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소자리는 겨울 저녁에 머리 바로 위에 보이는 별자리로 황도 12궁 중에서 두 번째에 해당한다. 동양에서는 이 별자리를 금우궁(金牛宮)으로 불렀다. 그리스 신화에서 황소자리는 제우스가 에우로페를 유괴할 때 변신한, 눈처럼 흰 소의 모습이라고 한다. 에로우페는 티로스의 아게노르왕과 텔레파사의 딸로서 카드모스, 킬릭스의 자매이다. 제우스는 자매 중 가장 아름다운 에우로페에게 마음이 끌려 하얀 수소로 변신하여 접근하였다. 처음에는 무서워했던 에우로페가 장난삼아 그 수소 등에 올라 타자 갑자기 수소는 달려서 바다를 건너 크레타섬에 상륙하였다. 나중에 그녀는 크레타섬의 아스테리온왕의 아내가 되었다. 수소는 황소자리가 되었으며 소를 타고 왔다는 지역은 그녀의 이름을 따서 유럽이 되었다고 한다. 황소자리에는 히아데스성단과 플레이아데스성단, 그리고 게성운이 있다. 히아데스성단은 황소의 얼굴 부분에 있으며 V자 모양을 하고 있다. 히아데스성단은 태양에 가장 가까운 성단으로 거리는 약 130광년이며 밝은 별 10여개는 맨눈으로 볼 수 있다. 이 중 가장 밝은 별은 태양 밝기의 40배 정도 되는 F형 별이다. 이 별의 질량은 태양의 2배 정도로, 수명은 태양의 1/20 5억년이다. 이 별은 주계열을 떠나 이미 노년기의 거성으로 진화하고 있는 사실로 짐작하면, 그 나이는 약 5억 년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히아데스는 그리스신화에 나오는 요정들로 '비를 내리는 딸들'을 뜻한다. 하늘을 떠받치고 있는 거인 아틀라스와 대양(大洋)의 신 오케아노스의 딸 아이트라 사이에서 태어났으며 이들의 이름은 암브로시아, 예우도라, 코로니스, 폴릭소, 디오네, 아이실레, 피토이다. 제우스의 부탁으로 어린 디오니소스(술의 신)를 맡았으나 제우스의 아내 헤라를 두려워하여 아이를 이노에게 다시 맡기고 하늘로 올라가 황소자리의 별이 되었다. 고대인들은 일출과 이별이 뜨는 시각이 일치할 때(61일무렵)부터 우기(雨期)가 시작된다고 믿었다. 히아데스성단 속에 붉은색을 띤 1등성 알데바란이 있다. 이 별은 황소자리 알파(α)별이며 아라비아어로 '뒤에 계속되는 것'이라는 뜻으로, 같은 황소자리에 있는 플레이아데스의 수행자를 의미한다. 겉보기등급은 0.86이며 지구에서의 거리는 70광년으로 히아데스성단보다 가까이에 있다. 스펙트럼형 K5인 표준적인 거성으로 표면온도는 3700K이다. 질량은 태양의 약 5, 반지름은 약 36배이다. 알데바란에는 광도 13.5의 어두운 동반성이 바깥쪽을 천천히 돌고 있는데 실시쌍성이다. 이 동반성의 스펙트럼형은 M2형인 왜성으로 표면온도는 3300K, 반지름은 태양의 반 정도이다. 플레이아데스성단은 황소의 어깨 부분에 해당한다. 황소자리의 뿔 끝 제타(ζ)별 근처에는 초신성 폭발의 잔해로서 유명한 게성운 M1이 있다. 자세한 위치는 여기를 참고하기 바란다. 황소자리에는 주계열성으로 진화하지 못한 별이 있다. 황소자리 T형 별이라고 불리는 이 변광성은 질량이 태양의 2배이고 반지름은 5배 정도이다. 수백만년 뒤 현재 크기의 1/3로 축소되어 중심부의 온도가 충분히 높아지면 수소가 핵융합반응을 시작하여 태양과 같은 주계열성이 된다.

