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장인물 : 중봉선생(조헌),서당선생,예쁜 처녀(여우)
임진왜란 때 의병의 선봉장으로 왜군과 싸우다 7백 의사와 함께 장렬히 순국하신 중봉선생은 김포시 감정동에서 출생한 분이다.
이 분은 어려서 집은 가난했지만 글공부를 하고 싶어서 이웃 동네의 글방 에 다녔다.
서당에 가려면 도중에 여우재고개라는 고개를 넘어서 다녀야 하는데, 하루는 서당을 가느라고 이 고개를 넘어가는데 예쁜 처녀가 나타 나더니 중봉선생을 껴안고 입을 맞추었다.
그런 일이 있은 후로는 날마다 그 처녀가 나타나서 입을 맞추곤 했는데, 하루는 서당선생이 중봉선생을 보고서 너는 어째서 얼굴에 화색이 없고 병색이 되어 가느냐? 너 요새무슨 일이 생긴 게 아니냐?하고 물었다. 아니요, 아무 일도 없습니다. 저는 모르겠습니다 하고 중봉이 대답했다.
그러나 서당 선생은 재차 너 서당에 오는 도중에서 이상한 일을 당하지 않았느냐? 고 다그쳐 물었다.
이에 중봉이 예, 있었습니다. 서당에 오느라고 고개를 넘노라면 예쁜 처녀가 나타나서 강제로 입을 맞추곤 했습니다. 선생은 이 말을 듣고 그 처녀하고 입맞출 때, 그 처녀가 무슨 구슬같은 것을 네 입에다 넣었다가 다시 제 입으로 가져가지 않더냐?하고 물었다. 중봉이 그랬습니다고 하니까 선생은 여우가 둔갑한 처녀인데 그 여우가 네 정기를 빼앗아가느라고 그러는 것이다. 그러니 다음에 입을 맞추고 구슬을 네 입에 넣거든 입을 꽉 다물고 돌려주지 말고 거기서 쏜살같이 뛰어오너라하고 일렀다.
중봉은, 선생이 이른 대로 그 처녀가 입을 맞추고 넣어준 구슬을 입에 문채 처녀를 떠밀고는 달려 오려고 했다.
그랬더니 처녀는 중봉을 붙잡고 구슬을 도로 빼앗으려고 달려들었다.
중봉이 뺏기지 않으려고 둘이 한참 옥신각신 하다 중봉이 그 구슬을 삼켜 버렸다.
그랬더니 처녀는 흰여우로 변해서 슬피 울며 숲속으로 사라졌다.
그러고 나서, 중봉이 서당에 갔더니 선생이 그 구슬을 가져왔거든 내어놓으라고 했다. 중봉이 여우에게 그 구슬을 빼앗기지 않으려고 옥신각신하다가 삼켜 버렸습니다하고 말하니, 선생은 어허, 아까운 보배가 없어졌구나, 너는 그 구슬을 삼켰으니 지리는 환히알지만 천문은 모르게 될 것이다. 이렇게 말하고 그 처녀는 원래 여우인데 사람의 정기를 빼앗아 먹고 사람이 되려고 너한테 달려 들어서 네 정기를 빼앗아 먹던 중이었다. 그것이 안되어 여우로 되돌아간 것이다라고 말했다.
그 중봉이 자라 어른이 되었을 때, 통진 앞바다에 난데없이 대팻밥이 떠밀려오므로 사람들이 중봉선생께 무슨 징조인가 물었다.
중봉이 그것을 왜놈들이 우리 조선을 침략하려고 수 없이 배를 만드느라고 대패질 한 그 대팻밥이 우리 조선에까지 흘러와서 그렇다고 말했다.
중봉이 그 여우 구슬을 삼켰기 때문에 지상에서 일어나는 일은 모두 환히 알 수 있었던 것이다.
그후 몇 년안가서 아니나 다를까 왜구가 조선땅을 쳐들 어와서 온 나라가 잿더미 가 되고 말았다
- 출처 네이버 지식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