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생각수업 - 온전한 나로 살아가기 위한 최고의 질문
박웅현 외 지음, 마이크임팩트 기획 / 알키 / 2015년 6월
평점 :
이 책은 올해 1월, 마이크로임팩트에서 주최한 'Grand Master Class : Big Question'이라는 컨퍼런스의 강연 내용을 정리한 책이다.
사실 그 컨퍼런스에 직접 가보고 싶었지만, 사정이 여의치 못해 참석하지 못했기에 이번 책의 출간이 더욱 반가웠다.
9명의 강연자들이 '생각'에 대한 자신만의 생각을 풀어놓고 있다.
인문학자 뿐만 아니라, 과학자, 경제학자 등 여러 분야의 대가들이 말하는 '생각'은 무엇인지, 그들이 생각의 근원이 무엇인지를 말하고 있다.
이 책의 표지에 있는 문장이 이 책이 무엇을 말하고 싶은지 가장 잘 표현하고 있는 것 같다.
"인문학의 시작은 질문이다."
인문학에 대한 열풍은 많은 책들을, 많은 자료와 강의들을 만들어 냈고, 우리는 그것을 받아들이고 있다.
그런데, 정말 잘 받아들이고 있는건가?
남들이 좋다고 하니 그런가 보다라고 맹목적으로 받아들이고 있는 것은 아닌가?
이는 진정한 인문이 아니다.
인문은 '어떻게'를 고민하는 학문이 아니라, '왜'와 '무엇을' 고민해야 한다.
그렇기에 끊임없이 나에 대해서, 인간에 대해서 질문을 해야 한다.
이 책을 보면서 질문의 힘과, 주변의 글과 소리에 고착화된 나의 모습을 뒤돌아 보게 되었다.
내가 원해서, 내가 찾아서 한 무엇이 아니라, 누군가 원해서, 남들이 좋다고 하는 것을 하는 나를 발견하게 되었다.
그러면서 뭔가 만족스럽지 않은 그 무엇을 찾기 위해 여기저기 방황하고 있었던 것 같다.
나에게 가장 필요한 것은 바로 '올바른 질문'이였던 것 같다.
9분 모두의 강연이 좋았지만, 그 중에서도 가장 마음에 들었던 것은 박웅현님과 장하성님의 강연이였다.
'왜?'에 대해서는 가끔 고민해 보기는 했지만, 그 '왜'에 대한 '왜'에 대해서는 생각해 본 적이 없는 것 같다.
'왜는 왜 필요한가?'
멋진 화두이고, 분명 지금보다 나은 확고한 신념을 만들 수 있는 좋은 질문인 것 같다.
장하성님은 언론을 통해서 그분이 하고자 하는 일에 대해서 조금은 알고 있었다.
그러나, 이번 강연을 통해 보다 더 자세히 알 수 있었다.
현실에 대한 불만은 어느 시대나 존재하였다.
역사를 통해 보더라도 그 불만을 전쟁, 혁명과 같은 방법으로 외부에 표출하였고, 그런 것들이 인류를 보다 더 나은 방향으로 발전될 수 있도록 만드는 힘이였다.
불만을 불만으로만 그치지 말고, 그것을 바꿀 수 있는 행동을 하여야 한다.
혁명과 같은 급진적인 방법이 아니더라도, 지금 당장 우리 손으로 할 수 있는 것들이 있다.
바로, '투표'이다.
88세대, 삼포세대라는 말만 하지말고, 왜 그런 대우를 받고 살아야 하는지, 그것을 바꿀 방법은 없는지, 누가 더 나은 방법을 제시하는지 찾아서 적극적으로 그들에게 자신의 의사를 전달해야 한다.
그들이 가장 무섭게 생각하는 것은 유권자이고, 가장 우습게 생각하는 것도 유권자이다.
'우는 아이에게 떡 하나 더 준다'라는 말이 있다.
이 말에 대해 그리 좋게 생각하지는 않지만, 지금 이 시대에는 확실히 맞는 말이다.
아픈가? 그럼, 울어라.
참으면서 고개를 숙이고 눈물만 뚝뚝 흘리지 말고, 동네가 떠나갈 듯 크게 울어라.
지금은 울어야 한다.
왜 울고 있는지 명확하게 밝히고 고개를 들고 당당하게 울어라.
우리가 알다시피 70~80년대의 청춘들은 세계의 관심을 받을 정도로 격하게 울었다.
그리고 그 울음으로 우리 사회는 한층 더 나아졌다.
이 책을 보면서 더위도 모를 정도로 참으로 많은 생각을 하게 되었다.
좋은 생각은 좋은 사회를, 보다 나은 나를 만드는 힘이고, 그 생각의 원천은 바로 좋은 질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