마차부자리는 겨울하늘에 오각형모양으로 맨눈으로도 매우 뚜렷이 보이는 별자리이다. 옛 성도에는 마차부가 등에 어미염소를 업고 손에 두세 마리의 새끼염소를 안고 가는 모습으로 그려져 있다. 그리스신화에서 마차부는 아테네의 왕 에릭토니우스라고 한다. 그는 대장간의 신 헤파이스토스의 아들이라고 전해진다. 헤파이스토스와 마찬가지로 그도 절음발이었다. 그는 여신 아테네의 사랑을 받아 말을 길들이는 법을 배웠으며 아폴론의 태양마차를 보고 마차를 발명하였다. 그래서, 제우스는 그를 별자리로 만들어 주었다고 한다. 다른 이야기로는 마차부가 히폴리토스라는 설이 있다. 히폴리토스는 크레타 왕 테세우스와 아마존 여왕 히폴리테의 아들이다. 계모인 크레타 왕비 파이드라는 히폴리토스를 유혹하지만 거절당하자 앙심을 품고 히폴리토스가 자신을 욕되게 하였다고 거짓유서를 남기고 자살하였다. 유서를 읽은 테세우스왕은 크게 노하여 그를 추방하고 바다의 신 포세이돈으로 하여금 테세우스에게 저주를 내리게 하였다. 포세이돈은 사실확인도 하지 않고 히폴리토스가 마차를 타고 트로이 해안을 가고 있을 때 괴물 황소를 보냈다. 바다에서 뛰어나오는 황소를 본 말들이 놀라 무서운 속도로 도망쳤다. 그 때 마차바퀴가 나무뿌리에 걸려 떨어져 나갔다. 마차는 부서지고 히폴리토스는 죽고 말았다. 세 번째 설에는 마차부가 헤르메스의 아들 미르틸로스라고 전해진다. 그는 피사왕 오이노마오스의 마부였다고 한다. 왕에게는 히포다메이아라는 아름다운 공주가 있었다. 왕은 자신과 전차경주를 하여 이기면 사위로 삼고 지면 목을 베겠다는 조건을 걸었다. 그러나, 미르틸로스가 모는 전차를 이기는 사람이 없어서 희생자만 늘어났다. 공주는 펠로푸스와 사랑에 빠지게 되었는데 결혼하기 위해 미르틸로스를 매수하여 마차부품을 밀랍으로 만든 것으로 교체하였다. 그래서, 경기 도중 왕의 마차가 부서져 왕이 죽고 말았다. 그러나, 펠로푸스는 미르틸로스를 배신하고 바다에 던져 버렸다. 헤르메스는 미르틸로스를 별자리로 만들었다고 한다. 마차부자리에서 가장 밝은 별은 알파(α)별 카펠라로 어미염소라는 뜻이다. 이 별의 밝기는 0.08등급으로 북반구 하늘에서 시리우스, 아크투루스, 베가에 이어 4번째로 밝다. 카펠라는 7월을 제외하고는 언제나 볼 수 있다. 카펠라는 황색거성으로 태양보다 60배나 밝으며 지구에서 42광년 떨어져 있다. 카펠라 옆에는 엡실론(ε), 에타(η), 제타(ξ)별 등 세 개의 별이 있는데 로마의 히파르쿠스시대부터 새끼염소로 불렀다. 고대 그리스에서는 새끼염소자리로 불렀고 오래된 성좌그림에는 노인의 가슴에 안겨 있는 새끼염소로 그려져 있다. 이 가운데 엡실론(ε)별은 27 1개월을 주기로 밝기가 변한다. 그 이유는 엡실론(ε)별 주위를 도는 차가운 별이 주성을 가리는 식쌍성계를 이루는데 이를 초장주기 식쌍성이라고 한다. 이 별의 주기는 알려진 식쌍성 중 가장 길다. 주성은 아주 밝은 백색 초거성으로 밝기는 태양의 20만배, 지구에서 45백광년 떨어져 있고 크기는 지구 궤도만한 초대형 별이다. 보통 3등급이지만 식이 일어나면 3.8등급으로 떨어지며 정상으로 돌아오는데 14개월이 걸린다. 2009년 다시 식현상이 일어난다. 제타(ξ)별도 식쌍성이다. 주성은 태양보다 1백배 큰 황적색의 거성이고 그 주위를 청색 별이 돌고 있다. 청색 별은 주성보다 작다 하더라도 지름이 태양의 4배나 된다. 두 별의 광도는 각각 태양의 700배와 140배이다. 제타(ξ)별은 보통 3.7등급이지만 2 8개월을 주기로 4.0등급까지 떨어진다. 식 현상은 6주간 이어지며 다시 정상으로 돌아온다. 마차부자리에는 M36, M37, M38 등 세 개의 산개성단이 있다. 이들은 모두 쌍안경으로 한 시야에 들어온다.

