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곰 한 마리가 기지개를 켜며 어슬렁어슬렁 강나루로 내려왔다. 목이 말라 물을 조금 마시자 배가 고팠다. 곰은 꼼짝 않고 물속을 노려봤다. 물고기 한 마리가 헤엄을 치고 있었다. 재빠른 동작으로 곰은 앞발을 들어 물고기를 탁 쳤다. 싱싱한 물고기를 먹으니 배가 불렀다. 곰은 느긋한 기분으로 앞을 바라보았다. 사람들이 배를 타고 고기를 잡고 있었다. 그들은 서로 다정해 보였다. 갑자기 곰은 외로운 생각이 들었다. 사람들 속에 어울리고 싶었다. 그 날 이후부터 곰은 연미산에 올라가서 자주 사람들을 바라보았다. 사람과 가까이 하고 싶었지만 곰이 다가가면 사람들은 혼비백산하여 달아나는 것이었다. 어느 날 사람들과 어울리고 싶다는 생각에 강가를 어슬렁거리던 곰은 금강 어귀까지 내려왔다. 한 어부가 혼자서 그물질을 하고 있었다. 곰은 어부를 뒤에서 덮쳐 자기가 사는 동굴로 등에 업고 갔다. 기절한 어부를 정성껏 간호한 곰은 어부가 깨어나자 부드러운 목소리로 말했다.>

단군설화에도 곰이 사람으로 변신하였다고 하였는데,·····

그러니까 이 곰은 수컷이 아니고 암놈이었던 모양이다. 어찌하여 사냥꾼에게 엄마· 아빠를 잃어버리고 쓸쓸하게 혼자되어, 동굴속에서 외롭게 사는 그런 처녀 곰이었던 것이다.

[저는 당신이 좋아요. 제발 저와 함께 살아주세요.]

[안됩니다. 가족들이 저를 기다릴 겁니다. 제발 보내 주신다면 이 은혜는 절대로 잊지 않겠습니다.]

<어부는 무섭고 놀라서 부들부들 떨면서 말했지만 곰은 어부를 절대로 돌려 보내주지 않았다. 나갈 때면 커다란 바위로 입구를 막고 어부를 도망칠 수 없게 해놓았다. 밖에 나가 돌아올 때면 산속 깊은 곳에 열려 있는 산열매와 벌꿀, 싱싱한 생선 등을 정성스럽게 준비 해다가 어부에게 먹게 했다. 어부는 곰의 정성에 감동하여 점점 정이 들었다. 어느덧 삼년의 세월이 흘렀다. 둘 사이에서 새끼 곰이 두 마리 태어났다.>

말하자면 사냥을 할 때는 곰이 되고 동굴안에서 어부와 함께 있을 때는 여자로 둔갑했던 모양이다. 아무튼 한 동굴에서 3년이란 오랜 세월을 살다보니 정이 들었고, 곰의 사랑요구에 어부도 결국에는 응하여 부부의 연을 맺고 자식까지 낳았던 것이다. 그렇다면 반인반수(半人半獸), 즉 반은 사람이고 반은 곰이어야 할 터인데, 어째서 곰을 닮은 새끼를 낳은 것일까? 전설이니 그냥 넘어가기로 한다.

<곰은 이제는 어부가 도망가지 않으리라 생각하고 동굴 입구를 막지 않고 나다녔다. 어부는 오랜만에 동굴 밖으로 나갈 수가 있었다.>

곰은 아이까지 낳고 이젠 행복하게 살고 있었으므로, 어부가 도망을 가지 않으리라 생각하고는 동굴입구를 막지 않은 채 사냥을 나갔다. 과연 어부가 곰인 줄 눈치를 못 채고 도망을 가지 않았을까? 이때에 어부가 동굴 밖으로 나왔는데,

<오랜만에 바깥세상을 보니 감개가 무량했다. 멀리 강에서 배를 타고 고기를 잡는 사람들이 보였다. 어부는 그 동안 그리웠던 고향집과 부모님이 생각났다. 주위를 살펴보았다. 그런데 저만치서 무엇인가 움직이는 것이 보여 자세히 살펴보았다. 곰이 여자로 둔갑하여 동굴쪽으로 오는 것이었다.>

이 둔갑한 여자가 한 동굴에서 어부와 부부의 연을 맺고 사는 곰이었던 것이다.

<어부는 놀라 허겁지겁 동굴을 빠져나와 달려서, 강나루에 있는 빈 배에 올라탔다. 죽을힘을 다해 노를 저었다. 곰은 즐거운 마음으로 먹을 것을 마련해 가지고 오다가 어부가 배를 타고 도망가는 것을 보았다. 곰은 동굴로 재빨리 돌아가 새끼 곰을 안고 강나루로 왔다.>

[여보! 가지 마세요. 제발 돌아오세요. 당신이 떠나버리면 우리는 희망을 잃게 됩니다.]

<곰이 아무리 소리쳐 불러도 어부는 정신없이 노를 저어 앞으로 갈 뿐이었다. 곰은 너무 허탈했다. 곧이어 사람에 대한 증오와 분노가 치밀었다.>

[그 동안 그토록 정성을 기울여 보살폈고 새끼까지 낳고 살아왔는데 도망을 가다니, 내가 죽어서라도 반드시 인간들에게 저주를 할 것이다.]

<곰은 새끼 곰을 껴안고 강물에 몸을 던졌다. 자살을 한 것이었다. 그 이후부터 그곳에는 풍랑이 쉬지 않고 일어 사람들과 배를 집어삼켰다. 마을 사람들은 인간에게 배신당한 곰의 원한이 서려 그런 것이니, 곰의 넋을 달래기 위한 사당을 지어야 한다고 의견을 모았다. 웅신당(熊神堂)이란 사당이 세워지고 매년 제사를 지낸 후에서야 물결이 가라앉았고, 그 때로부터 이곳을 곰나루라고 부르게 되었다. 공주박물관에 가보면 돌곰이 전시되어있는데 1975년 곰나루 사당터에서 발굴된 것이다>

글쎄? 곰과 사람이 사랑을 맺었다니 매우 흥미로운 전설인데, 단군신화에 나오는 웅녀와는 달리 이 곰의 이야기는 사랑에 실패하여 인간에 저주를 품고 자살하였다는 그런 이야기다.

만약 이 곰도 단군신화에 나오는 웅녀처럼 쑥과 마늘을 먹었다면 이야기의 결말은 해피엔딩으로 끝났을 것이라고 생각해 보는 것이다. 그런데 특이한 것은 전설에 나오는 곰은 왜 다 여자로 등장하는 것일까? 곰에 대한 이야기는 간간이 있지만 아직까지 남자 곰으로 잉태된 전설은 듣지 못했다.  - 출처 네이버 지식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