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류나 이무기에서 화생된 영수(靈獸). '미르'라는 것은 우리 고유의 용을 나타내는 말이며 서양의 드래곤과는 생김이나 습성이 차이점을 보인다. 그 종류는 어룡, 닭의 모습과 유사한 계룡, 색깔에 따른 흑룡 백룡 청룡 적룡 황룡 등, 특기에 따라서는 독룡 명룡 화룡 등이 있다. 우리에게 있어서 용은 동물귀신 중에서는 그 어떤 것도 따를 수 없다고 알려져 있다. 그 평균적인 생김은 크고 긴 몸통에 비늘이 덮여 있으며 팔다리를 가지고 있다. 여우에게 여우구슬이 있다면 용에게는 여의주가 있어 신령함의 상징이 된다. 용이 부리는 조화는 물과 관계된 것으로 용이 물에서 하늘로 승천할 때는 언제나 상서로운 구름과 안개가 피어나 그 모습을 가리고 있으며 용이 하늘을 날 때는 바람과 구름을 동반하여 비를 내리게 한다. 그 울음소리는 우레와 같다. 용은 하늘과 물을 그 터전으로 하는데 산신령에게 백호가 따르는 것처럼 용신에게는 그 용들이 따른다. 모든 용들이 다 수신(水神)이나 신령이 되는 것은 아니다. 우리 나라 화생설에서는 이무기에서 비롯된 용이 대다수나 고대로 올라갈수록 잉어나 자라, 우렁이 등에서 비롯된 것이 많다. 

* 청룡 [ 靑龍·Chung Ryong ]
사신(四神) 중 방위상으로는 동쪽이다. 청룡은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동북아시아 문화권에 널리 퍼져있다. 머리에는 두 개의 뿔이 나있고 비늘과 더불어 전체적으로 푸른색을 띠며 팔다리와 같은 역할을 할 정도로 사지(四肢)가 발달해 있다. 동방의 수호신으로서 군의 깃발에는 청룡이 빠지지 않았다. 푸른색이 진할 경우 '흑룡'이라 불리기도 한다. 청룡은 그 진취적이고 개혁적인 성향으로 절대권력을 상징하는 황룡과 대적하는 것으로 묘사되기도 하는데, 우리의 민간에서는 백룡과 흑룡의 대치로도 다뤄진다. 청룡은 용 특유의 수신(水神)과 수호신의 특성과 함께, 외세에 대한 저항과 투쟁, 새로운 질서와 권력을 세우고자 하는 영웅, 희망과 봄을 상징해 진취적인 기운을 북돋우고 자손의 번창 등을 가져온다. 백제의 무왕의 화신도 이 청룡이다. 이십팔수 중 각(角)·항(亢)·저()·방(方)·심(心)·미(尾)·기(箕)를 일컫기도 하고 풍수지리설 중 좌청룡이라 하여 좌측의 뼈대를 이루는 산맥을 일컫기도 한다.
※《삼국유사》에는 용의 새끼인 교룡이 소개된다. 신라의 승려이자 술법가 혜통(惠通)이 당나라 공주에 붙은 병마 교룡 즉 용의 새끼를 쫓았는데 이에 원한을 품은 교룡이 혜통을 원망하여 신라에 가서 많은 인명을 해쳤다. 당나라에 간 정공(鄭恭)이 혜통에게 이 사실을 고하고 혜통은 귀국하여 교룡을 쫓아버렸다. 교룡은 정공을 원망하여 버드나무로 변해서 정공의 집 앞에서 자랐다. 용이 버드나무로 변하는 것은 거타지 설화에서도 등장한다. 

옥토끼 [ Moon Rabbit ] ― 달토끼
달에 살고 있는 동물 중에서 가장 유명하고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전세계적으로 등장한다. 옥토끼는 암수 한 쌍으로서 사람처럼 직립하여 손을 사용한다. 절구공이를 들고 뭔가를 연신 찧고 있는 것으로 묘사된다. 곡식을 찧은 일반의 절구공이가 아니라 약초를 짓이겨 선단으로 만들기 위한 약절구이다. 옥토끼가 만들고 있는 것은 무병과 불로장생을 누릴 수 있는 '선단(仙丹)'이다. 이처럼 옥토끼가 달에서 선단을 만드는 것은 신과 신선들이 지상의 사람들의 욕망이 미치지 않는 곳에 선단제조를 하기 위함이다. 신과 신선들은 모든 사람이 불로장생한다면 생명의 질서가 무너지기 때문에 달에 옥토끼 한 쌍을 파견해 선단을 제조하게 하였다. 옥토끼들은 교대로 혹은 같이 쉬지 않고 선단을 제조하고 인간세계로 내려오지는 않는다.  - 출처 네이버 지식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