싯다르타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58
헤르만 헤세 지음, 박병덕 옮김 / 민음사 / 200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북회귀선의 미국 작가 헨리 밀러는 ˝노자의 도덕경 이후 내게 이보다 더 중요한 책은 없었다˝라고 말했다.

2명의 싯다르타가 있다. 부처, 고타마 싯다르타와 진짜 주인공 싯다르타다. 주인공은 인도의 높은 계층인 바라문의 아들로, 명상을 통해, 자아로부터 빠져나와 수천가지 낯선 형체(짐승, 나무 등)로 들어가서, 경험하고, 고통, 굶주림, 권태를 극복해 자기 해탈의 길을 향해 수행하는 청년이다.

스승은 60세인데도 열반에 들지 못했으므로, 나도 평생 수행, 금식, 명상으로 이어질 거라고 불만을 품고 있다. 이어 부처 고타마를 만나, 말로 표현할 수도 가르칠 수도 없는 해탈은 몸소 자기만의 체험을 통해서만 이를수 있다는 것을 대화를 통해 알게 된 그는 깨달음을 위한 여행을 떠난다.

뱃사공, 아낙네, 기생 카밀라를 만나면서 3가지(사색과 기다림과 단식)만으로 돈, 욕망을 경험한다.

헤세의 책은 깨달음이란 모호함을, 문장 속에 녹여낸다. 그 과정을 공감되조로구 벽돌을 한장 한장 쌓는다. 그러나, 책을 덮으면 여전히 모호함이 머리를 뒤덮는다. 깨달음이란 한번에 이해되지 않는다. 여러 번 읽게 하는 매력이 가득하다.

모두 ˝옴˝을 외쳐보자. <완전한 것, 완성>을 의미하는 옴을 외치면서, 물질과 사랑의 한계를 경험한 그는 깨달음을 찾아 뱃사공을 만나 배를 고치고, 강을 건네주는 일을 하며 강물의 목소리를 듣는다. 무엇으로 깨달음을 얻게 될까? 그는 ˝사랑˝이 제일 중요하다고 말한다. 세상과 나와 모든 존재를 사랑과 경탄하는 마음으로 바라 보는 것.

그럼, 우리는 무엇으로 깨달음을 얻을 수 있을까? 세상을 사랑하는 눈으로 바라 보는 것? 모든 종교에 등장하지만, 기만, 이기, 분쟁, 살인 같은 상상 밖에 일이 많은 세상에서 가족 외에 타인을 사랑으로 바라보기가 불가능한 세상이 되어만 가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보이지 않는 도시들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138
이탈로 칼비노 지음, 이현경 옮김 / 민음사 / 2007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작가 ˝이탈로 칼비노˝는 이태리 출신으로 모험적이고 실험적, 환상적인 문장들로 알려져 있다.

1. <반쪼가리 자작> 1952년
2. <나무 위에 남작> 1957년
3. <존재하지 않는 기사> 1959년
4. <보이지 않는 도시들> 1972년
4권이 민음사 전집에 출간되었다.
1~3권은 ‘우리의 선조들‘ 3부작이라고 일컬어진다.

이 책은 13세기 17년간 원나라에서 베네치아 출신 탐험가 마르코 폴로가 몽골의 쿠빌라이 칸에게 가상의 55개 도시에 관해 짤막한 이야기를 들려주는 형식이다. 온통 낯선 도시의 풍습, 사람들의 묘사라 읽고도 기억이 가물가물하다.

작가가 극한 실험작, 얼마나 도시들을 색다르게, 환상적으로 묘사할까 일기쓰듯 나열하는데, 나중에는 메스껍기도 하고, 출장가서 핸드폰하면 흔들려 전해지는 멀미 같은 고통이 이어지는데, 바로 그 느낌이다.

도시와 죽은 자들 2(121쪽)편에 아델마라는 도시에 가니, 부두 선원은 세상을 뜬 친구와 닮았고, 한 노안은 아버지와, 채소 장수는 내 할머니를 닮았다.

˝살다 보면 자기가 아는 사람 가운
데, 산 사람보다 < 죽은 사람이 더 많을 때가 찾아오게 돼. 그러면 마음은 다른 얼굴, 다른 표정을 받아들이기를 거부하게 되지. 새로운 얼굴을 만날 때 마다 거기에 옛 형상을 새기고 각 얼굴에 가장 적당한 가면을 찾게 되지.˝

나이 들면서 새로운 것을 볼 때, 과거의 무엇과 닮았다, 비슷하다 비교하고 으레 같은 것으로 치부하고, 단순화하는 것을 말하는 것인가 생각해 본다.

