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출처 : 진/우맘 > (독서의 기술) 책을 자기의 것으로 만들려면 -효과적인 써넣기

  책에 질문을 던지면서 나아가는 습관을 익히게 되면 한 걸음 나아간 독자가 되었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앞에서도 말한 바와 같이 다만 질문을 던질 뿐만 아니라 그것에 대답하지 않으면 안 된다. 마음속으로 질문을 하거나 회답하거나 할 수도 있기는 하지만 손에 연필을 가지고 하는 편이 실제로는 훨씬 하기 쉽다. 연필은 독자의 정신의 활발함을 표시하게 된다.

 예로부터 ‘행간을 읽어라’하고 흔히들 말한다. 독서의 규칙도 이것을 고친 말투로 바꾼 것에 지나지 않는다. 여기서 ‘행간을 읽을’ 뿐만 아니라 ‘행간에 쓰는’ 것을 권하고 싶다. 이것을 하지 않으면 효과적인 독서는 바랄 수 없다.

 책을 샀을 때 그 책은 분명 독자의 소유물이 된다. 옷가지나 가구를 샀을 때와 마찬가지다. 하지만, 책의 경우 이것은 겨우 일의 시작에 불과하며, 책이 정말로 독자의 것이 되는 것은 독자가 그 내용을 소화하여 자기의 피와 살로 만들었을 때다. 자기의 피와 살로 만드는 가장 좋은 방법---그것이 행간에 쓰는 일이다.

 써넣기를 하는 것이 독자에게 꼭 필요한 것은 어째서인가? 첫째로 잠이 깨어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단순히 지각이 있다는 것뿐만 아니라 머리를 분명하게 해둘 수 있기 때문이다. 둘째로, 적극적 독서란 생각하는 것이며 생각하는 것은 언어로 표현되는 것이다. 자기가 생각하고 있는 것을 안다고 하면서도 그것을 표현할 수 없는 사람은 자기가 생각하고 있는 것을 정말로 알고 있지 못한 것이 보통이다. 셋째로, 자기의 반응을 적어두는 것은 저자가 말한 것을 생각해내는 데 도움이 된다.

 

 독서는 저자와 독자의 대화여야만 한다. 아마 저자는 그 문제에 대하여 독자보다 많은 것을 알고 있을 것이다. 그렇지 않다면 독자가 그 책을 일부러 읽거나 할 리가 없다. 그러나 이해한다는 작용은 일방통행이 아니다. 정말로 배우려면 자기 자신에게 질문을 던지고, 그리고 나서 교사에게 질문을 하지 않으면 안 된다. 교사가 말하는 것을 알았으면 교사와의 사이에 논의를 일으키는 것도 사양하지 않을 정도가 되어야 한다. 책에 써넣기를 하는 것은 단적으로 말하면, 독자가 저자와 의견을 달리하느냐 같이하느냐의 표현인 것이다. 이것은 독자가 저자에 대해 바치는 최고의 경의이다.

 

 효과적인 써넣기의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다. 몇 가지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1. 방선(傍線)을 친다. 중요한 곳이나 저자가 강조하고 있는 곳에 선을 친다.(진/우맘의 주석:방선이 뭐지? 찾아봤더니 ‘세로쓰기에서, 어떤 부분을 두드러지게 나타내려 할 때 글줄의 오른편에 내려긋는 줄. ¶방선을 긋다.’랍니다. 가로쓰기에서는 그냥 ‘밑줄을 친다.’고 하는 게 낫겠죠?^^)

 2. 행의 첫머리 여백에 횡선을 긋는다. 이미 방선을 친 곳을 강조하기 위해서, 또는 밑줄을 치기에는 너무 길 때.

 3. ☆표, ※표, 기타의 표를 여백에다 한다. 이것은 남용해서는 안 된다. 그 책 가운데 몇 군데의 중요한 기술을 눈에 띄게 하는 데 쓴다.

