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틀 바이 리틀
시마모토 리오 지음, 김난주 옮김 / 시공사 / 2004년 8월
평점 :
품절


*영상 만들기 놀이.

 

 

(05.04)


  2004년 출간 당시, 서점에서 바로 발견해서 약간 기간이 지나 구입하고, 읽었던 기억. 최연소 수상작가라고 거창하게 소개한 띠지와, 너무나 얄팍한 분량에 처음엔 그저 어처구니가 없어서 한 번 쓱 봤다가 도로 그 자리에 꼽아놓았다. 그러다 표지와(좋아하는 타입의 일러스트;) 팔랑팔랑 책장을 넘기다 보니, 소소한 일상이 펼쳐지고 있어 읽기에 별 무리가 없을 듯 판단해서, 그 후엔 이것저것 따지기를 접고 구입했다. 그 당시, 복잡하고 까다로운 교재와 거듭 파고들어도 제대로 의미를 파악하고 건지지를 못해 잠시 미뤄두고픈 소설책이 여럿 있었기에 가볍게 읽을 수 있는 소설을 간절히 원했던 건지도 모르겠다.

  두세 번 되풀이해서 읽을 수 있을 만큼, 책 두께는 한없이 얇다. 그리고 스타트를 접했을 때, 굉장히 싱거운 맛이 났다. 갓 20살이 된, 여자아이의 시선에 닿는 가족, 풍경, 그리고 기다림과 아기자기한 사랑 에피소드.
 

  커다란 충격을 몰고 올 사건은 터지지 않고, 이렇다 할 외적갈등은 없으며, 여자 아이의 내면에서 생긴 불안이다. 그렇다고 그런 불안이 두드러지지는 않는다. 매일 겹쳐지는, 어쩌면 무지 사소한 일상에서 자그마한 구석에 웅크린 심리라고 할 수 있다. 주인공 후미는 그 ‘무서움’을 표면에 드러내지 않는다. 거의 결말이 다가올 즈음, 남자친구 슈에게 조그마한 단서를 넌지시 비출 뿐이다.

 

“가끔은, 무서워.”
“무슨 말이야?”
“모든 것이, 하나같이 전부. 오늘 자고 나면 내일 아침 아르바이트, 인파, 따분한 평일, 잠들기 전, 전부.”
“그런 때는 어떻게 하는데?”
“죽은 것처럼 눈 꼭 감고 참아. 그러면 언젠가는 지나가니까.”
“왜 무섭다고 말 안 하는데?”
“말로 하면 분명해지니까. 한 번 말이 된 것은 절대 지워지지 않으니까.”
“하지만, 말을 해야지 안 그러면 다른 사람은 모르잖아.”
“무섭다고 느낄 때마다, 그렇다고 말하면 되잖아.”

- 160~161.

 

  전체적으로, 이 소설의 분위기와 전개되는 양상은 마치 투명 유리병 캡슐 편지 같다는 생각을 했다. 그 안에 캡슐이 들어있다는 건 뻔히 보인다. 편지(소설의 분위기랄 수 있는)라는 건 대강 짐작이 가지만, 곳곳에 숨겨놓은 주인공의 심리 변화(캡슐 안, 편지 내용)를 보여줄 하나하나 에피소드는 알아차릴 수 없는 것처럼. 살짝살짝 궁금하여, 잠깐 휴식에 책을 덮어놓고도 이내 슬그머니 들추게 만든다.

  *어릴 적 좋아했던, 비가 시원하게 바닥을 간질이듯 톡톡 떨어지는 풍경이 비친다. 내내 풍경을 물끄러미 바라보다가, 문득 충동적으로 마루에서 내려와 마당을 거닌다. 손바닥을 내밀어 조그마한 물방울이 그 위에 퐁퐁 연주를 하면, 히죽 웃으며 바라보았던, 한 장면. 어렸을 적에는 때때로 학교 현관에서 한참 지켜보다가, 마지못한 듯 우산을 켜고 집으로 갔다. 여전히 비 내리는 그 회색빛 풍경은 마구 좋아한다.(오직, 풍경만 좋아할 뿐. 통행에 불편해서, 다닐 적에는 구시렁구시렁;)취향의 음악을 틀어놓고, 멜로디를 짚어나간다. 현재도, 띄엄띄엄 지나가는 비는 좋아하지 않지만, 한 타이밍에 과감하게 쏟아지는 비에 열광.
더불어 자랑하듯 마루에 책을 늘어놓으며(구연동화를 펼치고, 빗줄기랑 속닥거리기)뿌듯해하던, 한 장면.
구불구불 골목길을 더듬어가다, 미로처럼 숨겨진 길을 발견했을 때의 신기하고 흥미로운 호기심, 한 장면.……*
소설을 읽으며, 나름 유쾌한 조각이 등장할 때, 내 어릴 적 겹쳐지는 기억 파노라마를 풀어놓고 동동 띄우며 함께 하고 있었다.
 

  *주기적으로 반복하는 모드, 답답하고 불안할 때, 꽁꽁 숨기다가, 그나마 조심조심 비밀리에 소설을 건드리곤(썼다, 는 다른 의미를 부가한 내가 좋아하는 단어)했던, 한 장면.
소설이란 도화지에 여러 바탕을 칠하고, 갖가지 물감을 짜놓고 추상미술을 펼치듯, 내가 만들어낸 주인공에 각각의 색을 입혔던, 그 장면.……*
그리고 소설을 읽으며, 나름 숨이 턱 막히듯 후미의 심리가(내가 겪기도 했던)떠오를 때, 또한 겹쳐지는 과거랑 현재의 이야기 퍼레이드를 펼치며, 따라간다.

  개인적으로, 이 소설의 밑바닥에 보이는 기운이라고 해야 하나, 꼭 old fish의 음악이 겹쳐지고 있었다, 신기하게도.

  몽롱한 기운에 영상 만들기 놀이를 할 수 있었던 것까지는 일단, 색다른 경험으로 괜찮았다고 생각한다. 허나, 어디까지나 그냥 괜찮다는 거지, 소설이 대단하다고 평할 단계는 아니라는 거다. 신인상과 아쿠다가와 후보작이라기엔 어딘가 엉성한 데도 많았고, 좀 더 깊이 담기지 못한 심리 표현도 몇 가지 내 눈에 띄었다.(주관이 섞였을 거라는 것도 인정한다.)
언젠가 다시 또 책을 끄집어내 파락파락 넘길 때, 다시금 끌어당기는 요소를 쥐고 굴릴 수 있도록 기대하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