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마복산과 정걸병사 

고흥에서 가장 내실 있는 정통 혈을 지니고 있는 숨은 산의 하나가 포두면 차동마을 주변에 길게 늘어서 있는 마복산이다. 538m의 이 산은 화강암질 바위가 산 전체를 감싸고 있어 외관상으로는 별 볼 것 없이 느껴진다. 그러나 이산은 그 이름처럼 한 마리의 말이 도약을 위해 웅크리고 있는 명산중의 명산이다. 산세도 거대한 바위 하나가 아니라 조그마한 바위들이 각각의 기를 흡입하고 있어 명혈이 뻗어 간직돼 있음을 한눈에 알 수 있다는 곳이다.

특히 마복산은 동쪽으로 팔영산 남쪽으로 유주산 서쪽으로 천등산이 각각 서로를 옹하게 되어있어 산세의 연결에도 흠잡을 때가 없다.

또 산봉우리가 첩첩히 늘어서 있고 기암괴석이 많아 세칭 소개골산이라 불리어 왔다고 한다.

이 마복산의 혈은 과연 어디쯤 맺혀 있을까?

포두면 세동재에서 보면 마복산의 형상은 마치 우람한 말이 건장한 체구를 자랑하듯 웅크리고 있는 모습으로 나타난다.

가장 특징적인 것은 말이 목을 쳐들고 하늘을 향해 포효하는 듯한 인상을 주고 있는 것이다. 더 자세히 살펴보면 말의 목 부위에 돌기(돌출)된 바위들이 유별나게 한곳으로 그 기운을 모으고 있는 지점이 보인다. 말하자면 좌청룡, 우백호의 바위 줄기들이 타원형으로 혈을 감싸고 있는 것을 쉽게 알아차릴 수가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지사들의 풍수학 용어로 천마신풍의 대혈 즉 천마가 바람처럼 날면서 포효하고 있다는 대혈중의 대혈이 있다는 것이다. 산의 바람처럼 날면서 포효하고 있다는 대혈중의 대혈이 있다는 것이다. 산의 형세에 따른 대혈이 있다고 하나 어떻든 지금으로부터 약 4백여 년 전 임정양난 때 왜선이 상포 항으로 침범하여 육상하려 하였으나 동남으로 뻗어 있는 이 마복산의 산세가 마치 수천마리의 군마가 매복해 있는 것처럼 보여 왜놈들이 겁먹고 과연 상륙을 꺼리며 일시 퇴진 했다는 전설이 지금도 전해오고 있다.

이때 이순신 장군의 휘하에서 해전을 승리로 이끌었던 본면 출신의 팔십 노병 정걸병사의 유적과 사당이 안동 마을에 남아있다.
그리고 포두면 길두리 후동 하천가에 금의환향한 정걸 병사의 기념식수 칠인정이 있어 유명했는데 현존하는 느티나무 세 그루가 정걸병사의 사적을 대변하고 있다.

다시 세동고개를 넘으면서 고당마을을 지나 도화면의 옛터(동백마을)도화현 터가 눈앞에 전개된다. 도화면 발포 리는 역사적으로 수군만호진영이 있던 곳으로 이순신 장군이 처음 발포만호로 머무신 유서 깊은 곳이다.

이곳 발포 리의 수군요새지의 진영은 저 멀리 펼쳐있는 활개바위를 수문장으로 발포포구를 지켜왔으며 특히 이순신 장군이 중요시 하는 요새로 임난 때 왜군의 군항 상륙을 철저히 복쇄했던 비밀요새지다. 이곳 활개바위 부근이 일본 군항 상륙을 철저히 봉쇄했던 비밀요새지다. 이곳 활개바위 부근이 일본 군항 또는 병선들이 자유자재로 접안 할 수 있는 수심이 깊은 해안으로서 그 통로를 차단하는 비밀장소였음을 짐작할 수 있다.

지금도 이 활개바위에 부딪치는 파도소리는 마치 이순신장군의 호령소리로 들리는 듯 하며 임진란과 정유재란 3년 동안 발포만호로 재직한 황정록 만호 부인 여산 송씨 여사와 아이들이 아버지의 전사 통지를 받고 우암 절벽에서 투강 자살한 슬픔과 한을 대신해서 수천마리 왜가리 떼가 동녕 산에 매년 찾아들어 창공을 날면서 조의를 한다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