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어린이/가정/실용 주목 신간 작성 후 본 글에 먼댓글 남겨 주세요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3/0801/pimg_707151103881991.jpg)
방학을 맞은 모든 엄마들과 아이들의 불협화음.
책 제목을 보는 순간, '아, 우리집 얘기다' 라는 생각 안한 사람이 몇이나 될까.
오은영 선생님은 아이 검사 문제로 한번 상담받은 적이 있었는데,
책상에 앉은 이론가 스타일은 확실히 아니었다.
손자를 데리고 온 허름한 할머니를 대기실까지 나와 끌어안으며 좋아져서 너무 기쁘다고 웃는 모습을 보며, 이 분은 진짜 의사구나 감동했던 기억이 있다.
풍부한 임상경험과 아이들에 대한 애정은 이 분이 풀어놓는 해법에 신뢰와 힘을 부어준다. 그래서 더더욱 읽고 싶은 책!
왜 나는 아이를 가르치고 싶고, 아이는 왜 놀고 싶은지 그 징글징글한 '왜'에 대한 답을 이 책에서 찾고 싶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3/0801/pimg_707151103881992.jpg)
우리집 맏이의 꿈은 건축가였다.
그래서 아이 따라 나도 건축에 대해 관심을 가졌더랬다.
그래서 살짝 들여본 건축의 세계는 오차없는 수학이었고,
종합 예술의 극치였고, 창의력의 산실이었다.
건축가의 꿈은 오래전에 바뀌었지만,
젠가로 탑 쌓기는 여전히 즐기는 아이와 함께
다시 한번 건축의 매력에 빠져보고 싶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3/0801/pimg_707151103881997.jpg)
우리 아이는 정리 정돈을 정말 못한다.
아무리 가르쳐도 소용이 없다.
그런데 나이가 들수록 이 정리 정돈이라는 것이 중요해지는 게
공부를 해도 정리 정돈이 돼야 학습 정리가 되고,
학교에서도 정리 정돈이 돼야 기본 생활이 가능하고,
여하튼 정리 정돈이 안되는 게 치명적인 약점이라는 것을
아이가 자랄 수록 더 절절하게 깨닫게 된다.
천성이라 포기해야 하나 절망할때쯤 내 눈이 번쩍 뜨이게 해준 책 제목! '정리정돈은 나의 힘!'
읽고 싶다. 이 책!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3/0801/pimg_707151103882041.jpg)
독서 지도사로 아이들을 가르치고 있다.
아이들은 글쓰기를 싫어한다.
학교에서는 글쓰기를 강요한다.
부모는 아이가 글 잘 쓰기를 원한다.
이 트라이앵글 속에 갇혀서 갈팡질팡 할때가 종종 있는데,
이 책에서 해법 여러개를 건질 수 있을 것 같다.
현장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쓰여진 책이기 때문이다.
'비법'이 과연 뭘까 궁금해서 이 책도 궁금해진다.
사회성이 덜 발달한 아이를 키우는 일은 엄마에게 참으로
고통스러운 일이다. 그 고통을 5년째 겪으면서 공부도 하고 고민도 하고 이제는 사이비 전문가 수준의 노하우도 쌓았지만,
결국 내가 깨달은 것은 엄마는 뒤에서 바라봐 줄 수 밖에 없다는
부모의 한계성이었다. 내 인생이 아니라 아이의 인생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아이에게 관련 책을 건네주곤 하는데,
책 줄거리에서 본 낯선 친구들을 대하는 주인공의 심리 변화가
흥미로웠다. 우리 아이에게도 책을 통한 간접경험을 선물하고 싶은 욕심에 이 책 탐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