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른 개 장발 웅진책마을 44
황선미 글, 김은정 그림 / 웅진주니어 / 2012년 9월
평점 :
절판


 

 

푸른 개 장발을 읽다보면 미운 오리 새끼와 마당을 나온 암탉이 떠 오른다.

못 생긴 오리가 아름다운 백조가 된다는 미운 오리 새끼 이야기와 누렁이에게서 태어난 털이 긴 삽살개가 비교가 되기도 한다. 전혀 어미를 닮지도 않았고 다른 형제들과도 닮지 않아 외톨이 처럼 생활하기도 하지만, 결국에 이 개가 씨어미가 되어 주인 곁을 지키게 된다.

양계장에서 의미없이 알을 낳는 일이 싫어서 양계장을 탈출 해 자신이 낳은 알이 아닌 다른 알을 자신의 아기로 키운 암탉의 이야기와 자신이 낳은 새끼들을 모두 떠나 보내야 하는 개의 이야기는 모성애라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이 작품인 마당을 나온 암탉을 또 다른 방향에서 바라 본 작품이라는 느낌도 강하다.

 

푸른 개 장발은 책 표지를 봐도 알 수 있듯이 검푸른 털이 수북이 온 몸을 덮고 있다.

엄마 누렁이와는 생김새가 전혀 다른 이 삽살개의 긴털 때문에 이름도 장발이 되었다.

장발의 이야기를 읽으면서 개의 입장이 되어 글을 읽은 것 같다.

개가 새끼를 낳으면 새끼는 다른 사람들에게 주거나 파는것을 당연하게 생각하는데, 그것이 어미에게 어떤일이 될지는 생각지 못했다.

개와 사람을 동일시할 수는 없지만 그리고 1년 정도만 자라면 성견이 되는 개와 사람을 비교하는 것도 무리가 있지만 이 책에서는 지금까지 당연하게 여겨왔던 일들을 한 번은 마음에 담아 보게 한다.

 

형제가 죽고 어미와 새끼가 한꺼번에 도둑질을 당하고, 그 도둑을 신발을 끝까지 물고 늘어지는 장발, 그 사건으로 장발은  씨어미가 되었다.

목청씨는 장발 대신 누렁이를 씨어미로 하고 싶었지만 집에 남은개가 장발 밖에 없었다.

[자앙] 목청씨가 장발을 부를때 이렇게 부른다.

긴 털때문에 유일하게 이름이 생긴 장발을 자앙이라고 부르는 목청씨, 장발이 처음 낳은 새끼들을 모두 떠나보내야 했고 사나워진 장발은 주인의 팔뚝을 물어뜯기까지 한다.

이 둘의 관계를 보면 애증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장발은 자신의 새끼들을 떠나 보낸후 밖으로만 내돌고, 주인을 제대로 마주하지도 않는다.

그렇지만 장발이 다쳤을때 장발을 찾아 온 것은 주인 목청씨였다.

수레에 다친 장발을 싣고 가는 뒷모습은 지친 노년의 쓸쓸함이 가득 묻어난다.

쓸쓸한 마당에 늙고 주름진 얼굴을 한 목청씨와 긴털을 가진 장발이 막걸리 잔을 사이에 두고 앉아 있다.

목청씨가 장발과 술을 나눠 먹다니 하며 내 뱉는 말에는 늙은 목청씨에게 장발은 어떤 의미일까?

 

 

푸른 개 장발은 조금은 우울할 수도 있는 이야기다.

그렇지만 황선미 작가는 그냥 우울하게 내버려 두지 않는다.  목청씨의 손자 동이와 장발의 새끼 고리, 그리고 시누님이라 불리는 씨암탉과 늙은 고양이와 다툼이 책의 재미를 더해준다.

황선미 작가의 작품은 동화라고 하기에는 그 울림이 참 강하다.

마당을 나온 암탉을 읽으면서도 느꼈지만 동화를 동화로만 머물게 하지 않는 힘이 있다.

이 작품 역시 마당을 나온 암탉 이상의 감동을 주고 있다.

병으로 목숨이 경각에 달린 목청씨와 떠나보냈던 새끼 고리의 죽음을 마주하고 쓸쓸히 죽어가는 장발이 다시 환한 모습으로 만나게 되는 장면은 아름다움으로 가슴에 남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