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름다운 아이 ㅣ 독깨비 (책콩 어린이) 22
R. J. 팔라시오 지음, 천미나 옮김 / 책과콩나무 / 2012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아름다운 아이라는 책 제목과는 달리 이 책의 주인공 어거스트는 안면기형을 가진 아이다.
안면기형을 가진 사람을 실제로 본적도 없지만 이 책에서 묘사하는 어거스트의 모습은 쉽게 상상이 되지 않는 얼굴이다.
그렇지만 어거스트는 얼굴만 빼면 모든것이 평범한 아이다.
얼굴때문에 홈스쿨링으로 공부를 하던 어거스트는 학교에 가게 된다.
안면기형을 가진 평범한 아이 어거스트가 학교 생활을 하면서 성장해가는 과정을 어거스트의 주변인물들의 관점에서도 이야기하는 것으로 이 책은 만들어졌다.
이 책을 읽으면서 장애인에 대한 미국인들의 배려에 대해 많이 놀랐다.
어거스트는 어린아이들이 보면 놀라거나 울음을 터트릴 정도의 얼굴이지만, 어거스트의 앞에서는 절대 그런 내색을 못하게 교육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그렇게 행동하지 않는것을 부끄럽게 여기기까지 한다.
그런데 우리나라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것 같다. 일반인과 조금만 달라도 돌아서 쳐다보고 그 사람에게 말을 걸어 묻기까지 하는 사람도 아직은 많다.
이런점은 우리나라 사람들도 아이들에게 꼭 가르쳤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런 미국사회지만 그 나라에도 남을 배려하지 않는 아이들이 있기 마련이고, 돈이 많다고 다른 사람을 얕잡아 보고 무시하는 사람들도 있다.
어거스트에게 학교를 소개해준 아이들 세명중에 한 명은 어거스트를 스타워즈에 나오는 괴물에 비유하면서 놀리고, 친구라고 믿었던 아이는 어거스트가 없는 자리에서 어거스트의 흠담을 늘어놓는다.
어거스트는 친구라고 생각했던 아이에게 그런일을 당하게 되자 큰 충격을 받게 된다.
물론 어거스트의 외모를 아무런 거리낌없이 받아들이는 아이도 있다.
만약 어거스트가 우리나라에 살고 있었다면 이렇게 생활을 할 수 있었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이 책에는 어거스트와 비아, 서머, 잭, 저스틴, 미란다의 관점에서 이야기가 쓰여져 있다.
같은 사건에서도 누구의 관점에서 보느냐에 따라 사건의 내용은 달라지기도 한다.
안면기형인 동생을 좋아하지만 모든 사람들이 그것을 아는것이 싫은 어거스트의 누나 비아의 입장이 너무나 이해가 갔다.
그리고 교장선생님의 부탁으로 어거스트를 가까이 했지만, 어거스트와 지내는 동안 자신도 모르게 어거스트를 좋아하게 된 잭, 그리고 아무런 편견없이 어거스트를 친구로 대해주는 서머, 비아의 친구이면서 어거스트를 친동생처럼 아끼는 미란다의 이야기를 읽다보면 같은 이야기속의 다른이야기를 볼 수 있다.
그리고 이 책을 읽으며 또 하나 부러웠던 것은 교장선생님의 행동이다.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교장선생님과 이 책속에 등장하는 교장선생님은 완벽히 다르다.
물론 어거스트가 특별한 학생이기 때문에 충분한 관심이 필요하겠지만, 우리나라의 교장선생님의 역할과 미국학교의 교장선생님의 역할은 많이 달라 보였다.
우리나라 학교에서 담임선생님이 하는 역할을 이책에서는 교장선생님도 함께 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 학교가 미국의 사립학교여서 가능한 것인지는 모르겠지만 우리나라도 좀 더 작은학교, 모든 선생님들이 모든 학생들을 아는 그런 학교가 필요하다는 생각이 들기도 했다.
아름다운 아이는 어거스트와 친구들의 이야기가 감동적이기도 하지만, 미국사람들의 장애인에 대한 태도와 학교에서 선생님의 역할에 대해 많은 것을 느끼게 해 준 작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