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머힐 - 시험도 숙제도 성적표도 없는 학교 논리논술대비 세계명작 64
A.S. 니일 지음, 이상현 옮김 / 효리원 / 2003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저는 영국에 있는 아주 작지만 자유로운 학교 ’서머힐’의 교장 니일입니다.
어린이는 실컷 놀게 해야 한다’ 는 말이 있습니다. 저 역시 오랫동안 어린이와 함께 생활하면서 꽉 짜여진 시간표대로 공부하는 것만이 최고가 아니라는 생각이 들었어요. 그래서 아주 장유로운 학교를 세웠답니다.
이렇게 시작하는 이 책은, 영국의 교육자인 니일이 실제로 세운 학교에 관한 이야기이며, 그가 쓴 책이다. 

부모님들은 톰이 9살이 되도록 글을 모르는 게 걱정이었다. 그런데 어느날 톰의 방에 간 나는 깜짝 놀랐다. 톰이 책을 읽고 있었으니까. "톰, 누가 너에게 글자를 가르쳐 주었니? 내가 묻자 "저 혼자 배웠어요." 졸업 후에 그는 영화 촬영소에서 카메라멘으로 일하게 되었다. 어느 모임에서 톰이 다니는 회사의 사장을 만나게 되었다. 나는 톰에 대해 물었다.
" 아, 그 친구요? 정말 괴짜예요. 그렇게 멋진 친구는 이제껏 본 적이 없어요. 그는 일을 할 때 걷는 법이 없어요. 뭐가 그리 신나는지 항상 뛰어다닌답니다. 언제나 일이 너무 재미있다고 싱글벙글이랍니다." 

서머힐이 자유로운 곳이라고 무조건 놀리지는 않는다. 원하는 공부를 일정시간 정해두고 하고 싶을때 하는 방식으로 조금은 자율성을 존중한다는 것이지 아무교육도 하지 않는게 아니다. 이렇듯 서머힐에서는 그렇게 하라고 가르치지 않지만, 그가 그렇게 살 수 있도록 생각하고 선택할 수 있는 기회를 허락한다. 

우리나라 학교현실에 비추어 너무나 욕심나고 부러운 교육이다. 우리 애도 여건만 되면 이 학교 한 번 보내볼까나..? 아니지 이곳에서 뿌리내리고 열심히 살아가려면 여기서 모든 걸 이겨내고 헤쳐나가야 되겠지. 아이들 교육운제로 유학이나 심지어 이민까지 고려하는 사람들을 주위에서 많이 보게된다. 서글프다. 난 능력이 되지도 않지만, 설령 그렇다 하더라도 단순히 교육만을 위해서 다른 땅을 선택하는 일에는 주저한다. 내가 우리아이게게 현실에서 도망치는 법을 가르치고 싶지는 않다. 이것은 지극히 나의 개인적 견해이며, 그렇다고 유학이나, 이민을 가는 사람들을 탓하려는것은 결코 아니다. 나는 나이며, 그들의 속내는 그들만이 알 수 있는것이니까   



그리고 부모인 나에게 뼈 있는 교훈을 준 이야기
버릇없는 아이들의 한 가지 공통점은 지나치게 용돈을 많이 받는다는 것입니다. 부모님이 힘들게 사 주신 물건을 소중한 모르고 함부로 다루는 친구도 많아요. 비싼 자전거를 선물 받고 좋아하던 아이가 바로 다음 날 새 자전거를 빗속에 처박아 두는 것을 저는 자주 보았습니다. 부모님들의 사랑은 끝이 없습니다. 영리하게도 그걸 이용하는 어린이도 있답니다. 아이가 더 이상 자라지 않기를 바라는 어머니때문에 버릇없는 아이가 생기기도 합니다. 아이가 항상 아주 어린 아이처럼 엄마 말을 잘 듣는 순한 아이이기를 바라는 것이지요. 하지만 아이들은 엄마가 채 마음의 준비를 하기도 전에 훌쩍 커 버립니다. 그래서 때로눈 엄마에게 반항도 하고 말대답도 합니다. 아이들은 금새 자란답니다. 엄마의 마음보다 더 빨리..  