 4. 여백에 숫자를 기입한다. 논의의 전개에 따라 요점의 변천을 나타내기 위해서.

 5. 여백에다 다른 페이지의 넘버를 기입한다. 같은 책의 딴 곳에서 저자가 같은 말을 하고 있거나, 이것과 관련되거나 모순되는 것을 말하고 있음을 표시하기 위해서, 각처에 흩어져 있는 같은 종류의 발상을 정리하기 위해서다. ---을 비교 참조하라는 의미로 cf.를 사용하는 사람도 있다.

 6. 키 워드를 ○로 둘러싼다. 이것은 밑줄을 치는 것과 대개 같은 효과가 있다.

 7. 페이지의 여백에 써넣기를 한다. 어떤 곳을 읽다가 생각난 질문이나 대답을 기록하기 위해서, 또 복잡한 논의를 간단한 글로 마무리하기 위해서, 주요한 논점의 흐름을 따라가기 위해서 이것을 한다. 뒤표지의 면지를 사용하여, 나오는 차례대로 요점을 메모하여 자기 전용의 색인을 만들 수도 있다.

 써넣기를 하는 독자에게는 앞표지의 면지가 매우 중요하다. 공을 들인 장서인을 누르기 위해서 이 자리를 잡아두는 사람도 있지만, 그것은 경제적인 소유권을 나타내는 데 불과하다. 독자 자신의 생각을 기입하기 위해서 이 페이지를 잡아두는 편이 낫다. 책을 다 읽고 나서 뒤표지의 면지에 자기를 위한 색인을 다 만들거든, 앞표지의 면지를 이용하여 그 책의 대요를 써보는 것이다. 페이지를 따르거나 중점을 따라서가 아니라 기본적인 대요와 부분의 배열을 파악한 빈틈없는 구성으로 쓰는 것이다. 이것은 그 책에 대한 독자의 이해를 측정하는 척도가 될 것이다. 장서인과는 달라서 독자의 지적 소유권을 나타내는 것이다.

                                                      ------독서의 기술 48~50p '책을 자기의 것으로 만들려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전출처 : panda78 > JUNE CAREY 의 그림들


Monterey Vineyard  

 

 



Fall Vineyard  

 

 



A Taste of Heaven  

 

 



Lost in a View

 

 

  


Vigna Del Sole  

 

 

 



The Vineyard Floor

 

 

 


 

  



Mission Gate
  

 

 

 



The Mission Courtyard
  

 

 

 



The Mission at San Juan Capistrano
  

 

 

 




Eucalyptus Meadows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전출처 : panda78 > Stephen Gjertson의 Sleeping Beauty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전출처 : 밀키웨이 > 향토색 짙은 그림책 화가 김동성

김동성은 동양화를 전공한 작가이다. 그 역시 매우 사실적인 방법으로 성실하게 그림을 그리며 많은 그림책 작업을 해오고 있다.
『삼촌과 함께 자전거 여행』(채인선 글, 재미마주, 1998) 『안내견 탄실이』(고정욱 글, 대교출판, 2000) 『비나리 달이네 집』 (권정생 글, 낮은산, 2001) 『하늘길』(이문열 글, 다림, 2001) 등에 일러스트를 그려온 역량 있는 작가이다.

 

특히 그림책 『메아리』(이주홍 글, 길벗어린이, 2001)에서는 차지하는 비중이 큰 덕분에 그의 수묵 채색 그림이 힘껏 깊이를 품어내고 있다. 김동성에게는 부드러움과 넘쳐나는 힘이 동시에 있다. 아름다운 고향산천을 담아내기에 전혀 부족함이 없는 농익은 그의 붓질은 어느 것 하나도 허술하게 그리는 법이 없다. 인물의 동작이나 표정도 매우 자연스럽고 세련되다.