오리온자리는 겨울 하늘의 대표적인 큰 별자리이다. 오리온의 허리띠에 있는 3개의 별을 중심으로 알파(α)별 베텔게우스, 베타(β)별 리겔, 감마(γ)별 벨라트릭스 등의 밝은 별이 에워싸고 있다. 이 별자리는 북반구 하늘에서 1등성이 2개인 유일한 별자리로 남반구에는 센타우르스자리, 남십자자리가 있다. 오리온은 포세이돈의 아들이며 훌륭한 사냥꾼이었다. 사냥의 여신 아르테미스는 그를 매우 좋아하였다. 그러나, 여신의 오빠 아폴론은 이것을 못마땅하게 생각하였다. 어느 날, 아폴론은 오리온이 머리만 물 위로 내놓고 바다를 건너는 것을 보고 아르테미스에게 그녀의 솜씨로는 저 바다 위의 검은 물체를 맞힐 수 없을 것이라고 약을 올렸다. 활의 명수 아르테미스는 즉시 활을 쏘아 자신의 실력을 과시하였다. 그러나, 오리온의 시체가 해안으로 밀려오자 여신은 끊임없이 눈물을 흘리며 자신의 실책을 통곡하다가 오리온을 별자리로 박아 주었다. 그리고 사냥개인 세이리오스는 뒤를 따르고, 플레이아데스는 그 앞에서 달아나고 있다. 또다른 이야기에서는 오리온이 새벽의 여신 에오스와 사랑하는 것을 질투한 사냥의 여신 아르테미스가 풀어 놓은 큰 전갈에 물려 죽었다고 한다. 따라서 오리온자리와 전갈자리는 사이가 나빠 천구의 반대 위치에 있고, 동시에 하늘에 나타나지 않는다고 한다. 오리온자리를 이루는 사각형의 왼쪽 모서리에 있는 붉은 별이 알파(α)별 베텔게우스로 아라비아어로 겨드랑이를 뜻한다. 스펙트럼형은 M12이며 주기는 약 2335일이고, 별 자체가 팽창하거나 축소하여 밝기가 변하고, 겉보기등급은 0.4에서 1.3까지 변화하는 장주기 불규칙변광성이다. 반지름은 태양의 300배나 되며 지구로부터의 거리는 약 500광년이다. 표면온도가 3900K이며, 커다란 먼지구름과 가스층의 껍데기로 둘러싸여 있고, 가스층은 바깥쪽을 향해 팽창하고 있다. 이 별은 적색 초거성으로 불안정하여 언제라도 초신성 폭발을 일으킬 수 있는 별로 주목받고 있다. 오리온자리의 베타(β)별 리겔은 아라비아어로 '()'이라는 뜻이며, 오리온자리의 오른쪽 아래 발 부분에 해당한다. 이 별은 시리우스, 카펠라에 이어 세 번째로 밝다. 파랗게 빛나는 0.12등의 초거성으로 스펙트럼형 B8이고 표면온도는 1 2000K이며, 거리는 600광년이다. 질량과 반지름이 모두 태양의 수십 배로 추정된다. 리겔은 광도 8등급의 어두운 동반성이 천천히 돌고 있는 실시쌍성이며, 이 동반성이 9.86일의 공전주기를 갖는 이중성이므로 3중쌍성이다. 그러나, 리겔이 너무 밝아 망원경으로 동반성을 알아보기 어렵다. 구약성경 욥기 38 31절에 '네가 묘성을 매에 떨기 되게 하겠느냐 삼성의 띠를 풀겠느냐'에서 묘성은 플레이아데스성단을 의미하고 삼성은 오리온자리 밸트부분에 해당하는 삼태성을 뜻하며, 델타(δ), 엡실론(ε), 제타(ζ)별로 구성되어 있다. 이 세 별은 비스듬히 왼쪽 아래를 향하고 있고, 오른쪽 위의 델타(δ)별 민타카는 천구의 적도 위에 위치하고 있다. 그래서 이 세별이 올라오는 방위각은 언제나 진동(眞東), 지는 방위각은 언제나 진서(眞西)가 된다. 오리온자리에서 유명한 것은 3개의 별 남쪽에 있는 오리온대성운(M42)인데, 이것은 거대한 가스덩어리가 마치 새가 날개를 펼친 것 같은 형태로 빛나고 있다. 이 대성운의 중앙에는 트라페지움이라는 사중성이 있는데, 모두 청백색의 고온 별이며, 이 별에서 방출되는 에너지로 가스성운이 빛나고 있다. 이러한 가스구름은 오리온자리 전체를 뒤덮고 있으며, 일부는 배후의 빛을 가려 말머리성운과 같이 암흑성운이 된다. M42외에도 M43, M78을 볼 수 있다.

