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픈 열대, 공생을 향한 야생의 모험 북드라망 클래식 (북클)
오선민 지음 / 북드라망 / 2022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레비 스트로스에 따르면 열대의 인디언들은 문자의 이러한 신성함이 갖는 초월성을 경계했습니다. 문자란 인간을 넘어서 있는 것이기에 그것을 다루는 자는 즉각 권력을 쥐게 됩니다. 인디언들은 그 권력이 사람을 위계에 따라 줄  세울 수 있다는 것을 즉각 간파했던 것이죠. 무문자 사회란 문자가 없는 사회가 아니라 문자의 권력성과 삶에 대한 도외시를 경계하기 위해 문자를 거절한 사회라고 해야 할 것입니다."(227p)


 무문자사회가 문자가 없어 열등한 사회가 아니라 문자를 거부한 사회라고 볼 수 있다니, 새로운 시각이 낯설고 놀랍기도 하다. 이런 시각으로 열대를, 인간을  탐사했던 레비 스트레스를 작가 오선민은 다시 한 번 탐사하며 자신이 이해한 인류학자를 독자에게 펼쳐 보여주고 있다. 

 

인간의 조건을 다시 새롭게 바라보고 나를 돌아보게 된다. 


 "레비 스트로스는 암흑의 핵심 한 가운데에서 숲을 마주한 한 사람의 인간 즉 인류의 한 존재로서의 자기를 찾았습니다. 유럽인도 열대인도 근본적으로는 창발하는 묹들 속에서 자기 번뇌를 하나씩 하나씩 햐결해 가여 하는 가련한 인간에 불과합니다. 

 우리는 자신의 해결 방법이 얼마나 제한적이고 어리석었는지를 계속 보고 가야 합니다. 내가 시도하고 얻은 성취와 실패는 결과적으로 나의 무지를 보여주는 것오로서 의미가 있습니다. 인류학자에게 의미있는 대상은 저 밖에 덩그러니 놓여 있는 타 문화가 아니라, 다른 삶을 바라보며 자기 삶의 어리석음을 깨달아 가고 있는 자기입니다.  인간에게는 겨우 그것 밖에 알지 못했던 자신의 유한한 경험을 계속 넘어가는 것, 무지한 자신을 계속 깨 나가면서 최후의 깨달음에 이르는 것 외에 다른 운명은 없습니다. 여기까지 생각이 미쳤을 때 레비 스트레스는 비로소 긴 한숨을 쉴 수 있었습니다. --

  레비 스트로스는 챠웅 사원을 나오면서 만물과 온 인간과 같은 운명의 수레바퀴 속에서 함께 부딪치며 살아가야 한다는 것을 새롭게 느꼈습니다. 훌륭한 인간도, 그러한 인간들의 문명도 없다는 것, 다만 우리는 최후의 무를 향해 함께 걸어가는 사이라는 것을 말입니다. 숲의 인간은 무수한 타자들과 온갖 공생의 지혜를 발휘하면서 살아야 합니다. 그런데 공생의 첫걸음은 자신의 무지를 깨닫는데에 있었습니다." (211p)


만물과 모든 인간과 최후의 무를 향해 함게 걸어가는 사이임을 느낀 레비 스트로스는 편안했을까

나는 좀 편안해진다. 최후의 무를 행해 가는 동료들에게  미움도 화도, 덜하지 않을까. 

공생의 첫걸음을 자신의 무지를 깨닫는데 있다는데 무지를 행해 또 한걸음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