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
▷ 겨울에 눈이 많이 오면 보리 풍년이 든다
겨울에 눈이 많이 와서 보리를 푹 덮게 되면 보온이 되어 보리가 얼어죽거나 고사되는 일이 없어져 풍작을 이루게 된다.
▷ 겨울이 따뜻하고 봄이 추우면 흉년이 든다
겨울이 따뜻하면 보리가 웃자라게 되는데 웃자란 보리는 추위에 약해진다. 따라서 봄 날씨가 추워지면 보리가 동사하는 것이 많다. 흉년이 든다는 뜻이다.
▷ 겨울이 춥지 않으면 여름도 덥지 않다
겨울이 따뜻한 해는 대개 여름도 덥지 않다는 뜻.
▷ 눈 많이 오는 해는 풍년이 들고, 비 많이 오는 해는 흉년이 든다
눈이 많이 오면 그 눈이 녹으면서 지하로 깊이 스며들어 봄 가뭄에 도움이 되므로 풍년이 들고, 여름에 큰 장마가 들면 수해로 흉년이 든다는 뜻.
▷ 눈발이 잘면 춥다
겨울 눈발이 잘면 춥고, 눈발이 크면 날씨가 따뜻해진다. 눈은 상층대기의 온도분포에 따라 그 성질이 달라지기 때문에 온도가 낮을 때에는 가루눈이 내리고 온도가 높을 때에는 함박눈이 내리게 된다. 따라서 떡가루와 같이 눈발이 잘면 상층으로부터 한기가 가라앉기 때문에 추워질 징조라고 할 수 있다.
▷ 늦겨울에 안개가 끼면 해동비가 온다
여름에 안개가 끼면 날씨가 좋지만 늦겨울 안개에는 비가 온다는 뜻.
▷ 대한에 얼어죽는 사람은 없어도 소한에 얼어죽는 사람은 있다
이름으로 보아서는 소한보다 대한이 더 추울 것 같지만 실제로는 소한이 더 춥다.
▷ 동짓날이 추워야 풍년이 든다
동지부터는 본격적으로 겨울철이 시작되기 때문에 추워야 병해충이 얼어죽게 되므로 풍년이 든다는 뜻.
▷ 동지섣달에 북풍이 불면 병해충이 적다
병해충은 저온이 되면 월동률이 떨어진다. 북풍이 부는 것은 북쪽의 찬 기류가 통과하는 것이므로 기온이 떨어져도 열병이나 이화병충 등의 월동이 적어 다음해 병해충발생이 적다.
▷ 손님은 갈수록 좋고, 눈은 올수록 좋다
반가운 손님이라도 여러 날 묵게 되면 싫증이 나고, 눈은 많이 오면 보리가 풍년 들어 좋다는 뜻.
▷ 쥐구멍에 눈 들어가면 보리농사 흉년 된다
맥류 등 월동작물은 겨울에 눈이 온 뒤 그대로 쌓여 있으면 보온이 된다. 그러나 바람이 불어서 눈이 날려 조그만 쥐구멍으로 들어갈 정도라면 매우 강한 바람과 함께 춥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월동작물의 포장에 눈이 쌓여있지 않기 때문에 한해와 동해가 우려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 출처 네이버 지식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