쌍둥이자리는 3월 초순에 남중하는 별자리로 황도12궁 중 세 번째에 해당한다. 눈에 보이는 것은 1.6등성 카스토르와 1. 2등성 폴룩스이며, 이 두 별은 백조로 둔갑한 제우스(백조자리)와 스파르타 왕비 레다 사이에서 태어난 쌍동이 형제 카스토르와 폴리데우케스(폴룩스)를 나타내고 있다. 레다는 알을 하나 낳았는데 이 알에서 쌍동이 형제가 태어났다. 폴리데우케스는 불사신이었다. 카스토르는 승마의 명수이고 폴리데우케스는 귄투를 잘하기로 유명했다. 두 형제는 매우 사이가 좋아 무슨 일을 하든 같이 했다. 아이손이 황금양피(양자리)를 찾기 위해 항해할 때 쌍동이형제도 참가하였다. 항해중에 폭풍우를 만났는데 오르페우스(거문고자리)가 신들에게 기도를 올리며 리라를 연주하자 폭풍우가 가라앉고 이 형제의 머리 위에 별이 나타났다. 그래서, 훗날 뱃사람의 수호신으로 삼았다. 성경에 바울이 로마로 호송되던 중 난파당했다가 다시 로마로 출항할 때 승선한 배 이름이 디오스구로인데 카스토르와 폴리데우케스를 의미한다.(사도행전 28:11) 후에 이다스와 린케우스를 상대로 싸움이 벌어졌는데 카스토르가 죽고 말았다. 이를 슬퍼한 폴리데우케스는 제우스에게 대신 자기가 죽게 해달라고 했다. 제우스는 두 형제의 우애에 감탄하여 쌍동이자리로 별자리에 박아주었다고 한다. 알파(α)별 카스토르을 망원경으로 보면 두 개의 별로 보이는데 각 별이 이중성을 이루고 있다. 그러나, 이중성이 하나 더 있어서 모두 3개의 이중성에 6개의 별이 있는 진귀한 별이다. 거리는 45광년이며, 스펙트럼형 A형이고 흰색이다. 1.99등급인 카르토르 a별과 2.85등급의 카스토르 b별이 실시연성계를 이루고, 420년의 주기로 공통중심의 둘레를 공전하고 있다. 약간 큰 망원경으로 보면, a, b별에서 각도 73초 떨어진 곳에, 광도 9.0등급의 불그스름한 카스토르 c별이 천천히 돌고 있다. c별의 공전주기는 수만년 이상으로 여겨진다. 카스토르 a, b, c의 세 별은 분광연성이며, c별은 식변광성이기도 하다. 가장 어두워졌을 때의 c별의 광도는 9.6등이다. c별은 간혹 불규칙한 폭발을 일으켜 약간 밝아지는 일도 있다. 베타(β)별 폴룩스는 표면온도는 약 4000K로 태양의 6000K와 비교하면 낮은 편이다. 지름은 태양의 약 25, 스펙트럼형은 K0, 거리는 35광년이다. 폴룩스는 적색거성으로 쌍동이자리에서 가장 밝다. 쌍동이자리는 황도상에 있어서 행성들이 이곳을 종종 통과한다. 망원경으로 발견된 3행성(천왕성, 해왕성, 명왕성) 2개가 쌍동이자리에서 발견되었다. 영국의 허셜은 1781 3월에 에타(η)별 프로푸스 근처에서 천왕성을 발견했고, 미국의 톰보는 1930년에 델타(δ)별 바사트 근처에서 명왕성을 발견했다. 카스토르의 발에 해당하는 부분에 있는 산개성단 M35는 쌍안경으로도 볼 수 있는 별들이 모여 있다. 자세한 위치는 여기를 참고하기 바란다.

