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정산과 고당할미전설 

금빛 물고기가 하늘로부터 내려와 논다는 금샘이 있는 금정산 최고 봉우리인 고당봉에는 평생을 불심으로 살다 죽은 한 화주보살의 이야기가 서려 있다.  
신라시대 때 의상대사가 창건한 범어사는 목조건물인데다가 잦은 화재에 시달렸다.  
그 첫 번째로 임진왜란을 만나 모든 건축물들이 잿더미로 변했다.  
동래성을 함락한 왜군들은 울산지방에 상륙한 부대와 합류하기 위해 길을 재촉하다 신라 이래 면면히 내려오던 화엄 10대 사찰인 범어사의 웅장한 기운을 그대로 둘 리가 만무했다.  
특히 대마도를 향해 선 고당봉 아래 왜군들의 침략을 방지하기 위한 상징적인 의미까지 지닌 범어사는 왜군들의 방화에 불타버렸다.  
이 때 밀양에 살던 화주보살은 범어사가 불탔다는 소식을 듣고 달려와서, 절을 잃고 망연자실한 스님들을 위해 동분서주하기 시작했다.  
전국을 돌며 시주를 받은 할머니는 스님들의 음식을 만들고 수발을 들면서 불가에 귀의하였다.
"내가 죽기 전에 우람했던 범어사가 다시 제모습을 찾을 수만 있다면. . ."
화주보살은 몸을 아끼지 않고 범어사 중건을 위해 전력을 기울였다.  

하루도 빠짐없이 시주를 해오는가 하면 절의 살림도 도맡아 꾸려나갔다.
"가난한 집에는 제사도 많다든가!"  

빈궁하기만 한 절 살림을 도맡아 꾸려가던 화주보살은 어느날 주지 스님께 조용한 유언을 남겼다.
"내가 죽으면 화장을 하고 저 높은 봉우리 아래에 고모선신(姑母善神)을 모시는 사당을 지어 고모제(姑母祭)를 지내 주면 금정산의 수호신으로 변해 범어사를 도우겠습니다."
평생을 범어사 재건을 위해 몸바쳐 살던 화주보살은 죽어서도 범어사를 보호하기를 소원했다.  

스님은 화주보살의 고귀한 뜻을 살려 그의 유언에 따라 고당봉에 사당을 지어 1년에 두 번씩 (음력 1 15, 5 5) 고당제를 지내게 되었다.  
그 후 화주보살의 유언처럼 범어사는 다시 중건하게 되었고 화엄의 대표적인 사찰로 자리잡았다. 이 때부터 이름을 얻지 못하던 금정산 제일봉은 화주보살의 거룩한 뜻을 기리기 위해 할미고에 집당을 사용해 고당봉으로 불리게 되었다.  
고당봉의 화주보살 사당은 고당약수터에서 고당봉으로 오르는 길로 가다 보면 왼쪽편 가파른 절벽사이에 초라하게 서 있다.
그 후 사당이 고당봉의 전경을 망치고 무녀들이 많이 드나들어 촛불로 인한 화재위험이 있다고 하여 헐었으나 그 때마다 범어사에 흉한 일이 생겼다고 한다.  

얼기설기 엮어져 있는 고당봉 바위틈 사당에 얽힌 이야기는 '범어사 서기궤유전' '산령축'에 나온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