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 내리는 저녁 숲가에 멈춰서서]를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
-
눈 내리는 저녁 숲가에 멈춰 서서 ㅣ 세계 거장들의 그림책 5
로버트 프로스트 글, 수잔 제퍼스 그림, 이상희 옮김 / 살림어린이 / 2013년 1월
평점 :
내가 다니던 직장 화장실 벽에는 칸칸이 시가 한 편씩 적혀 있는데 내가 애용하던 화장실 칸에는 '정호승'의 '수선화에게'라는 시와 '로버트 프로스트'의 '눈 내리는 저녁 숲가에 멈춰 서서'가 있다. 그래서 난 본의 아니게 이 시를 수십 번 접하게 되었다. 두 시 모두 유명한 시이기에 읽으면 읽을수록 눈에 들어오기는 했으나 유독 '프로스트'의 시를 읽고 나면 한동안 의문이 풀리지 않아 시의 내용이 계속 머리에 맴돌곤 했다. 그가 왜 그 숲가에 머물러 있는지, 말방울 소리와 그의 시선이 주는 여운의 이유가 명확하지 않기에 나로 하여금 상상을 하게 만들곤 한달까? 사랑하는 이의 숲이기에 한 번 더 바라보게 되는 것인지, 아니면 추억이 얽힌 장소이기에 미소를 머금고 바라보는 것인지 도대체 그 숲은 어떤 일들을 감싸고 있는 것인지. 하얀 눈으로 가득한 숲 속에서 어서 가지고 보채는 말과 그런 말을 옆에 두고 혼자 서 있는 사람의 마음. 그 마음이 머금고 있는 게 뭘까 싶은 궁금증. 이 모든 궁금증 때문에 머리 속이 수런거림에도 불구하고 아무도 없는 눈 내린 숲 속에서 지그시 앞을 바라보는 한 사람과 그 옆에 서 있는 말의 풍경이란 묘하게 사람을 차분하게 만들곤 한다.
'로버트 프로스트'라는 이름을 떠올리면 나도 모르게 '죽은 시인의 사회'에 나오는 키팅 선생님을 떠올리게 된다. 그만큼 그 영화의 인상이 강렬했기에 그 영화 속에 나오는 '카르페 디엠'이란 대사와 '가지 않은 길'이란 시는 여지껏 뇌리에서 잊혀지질 않는다. 강렬한 시 구절 덕분에 '로버트 프로스트'란 이름이 나오면 나도 모르게 뒤를 돌아보곤 하는데 그래서 이 시에도 더 관심을 가진 게 아닌가 싶다. 그래서 이 책을 펼치면서 난 살짝 떨렸더랬다. 내가 상상만으로 그려보던 시의 장면들이 어떻게 표현되고 있을까라는 기대감 때문이었을 것이다. 하얀 배경으로 된 책 표지를 들추고 한 장 한 장 책장이 넘어갈수록 내 마음은 정적이었다.
머릿속으로 그리던 것을 눈앞에 보았을 때 드는 내 감정은 감동보다 서운함이었기 때문이다.
하얀 설원에서 모든 것이 멈춘 고요함과 눈 덮인 동물들의 고요한 움직임이 모두 잘 표현되고 있긴 했으나 어째 시시한 영상을 본 듯한 기분이 든달까? 다들 감동을 받았다는데 나의 마음은 좀체 울리질 않는다. 울 아가를 앉혀두고도 이 감정을 어찌 펼쳐줘야 할지, 시 속의 그림이 어떤 생각이 들게 할지 궁금증이 들지 않는 것은 나의 기대가 너무 컸던 탓이지 싶다. 울컥 울리는 감정은 아니더라도 가슴이 먹먹해지는, 차분해지는, 나도 모르게 다른 세상 속으로 빠져드는 느낌을 기다렸는데 그건 아니었다. 나에게 울림이 없었기에 아이에게도 설명할 방법이 없었다.
한 편의 글이든 그림이든 그것이 내 마음을 울릴 때에는 그럴 만한 이유가 있다고 본다. 내가 시를 읽고 가진 궁금증 만큼 이 그림이 품고 있는 이야기에도 좀더 관심을 기울여 볼 생각이다 내가 발견하지 못한 매력이 있을지 모르니 말이다. 그래서 일단 이 책에 대한 첫인상으로 평점을 매겨본다. 그리고 조금씩 여유를 두고 다시 한 번 그림을 바라보는 중이다. 혹 나만 놓치는 매력이 있으면 너무나 서운하니 말이다. 여튼 나를 붙잡는 아쉬움도 매력이니 별 세 개 반을 주고픈데 반이 없어 일단 세 개로..
* 알라딘 공식 신간평가단의 투표를 통해 선정된 우수 도서를 출판사로부터 제공 받아 읽고 쓴 리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