큰개자리는 겨울 저녁 남쪽 하늘에 나타나는 밝은 별자리로 사냥꾼 오리온(오리온자리)을 따라다니는 개로 여겨지고 있다. 다른 설에 의하면 이 사냥개의 이름은 라이라프스라고 한다. 이 사냥개는 매우 빨라서 어떤 사냥감도 놓치는 법이 없었다. 사냥의 여신 아르테미스가 이 사냥개를 아테네 왕 엘렉테우스의 딸 프로크리스에게 주었다고 한다. 또는 크레타 왕 미노스가 주었다는 설도 있다. 프로크리스는 헤르메스의 아들 케팔로스와 결혼했는데 사냥개를 남편에게 주었다. 한편 보에오티아 지방의 테베에서 여우가 전염병을 퍼뜨려 고통받고 있었다. 이 여우는 매우 빨라 누구도 잡을 수 없었다. 케팔로스는 사냥개로 여우를 추격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여우와 사냥개는 실력이 비슷하여 제우스가 이들을 돌로 만들 때까지 추격전이 멈추지 않았다. 제우스는 사냥개를 별자리로 만들었는데 여우는 별자리가 되지 못했다. 큰개자리의 별 중에서 가장 밝게 빛나는 별은 알파(α)별인 시리우스로 행성을 제외하고는 하늘에서 가장 밝은 별이다. 고대 그리스에서는 7월 초부터 8월 중순까지의 무더위가 태양과 함께 뜬 시리우스가 햇빛에 별빛을 더하기 때문이라고 믿어 그리스어로 '불타는 것'이라는 뜻인 세이리오스라고 불렀는데 이것이 시리우스로 바뀌었다. 한국에서는 늑대별, 중국에서는 천랑성(天狼星), 영어로는 도그스타(the Dog Star)이다. 그래서 여름의 삼복(三伏)(북반구의 7월 초에서 8월 중순)에 해당하는 시기를 도그데이(Dogdays)라고 하는데 한국에서 보신탕을 즐기는 풍습과는 무관하다. 고대 이집트에서는 매년 여름 해뜨기 전에 이 별이 동쪽하늘에 그 모습을 드러내면 나일강의 수량이 늘기 시작한다는 것을 알았다고 한다. 겉보기등급은 -1.46으로 직녀성의 4, 북극성의 25배에 달한다. 스펙트럼형 A1인 주계열성이며 거리는 8.7광년으로 지구에서 5번째로 가까운 거리이다. 질량은 태양의 2.1, 반지름은 태양의 1.8, 표면온도는 10,400K이다. 프랑스의 볼테르는 1752년에 시리우스의 위성을 발견했다는 가상의 글을 쓴 적이 있는데 1834년 현실로 나타났다. 독일 천문학자 베셀은 시리우스의 고유운동을 조사하다가 별의 진로가 흔들리는 것을 알고, 동반성의 존재를 예측했다. 그 뒤 1862년 망원경 제작자 앨번 클라크가 새로 제작한 직경 47cm 굴절망원경을 시험하던 중 8.5등급의 동반성을 발견하고 강아지(Pup)로 이름 지었다. 이 별이 최초로 발견된 백색왜성으로 '시리우스B'라고 부른다. 1914년 애덤스는 주성보다 10등급이나 어두운 동반성이 주성과 비슷한 스펙트럼형 DA라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이것은 표면온도를 2 7000K로 하면 동반성의 반지름은 태양의 0.009배이고, 동반성은 주성의 1/200, 지구보다도 조금 작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궤도운동의 해석으로 동반성의 질량은 태양의 1.05배라는 것을 알 수 있으므로 평균밀도는 2t/㎝³의 고밀도가 된다. 질량에 비해 반지름이 매우 작기 때문에 별 표면에서의 중력은 굉장히 크다. 시리우스의 동반성에서의 중력은 태양 표면 중력의 1 3000, 지구 표면 중력의 36만 배나 된다. 