 

『메아리』에는 주인공 돌이가 산에서 헤매는 장면이 압권인데, 한 폭의 그윽한 동양화를 감상하는 깊이가 있고, 주인공 돌이의 심기를 온화하게 감싸는 듯, 길을 잃은 돌이의 공포를 스산하게 내뿜는 듯 복합적인 정서를 일으키는 독특함이 살아 꿈틀댄다. 온화한 기운이 감도는 마지막 장면에서는, 풀내가 느껴지는 산에서 어느덧 읽는 이에게마저 메아리가 들려오는 듯하다.


 


 


 



『북치는 곰과 이주홍 동화나라』(이주홍 글, 웅진닷컴, 2000)의 「은행잎 하나」도 주목할 만한 작품이다. 전체적으로 차분하게 가라앉은 한 가지 색조의 그림에, 오래된 은행 나뭇잎만이 유난히 샛노랗다. 이 작품은 은행잎이 한창일 때 그 광경을 본 사람들은 누구나 잊지 못할 그 이미지를 담아냈다. 노오란 그 색들이 바람에 파르락거리며 흔들리는 느낌....... 너무나 사실적인 그림에서 때로 가장 환상적인 분위기를 느끼는 그런 경험을 선물한다.


 


 

 




사실성이 환상성에 가 닿을 수 있는 이 진실 때문에, 사실적인 묘사에 주력하면서도 생략과 강조의 묘미를 잃지 않는 그림들은 항상 온기를 지니고 있다. 또한 이 두 작가의 그림 장면들은 영화적 앵글을 가진 듯 입체적이다.

특히, 김동성의 그림은 유화나 서양의 다른 재료들이 주는 맛과 탁월하게 다른, 어떤 가능성의 실마리를 던져준다. 수묵의 깊이는 안료를 흡수하는 종이의 호흡에서 그대로 드러난다. 수묵은 서양의 다른 채색 방법들보다 훨씬 깊은 호흡을 가진다. 수묵을 끊임없이 빨아들이는 종이는 발색부터가 다를 수 밖에 없고 이런 물성의 차이는 미묘한 분위기와 그대로 직결된다. 부드러움과 힘을 동시에 갖게 하는 것은 즉각적으로 반응하지 않은 종이와의 오랜 숙련의 결과로 빚어진 선묘의 맛인 것이다.

 

 

 

 





그리고 동양화적 방법이 갖는 주목할 만한 또 다른 힘이 있다. 동양화는 관념의 세계를 그린다는 말이 있다. 물결의 무늬나 많은 도상의 형태는 이미 완전한 패턴의 디자인적인 미학이 있다. 그러니까 매우 사실적인 묘사의 방식과 관념적인 묘사의 방식이 함께 어우러져도 전혀 어색하지 않은, 그런 신비한 점이 이미 있어왔다는 것이다. 이 같은 그림은 『북치는 곰과 이주홍 동화나라』에서 [북치는 곰]에서 느낄 수 있다.

 

 




장편 애니메이션 [바리공주]에 참여하였다.

 

 

 

 

 

홈페이지 http://kds.psshee.com/

 

작품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전출처 : 밀키웨이 > 노래와 이야기에 빛을 입히는 작가, 심스 태백


싹뚝싹뚝 자르고 붙이고 색칠해
옛 노래와 이야기에 빛을 입히는 작가, 심스 태백

하나하면 할머니가 지팡이 짚고서 좔좔좔 / 두울하면 두부 장수 두부를 판다고 좔좔좔 세엣하면 새색시가 거울을 본다고 좔좔좔 / 네엣하면 냇가에서 빨래를 한다고 좔좔좔……

기억하실는지 모르겠네요. 십 수년도 더 전에 '쓰리랑 부부'라는 개그맨 콤비가 불러 전국적으로 유행시켰던 노래입니다.
그러나 이 노래를 처음 만들어 부른 건 쓰리랑 부부가 아니었습니다. 언제 어디서 누가 왜 어떻게 만들었는지도 모르게 만들어져 어린이들 사이에서 불리던 노래였지요. 그들은 그저 이 노래를 기억해내 잘 써먹은 것 뿐이었습니다. 그리고 '쓰리랑 부부'라는 이름이 세월에 묻혀버린 지금도 이 노래는 여전히 기억되고 있습니다.

