땅굴에서 나온 임금

<서울·진관사>

고려 제5대 임금 경종이 승하하자 자매 왕비였던 헌애왕후와 헌정 왕후는 20대의 꽃 같은 젊은 나이에 눈물로 세월을 보냈다.


뛰어난 미모와 정결한 성격으로 왕의 총애를 독차지하던 헌정왕후는 성안(개경) 10대 사찰의 하나인 왕륜사 별궁으로 거처를 옮겨 관음기도를 하면서 허전한 마음을 달랬다.

부처님께 의지하여 살아오기 어느덧 10. 헌정왕후는 어느 날 불현듯 자신의 분신인 아들이나 딸이 하나 있었으면 얼마나 좋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내 이 무슨 망상인가. 아니야, 양자라도 하나 들일까.

이런 저런 생각이 꼬리를 물고 맴돌던 어느 날 밤, 헌정왕후는 송악산에 올라가 소변을 보는데 온 장안이 소변으로 인해 홍수가 지는 꿈을 꾸었다. 하도 이상하여 복술가를 찾아가 물었다. 왕비의 말을 다들은 복술가는 얼른 일어나 아홉 번 절을 하더니 말했다.

『매울 길몽입니다. 아기를 낳으면 나라를 통치할 큰 인물이 될 것입니다.

『나는 홀로 사는 몸인데 그 무슨 망발인가.

『아니옵니다. 이는 천지신명의 뜻이오니 거룩한 아드님을 낳을 징조입니다.

『그런 말 두번 다시 입 밖에 내지도 말게나.

그 무렵, 경종의 숙부이자 헌정왕후의 숙부인(고려왕실의 친족혼 풍습 때문임) 안종은 집 가까이 절에서 홀로 지내는 헌정왕후에게 간혹 선물을 보내느가 하면 집으로 초대하여 위로하곤 했다.

숙부의 친절에 감사하던 헌정왕후도 존경하는 마음에 호의를 품게되어 손수 수놓은 비단병풍을 답례 선물로 보냈다. 이러는 동안 두 사람은 정을 나누게 됐고 헌정왕후는 홀몸이 아니었다.

헌정왕후는 걱정 끝에 안종을 찾아가 송악산에서 소변 보던 꿈과 아기를 가질 무렵 관세음보살께서 맑은 구슬을 주시던 꿈 이야기를 하면서 멀리 섬으로 도망가 아기를 낳겠다고 상의했다.

『내 어찌 왕후를 멀리 보내고 살 수 있겠소. 더욱이 아기는 어떻게 하고….

이런 이야기를 엿들은 안종의 부인은 두 사람을 괘씸히 생각하여 안종의 방 앞에 섶나무를 쌓고 불을 질렀다. 이로 인해 소문이 퍼지게 되고 이 사실을 안 성종(헌정·헌애왕후의 친오빠)은 안종을 제주도로 귀양보냈다.

이 소식을 들은 헌정왕후는 그 자리에서 실신하여 가마에 실려오다 산기가 있어 그날 밤 옥동자를 분만하니 그가 바로 후일의 현종이다. 헌정왕후는 아기를 분만하고 다시는 일어나지 못했다.

한편 헌애왕후는 두 살된 왕자 송을 기르면서 별궁에서 쓸쓸한 나날을 보냈다. 본래 성품이 포악하고 음탕하여 동생 헌정왕후를 시기 질투하던 그녀는 외간 남자들에게 눈을 돌리던 차 간교하기로 소문난 외사촌 김치양과 정을 통하게 됐다.

왕자 송이 18세 되던 해에 성종은 갑자기 병을 얻어 세상을 떠났다.

그 뒤를 송이 이으니 그가 바로 목종이다. 목종이 왕위에 오르자 헌애 왕후는 정사를 돌보면서 천추전에 거처하니 「천추태후」라 불리었다.

태후와 놀아나던 김치양은 하늘 높은 줄 모르고 호화로움을 누리면서 부정을 저질렀다. 목종은 김치양을 내쫓고 싶었으나 어머니의 마음이 상할까 염려하여 실행치 못했다.

어느 날 태후는 거리낌없이 김치양의 아기를 낳고는 장차 왕위를 잇게 하려는 음모를 꾸몄다.

태후는 김치양가 모의하여 헌정왕후가 낳은 대량원군 순을 궁중에서 내쫓기로 했다. 이때 순은 나이 12세였다.

백모 태후가 시기하는 눈치를 채고 번화로운 궁중을 떠나 절에 가서 수도하기로 결심했다. 그는 궁중에 들어와 설법하는 스님을 따라 개경 남쪽에 있는 숭교사에 가서 머리를 깎고 입산출가했다.

대량군 스님이 남달리 총명하여 10년 공부를 3년에 마쳤다는 소문이 나돌자 태후는 늘 감시를 늦추지 않고 자객을 보내기도 했다. 그러나 직감 있는 스님의 경계로 여러 차례 화를 면한 대량군은 그곳을 떠나 삼각산의 조그만 암자로 들어갔다.

암자의 노스님 진관대사는 대량군이 읊은 시 한 수를 듣는 순간 그가 용상에 오를 큰 인물임을 알았다.

대량군의 행방을 뒤쫓던 태후는 마침내 삼각산 암자에 있다는 소문을 들었다.

대량군의 신변이 위험함을 느낀 진관대사는 산문 밖에 망보는 사람을 배치하는가 하면 수미단 밑에 땅굴을 파고는 그 안에 침대를 놓아 대량군을 기거케 했다.

대량군이 3년간의 땅굴생활을 하는 동안 조정은 어지러울 대로 어지러웠다. 왕은 궁중이 어수선하여 심장병에 걸렸고, 이 틈을 타서 김치야은 역적을 모의했다. 그러나 강조가 먼저 변란을 일으켰다. 그는 목종을 폐위시키고 대량군을 새 임금으로 모시기로 결심했다.

대량군 나이 18세 되던 어느 날.

『새 임금 맞이하니 신천지 열리고 새 일월이 밝아오네.

36각의 풍악소리가 울리면서 오색 깃발이 하늘을 뒤덮는 가운데 금··철보로 장식된 8인교 가마가 산문 밖에 멈췄다. 스님들은 정중하게 행차를 맞이했다.

『대량군 마마님을 모시러 왔습니다.

특명대사 김응인과 황보 유의는 진관대사에게 예를 올리고 찾아온 뜻을 말한 후 대군의 별당 앞에 국궁재배했다.

『대군마마! 대위를 이으시라는 어명을 받잡고 모시러 왔사옵니다.

『내 운명 기박하여 세상을 등진 몸, 일생을 조용히 보낼 것이니 어서 물러들 가시오.

하지만 대량군은 거듭 간청하는 특사의 뜻과 진관대사의 권유에 땅굴에서 나와 대궐로 향했다. 대군은 진관대사와 눈물로 작별하면서 자신이 거처하던 땅굴을 신혈이라 하고 절이름을 신혈사라 바꾸기를 청했다.

그 후 왕위에 오른 현종은 자신의 심기를 달래며 거닐던 신혈사 인근의 평탄한 터에 진관대사의 만년을 위해 크게 절을 세우게 하고 진관대사의 이름을 따서 진관사라 명했다. 그 후 마을 이름도 진관동이라 부르게 됐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