아인슈타인의 일반상대성이론에 의하면 강한 중력장에서 나오는 빛의 파장은 긴쪽으로 휘어진다는 것을 예상할 수 있다. 1925년 애덤스는 시리우스 동반성의 스펙트럼이 예상했던 대로 적색이동한다는 것을 검증했으며, 이것으로 초고밀도의 천체가 우주에 존재하고 있다는 사실이 처음으로 밝혀졌고, 일반상대성이론이 옳다는 것도 증명되었다. 이 백색왜성은 쌍안경으로도 충분히 볼 수 있는 밝기이나 시리우스가 너무 밝아 보기가 어렵다. 그러나 2020년에는 충분히 떨어져 작은 망원경으로도 쉽게 보일 것이다. 베타(β)별은 미르잠이라고도 하고, 2.0등급으로 스펙트럼형은 B1이며 650광년 거리에 있다. 엡실론(ε)별은 1.5등급으로 22번째로 밝은 별이다. 델타(δ)별과 에타(η)별은 2천광년 이상 떨어져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가장 먼 별들로 태양의 10만배 이상이나 밝은 빛을 낸다. 큰개자리에는 산개성단도 많은데 그 가운데 M41이 밝다. 자세한 위치는 여기를 참고하기 바란다.

작은개자리는 겨울철 밤하늘을 수놓는 은하수를 끼고 큰개자리와 마주하는 작은 별자리이다. 보통 큰개자리와 함께 오리온(오리온자리)의 사냥개로 알려져 있지만 다른 설도 있다. 이카리우스는 술의 신 디오니소스를 위해 비밀의 포도주를 만드는, 포도를 농사짓는 농부였다. 어느날 그는 포도주에 독이 있다고 의심한 농부들에 의해 살해당하고 만다. 그의 개는 딸 에리고네를 아버지의 시체에 데리고 온다. 딸은 충격을 받아 그 자리에서 죽고 말았는데 이카리우스는 목동자리, 에리고네는 처녀자리, 그리고, 개는 작은개자리가 되었다고 한다. 알파(α)별은 프로키온으로 부르는데 그리스어로 '개보다 앞선다'는 의미이며 큰개자리의 시리우스에 앞서 동쪽의 지평선에 오르므로 이 이름이 붙었다. 중국에서는 남하(南河)로 부른다. 프로키온은 시리우스, 베텔게우스와 함께 '겨울철의 대삼각형'을 이룬다. 지구로부터 거리는 11광년밖에 떨어져 있지 않아 밝은 별 가운데 시리우스 다음으로 가까이 있는 별이다. 겉보기 등급은 0.38로 전 하늘에서 8번째, 우리나라에서 7번째로 밝게 보인다. 이 별은 스펙트럼형 F5의 준거성(準巨星)이나 주계열성이다. 질량은 태양의 1.8, 반지름은 태양의 2배이다. 공전주기 40.7, 질량이 태양의 0.63배이고 10.7등성인 백색왜성과 이중성을 이루는 실시쌍성계이다. 베타(β)별은 광도 3.0이며 '우는 것'이라는 뜻인 고메이사 또는 '앞서 가는 것'을 의미하는 무르짐이라는 이름이 있다.

게자리는 쌍둥이자리와 사자자리 사이에 위치하며 황도 12궁에서 4번째 별자리이다. 그리스신화에서는 헤라클레스(헤르쿨레스자리)에게 짓밟힌 커다란 게로 등장한다. 헤라클레스가 히드라(바다뱀자리)와 싸울 때 헤라가 히드라를 돕기 위해 게를 보냈다고 한다. 그러나, 오히려 헤라클레스에게 밟혀 죽고 말았다. 고대에는 태양이 하지 때 게자리에 있었다. 그래서 지금도 영어로 북회귀선을 the Tropic of Cancer(게자리의 회귀선)라고 한다. 지금은 지구의 세차운동으로 하지점이 서쪽으로 옮겨 황소자리에 있다. 동양에서는 게자리를 귀신별(鬼星)로 불렀는데 죽음과 질병, 제사일을 주관한다고 여겼다. 게자리에는 M44 또는 프레세페(Praesepe)라고 부르는 유명한 산개성단이 있다. 또다른 산개성단으로 M67이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