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행복의 건축
알랭 드 보통 지음, 정영목 옮김 / 이레 / 2007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요즘들어 자신만의 공간에 공을 들이는 사람들이 많아지는 것 같습니다.
아무래도 어른들 말처럼... 먹고살만 해졌기 때문에 실용성과 더불어 미적인 요소를 추구하게 된 것이 아닐까 합니다.
사실 이러한 공간에 대한 미적추구는 근래들어 시작된 것은 아닙니다.
로코코, 고딕, 고전주의, 모더니즘등 한 시대를 풍미했던 건축양식들의 이름은 모두가 다 한번쯤은 들어보았을 것입니다.
사실 우리는 주변에서도 이 여러가지 건축양식으로 지어진 건물들을 볼 수 있습니다.
명동에 나가서 우리나라 최초의 고딕양식 건축물인 명동성당을 보면서 성당에 어울리는 경건함과 절제미를 느끼기도 하고,
경희대의 아름다운 건물들을 보면서.."와~ 예쁘다.."라는 말을 연발하기도 합니다.
이렇게 다양한 건축양식들은 보는 이로 하여금 다양한 감정을 유발시키기도 합니다.
풍성해보이는 곡선에서 푸근함을 느끼고, 깍아지른듯 곧은 선을 보면서 경외감을 느끼기도 합니다.
오직 편히 몸을 쉬고 일하기 위해서 만들어지는 공간을 위한 여러가지 외적인 양식들이 이렇게 많다는 것은 과연 무엇을 의미하는 것일까요?
보통은 이렇게 많은 양식들이 존재하고, 시대를 달리하면서 유행을 한것은 바로 행복추구때문이라고 말합니다.
수세기 동안 건축물은 은신과 보호만의 원초적 기능에서 행복추구라는 정신적인 측면으로 엄청난 도약을 한 것입니다.
좀더 내 취향에 맞고, 또 다른 것들과 비교하여 우월감을 느끼게 하고, 건물의 웅장함 만으로 나의 위상을 드 높힐 수 있는 엄청난 기능을 하게 된 건축물들.
이러한 건축자의 의도가 건축물이라는 결과로 생산되어지는 것이기 때문에, 건축물은 그 모습 자체로서 자신의 존재의 이유를 표출해 보이는 순수한 대상이기도 합니다.
때문에 우리는 여러시기에 지어진 건축물들을 보면서 그 시대를 읽어낼 수도 있습니다.
이 건물을 지은 사람은 어떠한 생각으로 이 집을 지었으며, 그의 그러한 고집때문에 생겨난 집의 문제가 무엇인지... 그리고 정말로 어떤 건축이 사람을 위한 것인지. 사람이 건축에게 끼치는 영향은 어떠한 것인지...
건축 하나로 풀어낼 이야기가 이렇게 많으리라고는 생각해 보지도 못했습니다.
하지만 이 책 한 권을 통해 자신의 철학을 고집했던 한 건축가의 열정을 볼 수 있었고,
건축으로 만들어진 나만의 공간에 대한 여러자기 생각들도 들어볼 수 있었습니다.
내게 맞는, 내가 좋아하는 외양의 건물은 그 존재만으로도 사람에게 행복을 느끼게 만듭니다.
그리고 사람마다 느끼는 행복의 대상과 관점이 다르기에 그 많은 건축양식들이 세상에 생겨나게되었습니다.
우리는 건축을 통해 인간의 다양한 모습을 볼 수 있었습니다.
건축은 어찌보면 사람과도 같지 않은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
시간이 지나면서 주변 환경에 성격이 변하는 사람처럼..
사는 사람에 따라서 같은 집들도 그 분위기가 달라집니다.
그리고 너무 고집을 부리면 화를 부른다는 것 또한 사람과 마찮가지 입니다.
내게 행복을 줄 수 있는 공간의 설계는 인생의 설계와도 같다는 사실을 드 보통의 <행복의 건축>을 통해 알게 되었습니다.
벽돌하나, 못하나 신경을 써야만 완벽하게 마음에 드는 집이 완성이 되듯이.
세세한 결정 하나하나에도 최선을 다한다면....
우리의 인생도 행복한 인생이 될 것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