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씨녀(薛氏女)는 신라 경주의 민가 여자로 비록 가난한 가문과 불운한 집안이었으나, 안색이 단정하고 행실을 잘 닦아 보는 사람마다 곱다고 하지 않는 사람이 없었다.
진평왕 때 설씨녀의 아버지는 나이가 많이 들어 정곡을 방위하는 당번으로 나가게 되었다.
그녀는 늙고 병들고 쇠약한 아버지를 차마 멀리 보낼 수 없었다.
그러나 자신은 여자의 몸이므로 함께 가서 모실 수 없음을 한탄하며 수심에 쌓여 있었다.
이때 사량부에 사는 소년 가실은 비록 집이 가난하고 또한 볼 모양이 없었지만 그 뜻을 수양한 곧은 남자였다.
그는 일찍부터 설씨녀를 좋아하였으나 감히 말을 하지 못하고 있었는데, 설씨녀의 노부가 종군한다는 말을 듣고 드디어 설씨녀를 찾아가서 말하기를,
"나는 비록 나약한 사람이지만 일찍부터 의지와 기개를 스스로 자부하고 있으니, 원컨대 불초한 몸이나 아버님의 병역을 대신하려 합니다."
설씨녀는 매우 기뻐하며 안으로 들어가서 이를 알리니, 그 아버지는 가실을 불러 말하기를,
"듣건대 그대는 늙은 내가 가는 것을 대신하겠다고 한다 하니 기쁘고 송구스러운 마음을 이기지 못하겠는데, 그대의 소원대로 은혜를 갚을 생각이다. 만약 그대가 어리석고 누추하다고 해서 버리지 않는다면 내 어린 딸을 아내로 맞으면 어떻겠는가?"
하니 가실은 두 번 절하며 말하기를,
"감히 바라지 못한 일이오나 그것은 저의 소원입니다."
하였다. 이에 가실은 물러나와 혼기를 청하니, 설씨녀는 말하였다.
"혼인이란 인륜 대사이므로 창졸히 할 수는 없습니다. 내 이미 마음을 허락하였으므로 죽는 한이 있더라고 이를 어기지 않을 것이오니, 원컨대 그대는 방어하는 곳으로 나갔다가 교대하고 돌아온 후 날을 가려 성례하더라도 늦지 않겠습니다."
하고 곧 거울을 꺼내 반을 갈라서 각각 한 조각씩을 나눠 가지며 말하였다.
"이것을 신표로 하는 것이오니 뒷날에는 마땅히 이를 합치기로 합시다."
가실에겐 한 마리의 말이 있었는데, 설씨녀에게 말하기를,
"이는 천하에 드문 말로 뒷날에 반드시 쓸 데가 있을 것이오. 지금 내가 간 다음에는 기를 사람이 없으니, 청컨대 이 말을 맡아서 기르도록 하시오."
하고 작별했다.
그런데 국가에서는 연고가 있어서 사람을 뽑아 보내어 교대시키지 못하였으므로 가실은 6년이나 머물러 돌아오지 아니하였다.
이에 설씨녀의 아버지는 딸에게 말하기를 가실은 3년을 기약하였는데 이미 그 날짜가 넘은 지금도 돌아오지 않으니, 다른 사람에게 시집가야 되겠다고 하니, 설씨녀는 말하기를,
"먼저 부친을 편안히 하기 위하여 억지로 가실과 약혼하였습니다. 가실은 이를 믿기 때문에 오랫동안 종군하여 굶주림과 추위에 고생하고 있습니다. 항차 적경에 임박하여 있으므로 손에 무기를 놓을 사이도 없고 호랑이 입 앞에 가까이 있는 것 같아서 늘 적에게 씹힐까 근심입니다. 그러나 그 신의를 저버리고 언약을 지키지 않는다면 어찌 인정이라 하겠습니까? 그러므로 감히 부친의 명령을 좇지 못하겠사오니 청컨대 두 번 다시 그런 말씀을 하지 않도록 하소서." 하였다.
그런데 그 아버지는 늙어 90세에 이르고, 또 그 딸의 나이가 차므로 배우가 없을까 염려하여 강제로라도 그를 시집보내려 하여 딸 몰래 마을 사람과 약혼을 하여 잔칫날을 정하고, 그 사람을 불러들이려 `하였다. 설씨녀는 굳게 이를 거절하여 도망하려다가 뜻을 이루지 못하고 외양간에 이르러 가실이 두고 간 말을 보고 크게 탄식하며 눈물을 흘리고 있었다.
이때 마침 가실이 돌아왔으나, 형상은 해골처럼 마르고 옷은 남루하여 집안 사람들은 그를 알아보지 못하고 딴 사람이라고 말하였다.
가실은 곧 앞으로 나아가서 몸에 지녔던 거울 조각을 던지니 설씨녀는 이를 받아들고 기쁨에 넘쳐 소리내어 우니, 그 부친과 집안 사람들도 기뻐하며 드디어 날을 가려 서로 결혼하고 백년 해로하였다. - 출처 네이버 지식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