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혜로운 부모는 강하게 키운다
미야모토 데쓰야 지음, 혼다 토모쿠니 옮김 / 아이위즈 / 2015년 5월
평점 :
품절


부모라면 누구나 자신의 자신이 잘되길 바란다.

'잘되길'의 기준은 무엇일까?
그러기 위해서 부모는 무엇을 해야할까?

'아이가 잘 되기 위해서는 필요한 것은 할아버지의 재력, 어머니의 정보력, 그리고 아버지의 무관심'이라는 말이 농담아닌 농담으로 회자되고 있다.
여기서 말하는 어머니의 '정보력'은 다름 아닌 좋은 학원을 찾는 것이다.
그리고, 그 학원을 보내기 위한 경제적인 지원은 할아버지가 해 주어야 한다는 것이다.
무척이나 씁쓸한, 하지만 결코 부인할 수 없는 현실이기도 하다.

이 책의 저자는 일본 최고의 수학학원을 운영하고 있다.
일본 또한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교육열이 상당히 높고, 입시에 대한 부담이 무척이나 높은 나라이다.
그렇기에 저자의 교육법에 대한 관심이 무척이나 많고, 그 관심은 저자의 책을 스테디셀러로 만들었다.

그렇다면 저자가 말하는 최고의 교육법은 무엇인가?
아이들이 빨리 자립할 수 있게 만들어 주는 것이다.
이는 품 안의 자식으로 크게 하는 우리에게 많은 것을 시사한다.
분명 부모는 아이들의 성장을 위해서 그들에게 보다 나은 교육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렇다면, 좋은 교육환경이란 무엇일까?
아이들 스스로 깨우치는 것을 알려주기 보다는 시험에 많이 나오는 문제에 대한 해답을 빨리, 정확하게 찾는 것을 잘 알려주는 것인가?
불행히도 지금의 현실에서는 그런 듯 하다.

저자가 말하는 지혜로운 부모는 아이들이 생각하는 좋은 부모는 아니다.
어미새가 아기새의 성장을 위해 단호하게 날기를 시도하게 하듯이, 우리도 아이들에게 스스로 날 수 있는 법을 알려주어야 한다.
아이가 좀 더 아파하고, 고민하는 모습을 보는 것이 부모로써 마음이 아프겠지만, 그것이 그들이 한단계 더 성장하는 과정이라 생각하고 지켜봐 주어야 한다.

저자가 수학을 가르치고 있기에 수학에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교육과 양육이라는 전체적인 그림으로 봐도 저자의 교육법은 옳다고 생각된다.
비록, 지금 당장은 실수투성이고 더디게 보이겠지만, 그런 실수가, 오류를 통해 아이는 성장하는 것이다.

우리나라의 아이들의 수학 실력은 어릴적에는 세계 최고의 수준이지만, 대학생만 되더라도 수준이 떨어진다고 한다.
문제에 대한 이해보다는 해답만을 찾는 교육에 길들여져 있기 때문이다.

하나의 과목에 대한 문제에 대해서는 모두 답을 알려줄 수 있을지 몰라도 인생에 대한 모든 것을 알려줄 수 있는 방법은 없다.

이제부터라도 아이를 사랑한다면 조금은 멀리해야 한다. 그것이 사랑의 또다른 표현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