나도 이런 오류를 자주 저지른다. 특히나 직장생활을 하다보니 시간으로 함께 해주지 못한것을 가끔 돈으로 채우려하는 이기심이 발동한다. 뭔가 해줘야 내 맘이 편한것만같은 이기심. 내 아이가 바라는것이 그게 아님을 알고이있으면서...덩치는 나보다 커버린 아이에게 아직도 유치원 다니던 그때의 대화가 불쑥불쑥 전개된다. "..이거 꼭 해 놔야 돼.알았지?"그렇게 해서는 안돼/ 어머 어떻게 그런말을 하니? / 라며 나는 여전히 아이의 어린형상을 붙들고 산다. 고분고분 시키는대로 하지 않으면 서운해 하고 속상해하고 심지어 화까지 내고..아이는 몸이 자라고 나는 눈높이를 높여야 할 때인가보다.   


우리 아이들도 서머힐을 너무나 부러워하며 이 책을 읽었다. 그러나 이 책은 아이들에게 부러움만 준 것은 아니다. 환경에 적응하고, 친구를 배려하고, 하고픈 일을 할 수 있는 자유로운 영혼을 누릴 수 있는 것은 본인 스스로의 몫이라는 걸 잘 깨달은 것 같다. 효리원의 책은 종이가 따뜻한 백열등 색깔을 하고 있어서 좋다. 그래서인지 내용이 더 따뜻하게 느껴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이를 변화시키는 유태인 부모의 대화법 - 부모의 창의적인 대화법이 자녀의 두뇌를 깨운다!
문미화 지음 / 가야북스 / 2008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대화는 들어주는 것에서 시작된다.

아이가 어릴때는 상황설명이나 이해를 시키기 위해 인내심을 발휘하며 찬찬히 대화를 가졌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지금 생각해 보면 일방적인 타이름이나 지시에 불과했다. 대화란 상대방의 말을 먼저 들어주는것이 전제되어야 하는데, 나는 그런 전제를 건너뛰었으니 말이다. 또 하나의 잘못된 대화법이 있는데, 칭찬이 간단명료하다는 것이다. "참 잘했구나." " 기특하구나" 라는 정도의 막연한 칭찬이 그러한 것이다. 이 책을 지금 필요로 하는것은 아이가 더이상 나의 일방적 가르침에 반항을 드러내기때문이다.  사춘기라서 다른 아이들처럼 그러는것이려니 하기에는 부모로서의 나의 자세나 대화법에 문제가 크다는걸 깨달았다.

"유태인 아버지들은 매주 안식일이 되면 아이들을 한 사람씩 불러 대화를 나눈다. 그러므로 유태인들에게 있어서 부모와 자식 사이에 대화의 단절이란 있을 수 없다" (p.13) 대화란 공통의 화제를 끄집어 내다보면 자연스레 이루어진다. 그러나 그것은 사회속에서 관계를 형성한 어른들간에는 자연스러운 일인지 몰라도 아이들에게 적용시키기엔 다분히 거리가 있다. 그런 면에서 아이들과의 대화 시간을 의식적이고 주기적으로 갖는것이 대화의 좋은 시작이라는 생각이 든다. 처음 시도하는 경우라면 막막할수 있겠지만, 우리것처럼 너무나 익숙한 ’탈무드’의 주제를 하나씩 내어놓고 이야기를 주고 받으며 생각을 나누는 것도 좋을수 있겠다.