* 넷플릭스에 <마르코 폴로> 2시즌 각 10화의 드라마를 보고 있는데, 탐험가들이 이야기가 흥미롭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클링조어의 마지막 여름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230
헤르만 헤세 지음, 황승환 옮김 / 민음사 / 2009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915년 크눌프, 1919년 데미안에 이어 1920년 출간한 헤르만 헤세의 짧은 소설. 10개의 에피소드 속 마지막 자화상을 작품을 그린다.

1914년 1차 세계대전이 발발하고, 아들의 뇌막염, 아내 미아의 우울증은 심해지고, 전쟁의 광기에 맞서 글을 기고 한 뒤, 배신자로 매도 당하고, 16년 아버지의 죽음과 자신의 신경쇠약, 18년 아내의 정신착란으로 고통받는 가운데 헤세는 자전적 요소가 포함된 명작을 써내려 간다.

글을 통해 고통의 탈출구로, 작품에 자신을 투영하면서 위로 받고, 새로운 자기 이해의 자화상을 그려가면서 ˝내면으로 가는 길˝을 매일 걸었을 거란 생각이 든다.

클링조어는 고흐를, 친구 루이스는 고갱을 연상시키는데, 민음사 표지도 고흐의 <밀짚모자를 쓴 자화상>이다.
42살의 화가 ˝클링조어˝는 남쪽 지방에서 자화상을 그리며, 건강이 악화된 채, 마지막 여름을 직감한다.

짧은 데 반해, 하나의 문장이 수많은 쉼표로 연결되는 문장의 길이, 뚜렷한 줄거리가 적어 어렵다는 생각이 든다.
객관적인 아름다운 문장 대신, 주관적인 강렬한 상상력으로 표현한 문장이 빛을 밝힌다.

클링조어는 자화상에서 죽어가는 인간, 병듬, 권태, 고독, 죽음의 공포, 우울한 표정으로 히죽거리는 술꾼의 얼굴을 보고,
사람들은 색채의 협주곡, 대상으로부터 벗어나려는 필사의 시도, 자연, 정신착란에 빠진 사람 등을 상상했다.

나는 거울에 서서, 고된 내 얼굴을 들여다 본다. 환한 미소로 생기가 있는지, 고통스러워 흉하게 일그러진 얼굴은 아닌지? 허세와 거짓으로 가면 쓴채 나 자신을 잃어버리고 있는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반쪼가리 자작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241
이탈로 칼비노 지음, 이현경 옮김 / 민음사 / 2010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투르그인과의 전쟁터에서 포탄에 맞아 오른쪽만 살아남은 메다르도 자작, 조카인 나는 외삼촌을 3인칭 시점에서 그려낸다.

왼쪽이 모두 없다. 왼쪽 뇌, 귀, 뺨, 코, 입, 손, 팔과 다리가 없지만, 신기하게 반쪽만 살아 움직인다. 목발을 집고 말도 탄다. 어떻게?? ^^

이태리 고향으로 돌아온 자작은 나에게 독버섯을 튀겨 먹으라고 주고, 가벼운 죄를 지은 자신의 영지 내 산적들, 늦게 도착한 수비대 모두 20명을 교수형 시키는 무시무시한 사악한 반쪽이 되어 있었다. 이윽고, 오른쪽과 정반대인 왼쪽만 남은 자작이 살아 돌아와 선한 심성을 가지고, 둘은 대립한다.

이탈리아 작가, 이탈로 칼비노, 기괴적인 동화적 환상문학, 인간의 뒤틀리고 분열된 현대인을 그렸다.

오른쪽은 친절하고 선하기는 하지만, 음악은 불필요한 것이라며 금지하고, 가난한 사람 위해 곡식 값을 낮추라고 농부를 억압한다.

사람들은 ˝악한 반쪽보다 착한 반쪽이 더 나빠!˝ 라고 토로한다.

비인간적인 사악함, 비인간적인 선함 사이에서 마을 주민이 상실감과 고통을 느끼는 건, 우리들은 동시에 가지고 있는 선과 악을, 자작을 통해 어느 한쪽만 있다면 완전한 것이 아니라 불완전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기 때문일까?

착한 사람을 좋아하면서도, 때때로 사람들은 냉정하고 이기적이여야 한다고 충고한다. 조금 나쁜 짓을 해도 돈을 잘 벌고, 비밀이 있어야 매력적이라고도 말한다. 우리는 완전한 존재일까, 불완전할까?

도덕적으로 올바른 사람이 선한 존재인가? 선한 존재는 모두를 행복하게 할 수 있는가?
인간의 이중성을 극명하게 반으로 나누어 보여주는 책, 모두 결점이 있고 실수를 한다. 불완전해서 역설적으로 인간적인 나와 너를 발견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백년의 독서 - 김형석 교수를 만든
김형석 지음 / 비전과리더십 / 2021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저자의 철학에 대한 오랜 독서로 철학서 소개가 많으나, 독서의 본질은 분명하다. 읽고 생각하고 말하면서 삶과 나를 찾아가는 평생하는 즐거운 여행.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