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가의 방 - 우리 시대 대표 작가 6인의 책과 서재 이야기
박래부 지음, 안희원 그림, 박신우 사진 / 서해문집 / 2006년 6월
평점 :
품절


좀 지난 책이지만 책장에 곱혀 있어 읽다보니 며칠전 읽은 작가의 집이랑 비슷한 구성이다.이시대 6인 이문영,김영하,공지영,김용택,신경숙..한명은 누구더라?..아! 강은교 

들여다본 중심테마는 책방 즉 서재이다, 작가의 집에서 본 으리으리한 정도의 집이 아닌것 같아 조금 소박한 느낌이 든다.한국의 책잭이들과도 비교해 볼때 그렇게 책이 많은 것도 아니다. 

그러나 모두 내노라하는 한국의 베스터셀러 작가이자 유명한 교수이거나 그래서 그런지 서가의 책들은 전문서들이 많은것 같으면서도 아늑한 느낌이든다. 

일단 서재를 갖추려면 돈도 좀 있어야지 제대로된 서재 모습을 갖출수 있을것 같다. 

첫번째 소개된 이문열의 공부방은 그때가 참여정부 시절때라서 그런지 자신이 우파로써 핍박(?)받은 얘기들이 많이 나온다. 뭐 자기가 한일합방은 형식적 국제법상 정당하다고 했는데 언론에서 형식적이라는 말만 빼놓고 썼다는둥 ...억울하다는 둥...정신세계가 조금 이상하지만 그렇게 나븐 사람은 아닌것 같다.(뭐, 알고 보면 세상에 나븐사람이 어디 있겠냐만은...) 

신경숙의 방은 정말 탐나는 공간이다.서재에 꼽힌 책하며 1.2층간 맞춰서 짠 책장이 너무 멋졌다. 작가들도 베스터셀러가 하나 나와야 제대로 된 집이며 서재를 각출수 있다고 하니 ... 

나만의공간 서재를 갖고싶은 사람들은 이책보고 나도 이런서재하나 꼭 만들어야지 생각이 들게하는 재미를 불어주는 책이다.심심풀이로 읽어도 재미 있을듯..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서울, 북촌에서 - 골목길에서 만난 삶, 사람
김유경 지음, 하지권 사진 / 민음인 / 2009년 11월
평점 :
품절


교보에 들렀을때 사진이 너무나 잘되어 있길래 꼭 사보아야지 하면서 알라딘에서 주문한 책이다.
항상 나는 오프라인에서 책 질감을 먼저 본뒤, 가격을 확인하고, 그다음 차례를 쭉 훓어본다
내용은 대충 몇장만 보다가 흥미가가면 바로 찜한뒤 알라딘에서 책을 구입한다. 


내가 알라딘에서 책을 구입하는 이유는   

첫째 , 책값을 우선 고려한다.2~3년 지난 책이 20~50%하는 책을 오프라인에서 살 수는 없지 않은가? 오래 지난 책은 오프라인에서도 사게 해줘야 되지 않을까 싶다.
왜냐하면,그때까지 읽을 사람은 다 읽었을것이기때문에 그다음부터는 덤이기 때문이다. 

둘째, 단골이기 때문이다.술집도, 식당도,카페도 단골에가야 마음이 좀 놓이기 때문이다.이것도 이유가될지 모르겠다.  

세째,알라딘 서비스가 좋다(A/S도 중요한 구매 요인이다.)
네째, 알라딘 블로그들이 어느공간보다도 수준이 높다. 

하여튼 좋은점이 많은 온라인서점임에는 틀림없다.그런데,요즘 알라딘에서 비정규직해고문제로 불매운동에관해 조금 의견 차이가 있는것 같다.의견 차이는어디를 가도 있지만 이번건은 조금 심각한것같다.
전에도 그랬지만 나는 유시민이가 조금 얍삽한 완전 자유주의자라 생각해서 싫어 했지만 심각한 진보주의자 보다는 같이 술한잔 마시고 싶은 사람으로 요즘은 느껴진다.
우리사회는 특히 내주위는 너무 심각한 일들이 많이 생긴다.그래서 나는 티비를 안본다.한나라도,민주당도 꼴보기 싫고, 민노당과 진보신당 이야기만 나오면 한숨만 나온다. 

그나마, 이곳은 마음 편하게 격식있게 사건을 다루는 사람들이 많다.한마디로 수준이 높은 편이다. 불매운동을 하든 불매운동을 반대하든 수준 높은 논의들이 오고 갔으면 한다.서로 마음 상하는 일이 없게...그럼 나는 불매운동 취지는 찬성하지만 실천에는 못 옮긴다.나는 책을 사야하고 비싼돈을 주고 책을 살 수는 없으니깐..만약 내행위가 사회발전에 치명적이라면 실천에 옮길수 있을것이나, 이건은 그정도 수준은 아닌것 같다. 

리뷰를 쓸려고 했는데...쯥.. 

이책은 생각보다 그림이 적고 글이 많다,딱히 북촌이 아닌 근대 즉 조선말의 사람들과 왕조에대해 관조적으로 보고있다.저자는 오리지날 서울사람들에대한 애착도 강한것 같다.나도 북촌은 몇번이나 가봐서 북촌만큼은 조금 안다고 생각했는데 의외로 숨은곳이 많이 있다. 

