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플랜더스의 개 ㅣ 동화 보물창고 49
위더 지음, 원유미 그림, 최지현 옮김 / 보물창고 / 2012년 6월
평점 :
플랜더스의 개는 어린 시절 만화영화로 정말 열심히 봤던 작품이다
오랜만에 책을 읽고보니 원래 이렇게 끝나는 것이었는지 잊어버리고 있었던 모양이다.
동화가 왜 이렇게 슬프게 끝이 나는지, 그 흔한 해피앤딩이 왜 이 작품에는 없는 것인지...
그래서 더 마음이 아프고 여운이 긴 작품인지도 모르겠다.
책을 읽고 나서 아이들에게 이 책이 원래 이렇게 슬픈거냐고 물었더니 그렇단다.
쓰러질 듯한 오두막에 살고 있는 할아버지와 어린 손자, 그리고 그 집에 온 상처 입은 개 한마리
할아버지는 너무나 가난했고, 작은 수레에 우유를 실어다가 내다 파는 일을 하고 있었지만, 이제 나이가 너무 들어서 그것도 어려운 일이
되었다.
어느 날 길가에 쓰러져 죽어가는 개 한마리를 집으로 데려오게 된다. 그 개의 이름은 파트라슈
일 잘하는 혈통의 개로 그 동안 철물점하는 주인에게 학대를 받아 개는 거의 죽기 직전으로 쓰러져 있었던 것을 할아버지와 넬로가 집으로
데려와 쉬게 했더니 개는 다시 살아났다.
파트라슈는 자신을 살려준 새 주인에게 은혜라도 갚으려는 듯이 할아버지가 끌던 수레를 자신이 끌겠다고 나섰다.
그 후 파트라슈와 넬로는 할아버지 대신에 우유 수레를 끌며 행복하게 살았다.
넬로는 방앗간집 딸 아로와와 친하게 지냈었는데, 아로아의 아버지는 넬로가 가난하고 아로아를 그린 그림을 보면서 그림은 잘 그렸지만 그림을
그린다는 사실을 탐탁치 않게 생각했다.
넬로는 그림을 좋아하고 사랑했지만 교회당의 루벤스 그림을 보려면 돈을 내야했다.
루벤스가 자신의 그림이 돈 있는 사람에게만 보여지기를 원했던 것도 아니었을텐데 말이다.
넬로는 그림대회에서 일등을 해서 상금을 받으면 그것으로 크리스마스를 즐겁게 보내리라고 생각했다.
그러나 불행은 연이어서 일어났다.
힘이 없지만 언제나 넬로를 지켜주던 할아버지께서 돌아가시고, 방앗간의 화재 범인을 아로아의 아빠는 넬로라고 지목을 했다.
마을 사람들은 그런 넬로를 외면하고, 그림 대회에서 넬로는 뽑히지 못하고 말았다.
이 작품은 1872년에 쓰여진 작품이다. 1872년 그 때를 살아가던 가난한 사람들의 고통이 그대로 느껴지는 작품이기도 하다.
넬로라는 아름답지만 가엾은 소년은 결국 교회 안에서 죽음을 맞이하게 된다.
모든 사람들이 행복한 시간을 보내는 성탄절에 가난한 소년은 주위를 무관심과 냉대를 이기지 못하고 자신을 사랑해주는 파트라슈와 함께 죽은
모습으로 발견된다.
지금 2012년을 살고 있는 우리 주변에도 넬로 같은 아이가 있을 것이다.
주인공인 넬로가 죽어서 너무 슬프기도 했지만, 140년 전 그때나 지금이나 사람 사는 것이 어렵다는 것, 그리고 가난한 사람들이 살기는 더
어렵다는 것은 아직도 변함이 없는 것 같다.
슬프고도 아름다운 동화를 읽으면서 현실을 돌아보게 된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