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하 - 은하를 분류하는 기준에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미국의 천문학자 허블의 분류 방법이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허블의 은하 분류 방법은 은하의 형태에 따른 분류법으로 나선은하, 막대나선은하, 타원은하, 불규칙은하로 나뉩니다.
  
<안드로메다은하. 나선은하>    <NGC1365. 막대나선은하>

 <M87. 타원은하>                      <대마젤란은하. 불규칙은하>

- 우리 은하

크기는 지름 10만 광년, 중심 두께 3,000 광년이며
옆에서 본 모습은 납작한 렌즈 모양이며

위에서 보면 바람개비 모양의 나선구조를 하고 있습니다.
우리 은하에는 대략 2천 억 개 정도의 별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그 중 하나인 태양은 은하 중심으로부터 약 3만 광년 떨어진 변두리에 위치해 있습니다 

- 여러 가지 은하

나선형은하[spiral galaxy] : 우리 은하와 같이 은하의 중심을 빠르게 회전하는 은하입니다.
나선형은하는 전체 은하의 3분의 1밖에 안되지만 가장 역동적이고 활발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죠.


우리 은하 외에도 우리에게 잘 알려진 안드로메다은하, 사냥개자리의 소용돌이은하, 삼각형자리의 바람개비은하 등은
대표적인 나선형은하입니다.


막대나선은하 [barred spiral galaxy] : 막대나선 은하는 그리 흔하게 관측되지 않는 은하로
막대 모양의 은하축 양끝에 나선팔이 나와 있는 은하입니다. NGC 1300은 이런 은하의 모습을 잘 대변해 주고 있습니다.  


타원은하 [elliptic galaxy] : 가장 흔하게 관측되는 타원은하(elliptic galaxy)가 있습니다.
타원은하에는 나선팔이 없고, 거의 원에 가까운 형태에서 이심률이 큰타원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모양을 하고 있습니다.
처녀자리의 은하단에 있는 M49은하는 이런 은하를 대표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불규칙은하 [irregular galaxy] : 이들은 불규칙한 모양을 하고 있는데 관측된 은하 중의 약 10%는 이 그룹에 속합니다.
큰곰자리의 M81은 대표적인 불규칙은하이지요.


렌즈상 은하 [Lenticular galaxy] : 나선 은하와 타원 은하의 중간형인 은하입니다.
볼록 렌즈처럼 생겨서 이렇게 이름이 붙었습니다.


상호작용 은하 [Interacting galaxy] : 다른 은하와 같이 이어져 있는 은하입니다. 대부분 은하 충돌로 인해 발생합니다.
대표적인 상호 작용 은하로는 생쥐 은하[Mice galaxy] NGC 5195[M51b]가 있습니다


폭발적 항성생성 은하 [Starburst galaxy] : 다른 은하에 비해 1년간 태어나는 별 수가 폭발적으로 많은 은하입니다.
2008년 발견된 123억 광년 떨어진 은하는 연간 4,000여개의 별이 태어난다고 합니다.


수천억 개의 별로 이루어진 은하는 서로 충돌하기도 합니다. 은하의 충돌은 우리 우주에서 볼 수 있는 가장 큰 사건일 거에요.
그러나 은하가 충돌한다고 해도 은하를 이루는 별들이 실제로 충돌하는 일은 거의 없습니다.

은하에는 많은 별들이 있지만 실제로 거의 대부분은 텅빈 공간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은하의 충돌이 아무 일 없이 그냥 스쳐지나가는 것으로 끝나지 않아요

은하의 충돌에는 두 은하 사이에 작용하는 커다란 만유인력의 상호작용이 뒤따릅니다.
이러한 상호작용은 전 은하가 관계된 물질의 파동을 만들고 이러한 물질의 파동에 의해 밀도가 높은 곳이 생겨
이런 곳을 중심으로 수많은 별이 한꺼번에 형성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안테나은하는 실제로 두 은하가 충돌하는 과정에 있는 은하이고, 이러한 은하 충돌에 의해 물질 파동이 만들어낸 별 탄생 고리가
커다랗게 둘러싸고 있는 것이 수레바퀴은하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