낯선 사람들
김영현 지음 / 실천문학사 / 2007년 1월
평점 :
품절


80, 90년대 시대의 아픔에 대면하는 삶을 촘촘하게 그린 글로 많은 독자들을 공감시킨 작가 김영현이 오랫만에 장편을 냈다. 대학시절 '깊은 강은 멀리 흐른다'를 읽고 마음이 저렸던 기억이 새롭다. 그 시절 작가 또한 절절한 아픔을 겪고 있지 않았을까 짐작만 해 보았을 따름이다.

 '낯선 사람들'은 가장의 죽음을 통해 드러나는 한 가족의 추악한 모습을 그리고 있다. 돈 문제로  아버지를 죽인 혐의로 수감되는 장남, 그 형이 죽이지 않았을 거라고 판단한 신학생인 차남이 주변 사람들을 만나는 사이에 어렸을 때 자신의 집에서 식모살이 하던 누나가 아버지와 형에게 능욕을 당하고 쫒겨나다시피 시집을 간 사실을 알게 된다. 그리고 그 누나에게서 태어난 아들 수철이가 사실은 어버지나 형의 아들일지도 모른다는 사실을 알고 충격에 휩싸이게 된다.  그리고 그 아들이 아버지를 죽인 사실을 알게 된다. 모든 사실이 드러나는 사이 형은 구치소에서 목을 매 죽는다.

어머니를 잃고 자란 두 형제, 그리고 새 엄마가 딸을 데리고 이 집에 와 다시 셋째 아들을 낳고 가족을 이룬다. 그 과정에 새 어머니의  냉대, 아버지의 무관심 속에 아들은 방황하게 되지 않았을까, 결국 큰 아들은 중학교 때 집을 나가 외삼촌 집에서 지내게 된다, 동생은 그런 집안 분위기 속에서 물질적인 것을 벗어나 정신적인 삶을 추구하게 된다.

우리는 모두 나에게, 누군가에게 낯선 사람들인지 모른다. 관심과 사랑이 없다면 이 세상은 가족이든 이웃이든 낯선 사람들이지. 그러나 낯선 면만 있는 것이 아니라 사람 사는 모습이 비슷한 슬픔, 기쁨 속에 서로 위로하며 사는 것이 인간일 터인데 작가는 너무 안이하게 사람들을 극단적인 상황으로 몰아넣고 '그것 봐라, 이것이 인간이다, 너희들도 똑같다'고 소리치는 듯해서 으스스하다. 

어머니 홍경애, 그녀 또한 자식을 낳고 키우느 어미인데 제 자식 소중하게 키운면서 전처 소생의 자식들을 그런 식으로 나 몰라라 하고 냉대할 수 있었을까, 그녀는 자주 가는 절에서 무엇을 빌었을까. 인간이 인간에 대한 최소한의 도리를 갖추었다면 이런 가족이 있었을까 , 허나 우리는 자주 이런 패륜적인 소식을 접하며 살고 있지 않은가. 이런 패륜들은 인간의 욕망이 불러온 것이라고 하고 싶은 것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