민요라 하기에도 동요라 하기에도 뭔가 모자란 느낌이 있는 이런 노래를 뭐라고 해야 할까요? 어쨌거나 이런 노래는 시대와 장소를 불문하고 끊임없이 만들어져 회자되고 있지요. 그런데 이런 노래들을 가지고 아주 독창적이고도 유머러스한 그림책을 만든 사람이 있습니다. 콧수염이 인상적인 작가, 심스 태백이 바로 그 사람이지요.

심스 태백은 뉴요커입니다. 젊은 예술가들의 도시, 세련된 멋쟁이들의 도시, 뉴욕 에서 자랐지요. 예술가의 아들로 태어난 그는 어려서부터 그림에 뛰어난 재능을 보였다고 합니다. 그러나 정작 예술가인 아버지는 아들의 재능에 별 관심이 없었고, 어머니가 열성적으로 미술 레슨에 끌고 다녔다고 하네요. 타고난 재능 덕분인지 어머니의 치맛바람 덕분인지 그는 마침내 'Music & Art High School'라는 유명 예고에 입학하게 되지요. 그리고 그곳에서 '아, 예술은 정말 즐길만한 것이구나!' 하는 '필'을 받아서 예술가의 길을 걷기로 작정합니다.
하지만 수염이 석 자라도 먹어야 사는 법. 예술가를 직업으로 삼은 심스 태백은 그래픽 디자인, 아트 디렉팅으로 생계를 해결하면서 몇 년에 한 번씩 어린이 책에 그림을 그렸습니다. 그 일을 아주 사랑했거든요.


그러다 보니 자기만의 그림책을 만들고 싶은 욕심도 생겨났지요. 자기가 직접 글도 쓰고 그림도 그린 책 말이에요. 그런데 막상 그림책을 만들자니 그림에는 어느 정도 자신이 있었지만 글에는 영 자신이 없었답니다. 그래서 1940년대부터 미국 전역에서 불리던 작자 미상의 노래 '파리 한 마리를 삼킨 할머니가 있었다네(There was an old lady who swallowed a fly)'를 가지고 그림책을 만들기로 했지요.
별 뜻도 없고 황당하고 우스꽝스러운, 하지만 생명력만은 강한 이 노래는 심스 태백의 손에 의해 멋진 그림책으로 탈바꿈하게 됩니다. 바로 <옛날 옛날에 파리 한 마리를 꿀꺽 삼킨 할머니가 살았는데요>라는 책이지요.


그렇다고 이 그림책이 단숨에 심스 태백을 스타로 만들어준 건 아니었습니다. 이 그림책은 정식으로 출판되기까지 무려 열두 차례나 거절을 당했거든요. 같은 내용의 그림책이 무려 세 권이나 나와 있었기 때문이지요. 이 책은 열두 번 가까이 거절당했습니다. 여기가 물어 보면 못 내겠소, 저기 가 물어 봐도 이건 이미 많이 나왔잖소. 작가로선 여태 했던 노력이 물거품이 되어 버릴 판이었습니다. 하지만 심스 태백의 그림책 만큼 '파리 한 마리를 삼킨 할머니가 있었다네'라는 노래의 묘미를 잘 살려낸, 게다가 새롭기까지 한 책은 없었던 모양입니다. 결국 바이킹 출판사 편집자의 눈에 띄어 정식으로 출간되었고, 1988년에는 심스 태백에게 칼데콧 상의 영예까지 안겨 주었으니까요.

