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누가 커트 코베인을 죽였는가
김경욱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03년 5월
평점 :
품절
∥2004. 03. 24∥
[도서]누가 커트 코베인을 죽였는가
내가 김경욱 작가님을 본격적으로 좋아하게 된 계기는 이상문학상 수상 작품집에 실린 "고양이의 사생활"이란 소설을 보고 나서였다. 그때 당시에는 그 소설이 참 신선하고, 빠른 속도로 읽혀짐에 "그래, 내가 원한 게 이거였어!"라고 연신 중얼거리고 있었던 것(;;)
"누가 커트 코베인을 죽였는가"라는 표제를 보고 나서, 죽음의 문제를 다루었구나, 섣부른 짐작을 하고, 책을 훑어보았다. 무심코 넘기다가, 목차를 보고 "고양이의 사생활"이란 소설이 실려 있어 덜컥 구입했다. 이미 "김경욱"이란 작가에게 마음을 빼앗기고 있어서인지, 다른 생각을 해볼 겨를이 없었던 탓이다. 그렇게 무턱대고 구입부터 했는데, 후회는 전혀 없었기에 참 다행이라는 생각을 했었다.
소설 전반에 죽음(타나토스)이 녹아들어 있고, 대부분의 소설이 추리소설의 형식을 띄고 있었다. 간결한 문체에 속도감 있는 필치로 그려내어 질리는 감은 없었고(단순한 내 생각일지도 모르겠지만), 끝없이 타들어 가는 불꽃, 강렬한 남성 파워를 느낄 수 있어 좋았다. 죽음을 넘어서도 그 느낌을 쏙쏙들이 받아들일 것만 같은 그런 기분.
또한, 이 단편집에서 빼놓을 수 없는 것이 "황량함"이라고 뒤의 해설에서 얘기하고 있다. 그 황량함을 서투르거나 낯설게 해놓은 것이 아니라, 작가가 그것을 받아들이고 몸에 익숙해지도록 적절하게 짜 맞추었다는 것도. 그리고 작가 분은 영상세대의 모습과 사이버 공간과의 경계가 모호해진 현실을 감상적으로 읊조리는 것이 아니라, 냉정한 필치로 과감하게 그려내었다는 것도 왠지 모르게 공감이 가고 있었다.
내게는 아직은 생소하다고 할 수 있는, 내가 제대로 구체화하지 못하는 "몽타주 기법", "포스트모던 소설", 하지만 끝없이 관심을 가졌던 부분. 이 작가가 시도한 것은 낯설지만, 내가 본격적으로 배워야할 점이란 것을 알았다.
소설집 곳곳에 빠짐없이 배여 있는 우리 세대의 "단절"과 "탈 정체성", 앞으로 심각하게 고려해보아야 할 주제의식일 것이다.
(나의)교보 북로그에 이미 올렸던 글입니다.
쭉 정리하고 나서, 새 리뷰 올리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