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변동 : 위기, 선택, 변화 - 무엇을 선택하고 어떻게 변화할 것인가
재레드 다이아몬드 지음, 강주헌 옮김 / 김영사 / 2019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쇼군의정부, 즉 막부가 일본의 오랜 쇄국을 끝내는 조약에 서명한 1854년부터 14년의 시간은 일본역사에서 그야말로 격동의 시기였다. 도쿠가와 막부는 강요된 개방에서 비롯된 문제를 해결하려고 안간힘을 다했다., 개방으로 일본사회와 정부가 걷잡을 수 없이 변하기 시작한 때문에 쇼군의 저항은 궁극적으로 실패했다. 오히려 변화의 물결에 힘입어 경쟁자들이 쇼군을 무너뜨렸다, 그 경쟁자들이 주도한 새로운 정부에서 더 많은 변화를 시도했다. (139P)

 

 

 

메이지유신은 크게 두 관객을 위한 것이었다, 하나는 일본이었고, 다른 하나는 해외의 서구인이었다. 유힌의 궁극적 대상은 일본이었다, 달리 말하면 일본을 군사적, 경제적으로 강하게 키워내고 국가를하나로 통합하는이념을국민에게 심어주는 것이 유신의 일차적 목표였다. 유신의 또 다른 목표는 서구세계가 일본을 존중하며 평등하기 대하도록 하는것이었다., 서구가 존중하는 제도를 일본도도입했기 때문에 그런 목표는 당연한 것이었다. 서구식 헌법과 법 체제 같은 기본적인 통치기구, 서구식 의복과 머리 모양 같은 외관, 서구식으로 한 명의 부인과 결혼하는 황제 등이 새롭게 도입한 제도의 일부였다. (159P)

 

위기의 파도를 넘어 강하게 된 일본은 조선을 침략하고 식민지로 만들어 수많은 사람을 학살했다.

그 계기가 메이지유신이라면 과연 그 유신은 옳다고 할 수 있을 것인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