심스 태백은 내친 김에 새로운 그림책을 하나 더 내 놓았지요(심스 태백은 유태계 미국인이거든요). 이 책
은 원래 Yiddish folk song인 “I had a Little Overcoat”라는 노래를 변형시켜 만들었대요. ―Yiddish는 동유럽계통의 유태인들이 쓰는 언어랍니다―
그게 바로 <요셉의 작고 낡은 오버코트가……?>라는 책입니다. 이 책 역시 2000년에 칼데콧 상을 수상하면서 심스 태백은 세계적인 그림책 작가로 인정받게 되었답니다. 이 책은 사실 1976년에 랜덤하우스에서 이미 한 번 나왔던 책입니다. 그때는 사실 그다지 인기를 끌지 못했습니다. 사람들은 그저 컬트 북 정도로 여겼지요. 1999년에는 독자들이 좀 더 포용력이 생겼는지 아니면 미국 교육이 다문화 교육으로 바뀌어서 그랬는지, 바이킹 출판사에서 다시 나온 이 책은 폭발적인 인기를 끌게 되었지요
하지만 그의 손자들은 할아버지가 그림책 작가라서가 아니라 맥도날드의 '해피밀 세트(어린이용 햄버거 세트 아시죠?)' 포장지를 처음으로 도안한 디자이너이기 때문에 인정해 준다는군요(--;).

심스 태백의 그림책을 보고 있자면 시골 장터나 서커스장, 민속 축제 같은 델 다녀온 기분이 듭니다. 흥겹고 가슴 두근거리고, 조금은 그리운 기분 말입니다. 그렇다고 그의 그림책이 촌스럽다는 이야기는 아닙니다. 옛 노래나 이야기가 지닌 생명력을 잘 살려내고 있다는 말이지요. 그것도 아주 새롭고 세련된 방식으로요.

심스 태백은 다양한 재료와 기법들을 섞어 그리는 걸 좋아하는 작가입니다. 연필, 펜, 크레용, 수채 물감, 과슈(아라비아고무로 반죽한 불투명 수채 물감)에서 꼴라쥬, 구멍 뚫기 기법(die cut hole)까지……. 이런 여러 가지 재료와 기법들이 옛 노래나 이야기를 즐겨 텍스트로 차용하는 그의 그림책에 새로움을 더해주지요. 이를테면 구멍 뚫기 기법은 '다음에는 어떤 일이 벌어질까' 하는 호기심을 불러일으키고, 꼴라쥬는 단순하고 절제된 텍스트에 없는 디테일들을 채워주는 식으로 말입니다.
하지만 이것저것 재료와 기법을 섞어 쓰기만 한다고 다 심스 태백 같은 그림책을 만들 수 있는 건 아니겠지요. 우리 나라에도 잊혀져 가는 옛 노래나 이야기에 새로운 빛을 입혀줄 수 있는 작가들이 하루빨리 나타나 줬으면 좋겠습니다.

현재 시각예술학교와 시러큐스 대학에서 강의를 하고 있으며, 아트 디렉터·그래픽 디자이너로도 왕성한 활동을 하고 있다. 지금까지 35편이 넘는 아동 도서 일러스트레이터로 활동을 하고 있으며, 2000년 칼데콧 상을 수상한 <요셉의 작고 낡은 오버코트가...?>와 <누가 음매~ 그랬니?>, <어유, 시끄러워!>등의 그림책이 있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진/우맘 2004-07-01 13:1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유태계 미국인, 이었구나. 이름이 하도 특이해서 도대체 어느 나라 사람인가 했죠.^^

1004ajo 2004-07-01 13:3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하하하. 그렇죠? 책도 독특하구요. 밀키웨이님 홈에서 퍼왔어요.
요즘 작가들에 대한 공부 아주 열심히 해 보려고 해요. 도움 많이 받고 있지요.
점심은 드셨나요?
아이들이 햇살이 없으니 자전거 타러 나갔다가 들어 왔어요. 점심 먹고 다시 앉아 볼까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