이번 주말에 한번 더 가봐야 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작가의 집 - 책들이 탄생한 매혹의 공간
프란체스카 프레몰리 드룰레 지음, 이세진 옮김, 에리카 레너드 사진 / 윌북 / 2009년 11월
평점 :
품절


가벼운 책이면서 좋은 그림을 보여주는 책이다.작가들 중에서 너무나 유명한 이도 있지만 이태리,스웨덴,덴마크 작가들은 이름도 어렵고 잘 외워지지도 않은 이름들이지만 괘나 유명한 모양이다.나의 무지를 탓 할수밖에... 

한마디로 베스트셀러 작가가 되어야만 인세로 자기만의 집을 가질수가 있나보다.지금도 마찬가지로 한번 떠야 제대로 된 집 한번 안 살아 보겠냐만은.. 신경숙,공지영쯤 되야  쯥..우리의 아직 불쌍한 문인들은 쥐꼬리만 원고료로 생활하기도 바쁠터이니 거의 그림의떡이라고 봐야 하지 않겠는가? 하물며 인문,사회관련 서적 집필자는 절대 베스트셀러가 안될터이니 헛일(돈문제)만 하고 있는 셈이다.나도 이책보고 와 정말 이런집 한번 살아봤으면 하는 생각이 드는데 진짜 작가들은 오죽할까 싶다.아, 물론 작가들은 내면의 세계와 다른 세계관을 가졌으리라 보고 이런 물욕과 욕심은 없다고 믿고 싶다. 뭐, 그런거지... 

다만, 요즘 작가들에게 아쉬운 점은 300페이지 안쪽 장편소설 한번으로 거의 판가름 나는데,우리도 외국소설 처럼 500~600페이지나 나가는 이야기는 안되는가 싶다.조금 깊이가 없다는 느낌을 지울수가 없다.언제 한국인이 쓴 카라마조프가의 형제같은 이야기를 읽어볼 날이 있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한국의 책쟁이들 - 대한민국 책 고수들의 비범한 독서 편력
임종업 지음 / 청림출판 / 2009년 9월
평점 :
품절


오래간만에 책에대한 재미있는 책을 읽었다.나도 책을 좋아하지만 이책에서 소개되는 사람들의 책에대한 열정은 한마디로 무서웠다. 

이사갈때마다 웃돈을 주고 책을 옮기고, 책때문에 집이 무너질것같아 이사를 한다던지,그리고 아내 몰래 책을 사다가 같이 사네 안사네 등등...누군가 책산돈으로 부동산을 했으면 엄청 돈을 벌었을거라는등..수도 없이 사연도 많다. 

한가지 아쉬운점은 일반인 보다 출판쪽,교수,독특한직업군등 진짜 일반인은 별로 없는거 같았다.아니 목수인 직업을 가진 사람 정도? 

책이 2만권이면 얼마나 되는가 싶어 나도 대충 눈으로 집에있는 책을 훓어보니 한 1,000권쯤 될려나?많이 모은다고 했지만 한마디로 택도 없는 수준이다. 앞으론 읽던 안읽던 부지런히 사다 모아야지 하는 생각이 든다. 

사람이 뭐라도 취미가 있어야 되지만 책을 읽는 독서와 책을 사모으는 책쟁들과는 조금 다른것같다.도서관에서 책을 빌려 읽는 사람들은 뭐하러 비산 돈주고 책을 사보냐고 타박하는 경우도 있지만 책을 만져보고 훓어보고 감상하는 그 재미를 몰라서 하는 말이다.아마 책 좋아하는 사람들은 어떤것인지 알거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사이더 하우스 1
존 어빙 지음, 민승남 옮김 / 문학동네 / 2008년 9월
평점 :
절판


호머웰즈는 고아이면서 자기의 삶을 개척해 나간다.닥터 웰치라는 인생의 스승이자 자기 아버지뻘되는 원장으로부터 주님의일 즉 낙태에관한 경험을 하게 된다.이러한 경험이 자기가 캔디라는 여자를 만나게되고 아들까지 얻는다. 

규칙에관한 생각,서로의 규칙을 어떻게 지켜나가며 어떻게 일탈하는지에대한 호머의 생각,누구를 위한 규칙인지? 그것은 무조건 지켜야 하는 것인지? 

하여튼 고아원의 오랜 친구이자 그의 공포의대상 멜루니를 다시 만나면서 자기가 무슨 짓을 하고 있는지 깨닫게 되고 자기의고향 고아원으로 다시 향한다. 

쓸모있는 인간,누군가의 영웅이되기위한 삶을 살겠다는 호머의 삶은 결국 자기자신을 찾아가는 해피엔딩으로 이 소설은 끝난다. 

아직도(이소설의배경이되는 시대) 인종차별이 남아있는 남부에서 벌어지는 이야기는 긴장감과 묘한 긴박감까지도 전해 주지만 전반적으로 이소설은 밝고 아름다운 이야기임에 틀림없는걱 같다.영화로도 만들어졌다는데 안보서 모르겠지만 재미 있을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