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세기 경 스코틀랜드의 마아치 백작의 딸 엘리사베스는 로버트3세의 아들이며, 장차 왕이 될 사람과 강제로 약혼을 하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엘리사베스에게는 이미 사랑하는 청년이 있었습니다.
그녀의 마음이 변치않고 애인에게 있음을 알자, 부모들은 그녀를 성 안에 가두어 버리고 말았습니다.
장차 왕과의 결혼을 거부하는 딸이 미워졌던 것입니다.
이렇게 되자 청년은 음유시인, 즉 노래를 읊으며 떠돌아다니는 방랑시인으로 변장을 해가지고 매일같이 엘리사베스가 감금되어 있는 성으로 가서 성의 창 밑에서 함께 도망치자는 뜻을 시로 전했습니다.
두 젊은이는 스토크꽃을 몹시 좋아하고 있었으며, 스토크는 그들의 상징이라고 할 정도였습니다.
그리하여 어느 날 엘리사베스는 신호로 한 송이의 스토크를 창 밑으로 던져 도망치자는 애인의 뜻에 동의했습니다. 그녀는 마침내 높은 성벽을 밧줄을 타고 내려왔습니다.
그러나 그만 실수하여 그 어마어마하게 높은 성벽에서 땅으로 떨어졌으며, 어이없이 죽어 버리고 말았습니다.
애인을 잃은 청년은 방랑시인이 되어 유럽을 헤매었으며, 이 스토크를 보면 엘리사베스의 생각이 나서 모자에 달고 다녔습니다.
그리하여 이 꽃은 "역경에도 변치 않는 정성"의 상징이 되었습니다

꽃말: 역경에도 변하지 않는 영원한 사랑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