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친
요시모토 바나나 지음, 김난주 옮김 / 민음사 / 1999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교보 제 북로그에 올렸던 것입니다.
쭉 올리고 나서, 새로운 리뷰 쓸 예정입니다.

 

머뭇머뭇했다. 평(그 외 비슷한 거)을 쓰려고 하면, 반드시 동반되는 묘한 감정. 꽤 어렵다. 책을 읽을 때는 유난히 쉬운 문장이라 급속도로 빨리 읽혀짐에도 불구하고 느낀 점을 낱낱이 파헤쳐 일목요연하게 정리하려고 들면, 으레 부닥치는 난감함. 여느 때처럼 한동안 주저하다가, 무작정 덤벼보는 것이다(;;)

이전에도 얘기했지만, 나는 책을 읽을 때 이것저것 따지며 읽는 편이다. 보통 이런 책은 감성을 자극하는 쪽으로 분류되어 있지만, 나는 그런 감정을 별로 느끼지 못하는 것 같다. 문장이 꼼꼼한지, 단어 선정이 잘 되었는지, 문장과 문장의 호응이 되는지, 문단을 잘 나누었는지, 전개가 느슨하지 않는지, 등등을 먼저 파악하려 들기 때문에 충분한 여유를 가지지 않는 탓이겠지.

주위에 다른 분들이 자신들의 지나온 사랑을 바나나의 소설과 결부시킨 것을 종종 봤는데, 나는 그런 경험 또한 없어 더욱 휘둘리지 않는지도 모르겠다. 뭐, 어느 쪽이라도 그다지 상관은 없는 듯하다(;;)

내가 바나나의 소설을 이제껏 좋아해 온 이유를 꼽자면, 그녀가 눈에 띌 만큼 뛰어난 재능을 가진 것도, 소설의 기본을 꾸준히 지켜온 것도, 특별한 감동을 선사한 것도 아니다. 하지만 어느 정도 영향은 끼친 것이, 책을 읽으면서 신비한 체험을 많이 했음이 제일 큰 이유라 할 수 있다. 언제나 꿈을 꾸고 있지만, 지루한 일상을 견뎌 내기에는 평소 내가 이름만 나와도 열광하는 대단한 작가, "사르트르", "이청준", "도스토예프스키", "카프카" 등등의 유명한 작가의 작품만을 읽어서는 따분함을 벗어날 수 없을 거라는 생각에서 일명 "시간 때우기 용"으로 무턱대고 선정한 책이었다.(어째 건방져 보임;;;)

처음 스타트를 끊었을 때는 여태껏 읽어 온 여느 작가들과는 다른 일본소설의 매력에 푹 빠져들었던 거 같다(일본소설에 별다른 흥미를 느끼지 못했던 시기도 있었다;). 바나나는 자신만의 소설 분위기가 있다는 것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라는 생각이 든다. 한때, 그 점을 엄청나게 부러워했었다(;;)
아무튼, 달구어진(;;) 머리를 식힐 요량으로 독서를 했지만, 초등학교 때(원대한 꿈을 가지고 동화 세계에서 살았던 무렵)의 기억이 떠올라 새삼 그 시절이 그리워져 한층 책에 매달리다시피 했었다. 이제는 내가 좋아하는 작가의 목록에 올라와 있어 어느 정도 질책(문장에 대한 지극한 사랑 때문이라고 해둘까;;;)은 하지만, 그녀를 좋아하는 것은 변함이 없다. 쓰다 보니, 다른 길로 많이 빠져 있는데, 뭐 그렇다는 거다. 결론은, 앞으로도 바나나를 많이 응원할 거라는 거(??)라고 하면 딱_이겠다.

그녀의 데뷔작이라 은근히 압박을 느끼고 있는 것 같다. 문장을 만드는 중에도 갈팡질팡한다. 또한, 처음 읽었던 때와 지금 새로 들고 읽을 때 사뭇 다르다는 걸 안다. 다른 소설도 그랬지만, 흥분마저 이는 것이 진기한 경험인 듯 아주 색다르다. 상처 치유라는 작가의 의식이 담겨 극심한 피로감으로 똘똘 뭉쳐 있거나, 혹은 지극히 싫어하는 주위의 아니꼬운 시선으로 스트레스에 휩쓸려 있을 때 읽으면 제대로 씻길 거라는 생각을 한다.(<-이런 것도 자잘한 상처니까;;;)

뭔가 엄청난 것을 해낸 듯 여유가 생겨 해방감마저 들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