로 변하는 공간적 존재와 환경을 연관지어 보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시간적 관찰은 태어난 해()와 달(), (), ()간을 기본 기둥으로 보고 사주를 풀어나간다.
하루를 24()로 보고 자시(子時)가 지나면 축시(丑時),인시(寅時),묘시(卯時)로 자축인묘진사오미신유술해(子丑寅卯辰사午未申酉戌亥)는 동시에 12시각으로 변하게 되는 일관성이 있다.
본래의 12시각은 12시각으로 동시에 존재하며 이를 모두 144시각이라 생각했던 것이 토정비결의 원리라고 볼 수 있다.

양력은 1년이 365일이나 366일이지만, 음력은 평년은 354일이고 윤년은 384일로 되어 있다. 음력의 작은 달은 29일이고 큰 달은 30일인데 각각 6개월씩이니 모두 354일이 된다. 그러나 4년만에 한 번씩 윤달이 들되 큰 달이 30일이기 때문에
윤년은 1년이 384일이 된다. 그래서 1년 신수를 논하는 술사들은 모두 384괘로 풀이해야 옳다고 주장했으나, 토정비결은 시간의 변수를 채용하여 144괘로 정한 것이다.

토정비결은 태세(太歲), 월건(月建), 일진(日辰)을 숫자적으로 따져서 상중하의 세괘를 만들고, 이를 주역의 음양설에 비추어 인간의 1년 길흉화복(신수)을 설명하는 예언서로서 모두 144 7,056괘로 이루어져 있다.
토정비결은 또 주역의 64괘를 2괘씩 묶어 풀이의 기초로 삼고 있다.

토정비결은 일년의 신수를 팔괘(八卦)로 정한다.
팔괘는 하늘,,,,,,바람,천둥의 특성을 운명으로 연관지어 예지했던 것이다.
하늘의 건(),땅은 곤(),물은 감()산은 간(),불은 이(),못은 태(),천둥은 진(),바람은 손()으로 정한 것이다.

팔괘는 둘씩 겹치게 됨으로 두 괘가 만나서 변하는 획이 모두 여섯이다.이것을 육호라 한다.
또 그 육호중에 1년 신수마다 수시로 변하는 변수를 셋으로 보아
8괘인 8 6효인 6과 변수인 3을 곱하면 144괘가 나오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