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노센트
『이노센트』는 작품마다 평단과 대중의 열렬한 지지를 받으며 현대 영문학의 대표 작가로 자리잡은 이언 매큐언의 초중기 대표작이다. 현대 문명사회의 다양한 폭력과 인간 실존의 문제를 놀라운 지성과 세련된 언어 감각으로 예리하게 포착해내는 매큐언의 이번 작품은 “거대한 사건들이 개인의 삶에 미친 영향이 발현되는 상황”에 줄곧 흥미를 가져온 작가가 CIA와 MI6의 실제 합동작전을 소재로 1990년 발표한 네번째 장편소설이며, 2차 세계대전 직후 냉전하의 베를린에서 펼쳐지는 한 청년의 잃어버린 순수와 사랑을 그렸다. 이후 발표되는 『속죄』의 치밀하고도 독특한 구성과 『체실 비치에서』의 애틋한 사랑, 『첫사랑, 마지막 의식』 『시멘트 가든』 등 초기작에서 선보인 충격적인 소재를 능란하게 다루는 특유의 대담함과 영리함을 모두 엿볼 수 있는 것은 물론, 장르적 측면에서도 “스파이 서사, 비극적 러브스토리, 통렬한 블랙코미디의 요소가 공존하는, 매큐언의 가장 다성적인 작품”(허핑턴 포스트)이다. 1993년 매큐언이 직접 각색한 시나리오로 이사벨라 로셀리니, 앤서니 홉킨스 주연의 동명 영화가 제작되기도 했다.
악몽
“오츠의 머릿속은 악마의 작업실이다.” _글로브 앤드 메일
『악몽』에는 개인의 꿈처럼 사적이고, 은밀하며, 그렇기에 한층 더 불온함을 내뿜는 일곱 편의 작품이 수록돼 있다. 오직 악마만이 꿰뚫어볼 수 있을 것 같은 인간 심연을 들여다보는 오츠는 시작도 끝도 없는 비논리의 꿈처럼 현실과 망상의 어두운 틈에서 우울하게 증식하는 이 이야기들을 통해 다시 한번 개인의 불안, 세계의 폐색, 우울과 광기의 폭발을 파고든다.
겨울 여행 / 어제 여행
페렉과 루보가 빚은 또하나의 새로운 ‘악의 꽃’―창작의 하늘 아래 모든 작가는 공범이다!
조르주 페렉은 문학사를 의심했다, 자크 루보는 그 의심을 하나의 사건으로 건축했다! 오늘 한 작가가 쓰고 있는 글은 전대에 썼거나 후대에 쓰일 것이다! 우리가 생각했던 게 다 있고, 생겨나고 있는 지금, 작가의 상상지대는 어쩌면 과거에 빚지고 미래에 빚질 창조적 소명에 대한 연대채무를 지닌 공모자들의 역사 무대인지도 모른다. 즉 페렉과 루보와 울리포 구성원들이 하나같이 이 ‘위고 베르니에’라는 인물을 통한 ‘미리 앞서간 표절’ 이야기에서 끊임없이 소급하고 있는 옛 작품들은 미래의 창작을 낳을 맹아임을 이 두 소설은 유쾌히 증명해내고 있다.
표지에 페렉과 루보의 얼굴이 조합된 묘한 이 이미지와 더불어, 두 작가의 불가사의한 공모로 꽃핀 이 ‘위고 베르니에’ 이야기는 말 그대로 또하나의 ‘악의 꽃’과 같다. 자크 루보가 보들레르가 위고 베르니에의 앞선 시집을 고스란히 베껴 스승 고티에와 문단을 속이는 고도의 허구 서사를 만들어낸 대목만 봐도, 우리는 창작의 세계에서 ‘영혼의 성스러운 매음’을 이야기한 저주받은 시인 보들레르의 『악의 꽃』이 그랬듯, ‘오늘의 미풍양속을 해친’ 또하나의 처벌시편을 보는 듯한 기시감과 동시에 이 교묘한 가짜 사실들로 화한 작품이 허구(창작)의 세계에서는 무한한 상상을 불러일으키는 원천이 되는 통렬한 환희를 맛본다. 그리하여 작은 소품과도 같은 이 책은 독자로 하여금 문학의 역사, 창작의 역사, 또 그에 버금가는 표절의 역사에 대해 재미난 상상의 비전을 선물해줄지도 모른다.
보이드 씨의 기묘한 저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