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능의 탄생 - RNA에서 인공지능까지
이대열 지음 / 바다출판사 / 2017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디테일한 내용들은 이해하기 어려웠다.
학창시절 지겹게 외우던 내용들.

하지만 전반적인 내용들은 읽을만하다.
인공지능, 딥 러닝이 대세!
인용할 만한 문구도 많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데카르트의 사라진 유골
러셀 쇼토 지음, 강경이 옮김 / 옥당(북커스베르겐) / 2013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고로 난 존재한다.

귀납법.

이런 짧은 말로 알려진 데카르트.
중고시절엔 그저 철학자 1로만 알았다.
아니 기억해야했지.

하지만 우리에게 근대를 가져다준 장본인,
의심과 비판을 알려준 인물,
끊임없이 이성을 쫓은 사람이었다.

이 위대한 사람의 유골이 사라졌다!
두개골은 진짜인가?

추리소설같은 인문서적.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밑줄 긋는 남자 - 양장본
카롤린 봉그랑 지음, 이세욱 옮김 / 열린책들 / 2000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그 남자'를 끝내 만나지 못한 결말이 다행스럽다.
상상 속의 그 남자의 이미지에 가장 부합하는 사람을 만날 수도 있지만
그렇지 못할 경우 받는 마음의 충격은 상상 그 이상일거야.

다소 아니 많이 생뚱 맞은 캐릭터의 주인공이지만 밉지 않다.
작지만 쇼킹한 사건으로 시작된 상상 속의 사랑.
이런 상상 한번쯤 가져봤을거야.

그래서 노래에도 있잖아!
'내 님은 어디에 있나. 서울에 있나 대전에 있나 부산에 있나~'

상상 속의 반쪽.

상상은 상상으로 끝내야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여행자의 옛집
최범석 지음 / 마음산책 / 2010년 11월
평점 :
절판


그 흔한 화분 하나를 키워도 얼마나 많은 손이 가는지 키워본 사람은 안다.
하물며 흙을 직접 일구어 꽃과 나무를 키우는 일은 일일이 설명하지 않아도 그 수고를 알 수 있다. 시골에서 어린 시절을 보낸 나에게는 친숙한 장면들이 곳곳에서 나왔다. 시골에서는 늘상 일어나는 일들이다. 하지만 도심 한가운데에서 이런 판을 벌일 생각을 할 수 있는 사람은 몇 없을거다.

그래서 많이 부러웠다.

고향이라면 많은 사람들은 지방, 시골, 농촌 이런 단어를 먼저 떠올린다. 방학 때 할아버지 댁에 갔다 왔다고 하면 삽살개 뛰어다니고 감나무에 감이 주렁주렁 열린 시골이 연상되는 것처럼. 하지만 요즘은 시골도 심란하다. 하루종일 달리는 차들 때문에 시끄럽고 중국집 배달 오토바이가 질주를 하고 있다.

서울같은 도심이 고향인 사람들은 고향에 대해 어떤 이미지를 가지고 있을까?

이책의 무대가 되는 집, 학소도는 서울 도심 속에 있다. 아마도 집주인이 학창시절을 외국에서 보냈기 때문에 서울보다는 어린 시절을 보냈던 집을 그리워했기 때문에 다시 되돌아갈 생각을 하지 않았을까? 아파트에서 태어나고 자랐더라면 결코 다시 찾지 않았을거다. 못하겠지.

내가 태어나고 자란 집은 오래 전에 새롭게 지어졌다. 이 책을 읽으면서 이런 시절 자라던 고향집의 기억 조각이 조금씩 떠올랐다.

마당이 있는 집을 여전히 꿈꾸고 있지만 도심에서 마당있는 집은 꿈속 희망일 뿐, 현실은 아파트 몇동 몇호에 살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