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보 빅터 - 17년 동안 바보로 살았던 멘사 회장의 이야기
호아킴 데 포사다.레이먼드 조 지음, 박형동 그림 / 한국경제신문 / 2011년 3월
평점 :
품절


호아킴 데 포사다의 바보 빅터는 어떤 소설보다 드라마틱하다.

현실에서 일어나기 어려운 일을 보고 드라마 같다는 말을 하기도 하듯이, 바보 빅터 역시 자신이 바보인 줄 알고 살았는데, 천재였다는 드라마 같은 이야기이다.

17년간을 바보로 살았는데, 상위 2% 이내의 천재가 가입한다는 멘사의 회장을 지낸 인물 인 그가 왜 바보로 살아야 했는지에 대한 이야기와 빅터의 친구로 등장하는 로라의 이야기가 함께 실려 있다.

호아킴 데 포사다는 전작인 마시멜로 이야기에서와 같이 어려운 말로 독자를 가르치려 하지 않는다.

드라마를 보고 있듯이 빅터와 로라의 이야기에 빠져 있으면서 자연스럽게 그들의 삶에서 깨달음을 얻을 수 있게 유도하고 있다.

레이첼 선생님이 학생들에게 했던 간단한 실험에서 쉬운 결정이지만 누군가에게 방해를 받게 된다면 충분히 혼돈할 수 있다는 것을 알려 준다.

남의 말보다는 자신을 믿으라는 간결한 진리를 알려주기 위해 빅터와 로라의 삶을 절절히 보여 준다.

평생을 못난이로 살아온 로라에게 토크쇼에서 처음 알았던 자신의 사연을 듣고 같이 울지 않을 수 없었다.

자식을 위하는 길이라고 믿었던 부모의 행동이 자식을 평생 동안 고통 속에 살게 했던 것이다.

로라가 외모 콤플렉스에 빠져 자신의 인생을 망치게 되었던 것도 다른 사람의 이야기만 듣고 자신을 믿지 못했다는 점에 있다.

멘사회장을 지낸 빅터 로저스가 바보로 살아야 했던 이유가 아이큐173에서 선생님이 잘 못 적은 73이라는 숫자에서 비롯되어 남들이 바보라고 하니 자신은 바보가 되어 살아 온 것이다.

빅터가 그것을 깨고 나올 수 있었던 것은 자신을 믿어준 사람이 있어서였다.

책 속에 등장하는 애프리사와 테일러회장이 빅터를 알아봐 주었고, 로라는 레이첼 선생님이 작가가 될 가능성을 알아봐 주었기에 작가의 희망을 버리지 않았고 동화작가로 성공할 수 있었을 것이다.

책 속의 소녀와 발레리노라는 내용에서도 남이 자신을 평가하는 것으로 자신도 같은 평가를 하게 되어 포기한다면 분명 성공할 수 없다는 것이 나온다.

Be Yourself(너 자신이 되어라)는 큰 울림을 주는 말이 되었다.

남이 당신을 뭐라고 하든 간에 당신은 스스로를 믿어야 할 것이다.

자신이 스스로를 믿을 때 다른 사람도 나를 믿어 줄 것이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샹해요 2011-03-25 13:4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축복합니다.서평 잘 읽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