그러나 부모도 사람인지라 이성이 살아있을때는 대화를 시도하는 일에 매진하지만, 순간적으로 자제력을 상실하게 되면 보통은 물불을 못 가린다. 나만 그런지도 모르겠지만.. 체벌 또한 대화만큼 아이들에게 중요한 가르침의 도구이다. 간혹 체벌은 절대적으로 삼가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사람들도 있지만 그것은 도구를 제대로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를 향한 말이다. 유태인들의 적정한 체벌기준을 배워본다면 어떨까?
첫째, 절대로 손 이외의 도구를 이용해서 체벌하지 않는다.
둘째, 절대로 자녀의 머리만은 때리지 않는다. 머리는 지혜의 근원이기 때문이다. 
나의 경험으로 미루어 봤을때, 머리를 맞으면 기분도 상당히 나쁘다.
셋째, 절대로 부모가 감정에 치우쳐 자녀를 마구잡이로 때리지 않는다. 

요즘 우리나라에서는 밥상머리 교육을 중요시한다. 식사를 하며 시사나 소소한 이야기거리로 대화를 유도하고, 식사와 어른들과의 예절을 가르치라는 뜻에서이다. 유태인들은 반면, 베갯머리 교육을 중요시한다. 잠자리에 들면서 책을 읽거나 대화를 하면 정서와 사고력이 훨씬 풍부해진다고 한다. 우리 아이들은 형제다. 종종이 아니라 자주 싸움을 한다. 거의 밥먹듯 한다고 볼 수 있다. 그때마다 골머리를 썩이고, 둘다 꿇리고 혼내고, 타이르고, 협박도 불사한다. 그러나 부모가 사사건건 싸움을 중재하려 하지말고 시끄럽고 속상하더라도 아이들 스스로 화해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들어주는 것이 부모의 역할이라고 가르친다.  

아이들이 자라는 만큼 부모인 나의 생각도 따라 자라야하는데, 아이들의 요구에 못 미치고 언제나 제자리 걸음이다. 연애를 할때도 부부간에도 서로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끊임없이 관심을 가지고 정성을 기울어야 좋은 관계가 유지되듯, 아이들과의 관계를 위해서도 공부하고 염두에 두고, 노력을 해야한다는 생각이 든다.  직장생활에서나 친구사이, 혹은 간혹의 만남으로 이어지는 관계에서도 나는 ’말’에 조심한다. 그러나 정작 우리 아이들에게 절대 하지 말았어야 할 몇 마디 말들을 내뱉었던 기억에 뼈져린 반성을 한다.   

 

 화가 날때 절대 해서는 안 되는 7가지 말
"말도 안되는 소리 하지도 마라 " "엄마 바쁘니까 이따 이야기 해"
"빨리빨리 좀 해! 아이구 답답해."
"내가 너 때문에 못살아! " "넌 누굴 닮아 이 모양이니? " "커서 뭐 될래?"
"잘한다. 네가 하는 일이 다 그렇지 뭐." " 거봐, 내가 뭐랬니?"
"쓸데없는 짓 그만하고 공부나 해!"
"왜 시키지도 않은 일을 해서 말썽이야! "
"내가 누구 때문에 사는데! " "내가 널 어떻게 키웠는데!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공룡이 용용 죽겠지 앗, 이렇게 재미있는 과학이 21
마틴 올리버 지음, 이은숙 옮김 / 주니어김영사 / 2001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한 손에 쏙 들어오는 아담한 사이즈, 착한 가격에 알찬 내용 앗 시리즈! 정말 좋아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지식 e - 시즌 2 가슴으로 읽는 우리 시대의 智識 지식e 2
EBS 지식채널ⓔ 엮음 / 북하우스 / 2007년 12월
평점 :
절판


짬짬히 채워지는 지식의, 감성의 충전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센추리 게임 8 - 수룡을 깨워 센추리의 비밀을 밝혀라 센추리 게임 8
피에르도메니코 바칼라리오 지음, 이현경 옮김 / 웅진주니어 / 2008년 11월
평점 :
절판


순수 리얼판타지의 마지막권, 이거 다 읽으면 이제 무슨 재미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