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할 때와 죽을 때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246
에리히 마리아 레마르크 지음, 장희창 옮김 / 민음사 / 2010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서부 전선 이상없다>,<개선문>에 이은 <사랑할 때와 죽을 때> 에리히 마리아 레마르크의 대표적인 3부작 반전소설이자 전쟁소설로 세계 독자들의 눈을 사로잡은 대표적인 작품들입니다. <서부 전선 이상없다> 가 제1차세계대전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면 이번 작품인 <사랑할 때와 죽을 때>는 2차세계대전 그중에서도 패망이 짙어가는 시기를 배경으로 최전방과 후방을 배경으로 전쟁의 참혹성과 그로 인한 인간성의 상실 그리고 상실된 인간성의 회복을 테마로 가지고 있는 암울하면서도 상당히 무거운 분위기를 가진 작품이기도 합니다. 전작들에서 이미 살펴봤듯이 이번 작품 역시 레마르크가 아니면 그려낼 수 없는 서사와 등장인물들의 심리묘사 그리고 전쟁이 가져다 주는 인간성 상실에 대한 테제를 다시한번 만끽할 수 있는 작품입니다. 사실 레마르크는 1차세계대전에 직접 참전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서부 전선 이상없다>를 집필할수 있었죠. 여기에 히틀러의 나치스가 집권하기 바로 직전 독일을 탈출하여 망명길에 오르는 경험을 바탕으로 <개선문>을 집필하여 세계독자들의 시선을 받게 되었지만 이번 작품이 배경인 2차세계대전은 미국 망명길에 지켜봐야하는 입장이었습니다. 그래서 혹자는 다소 리얼리티가 떨어진다고 평할 수 있겠지만 오히려 제3자적인 시각에서 주인공 그래버라는 독일 병사의 시각으로 바라본 가해자 측의 담론이 더 실감있게 다가온다는 점에서 설득력이 강하게 전달되는 효과를 맛보게 되는 작품입니다.


          자 그럼 이번 작품의 가장 큰 특징부터 살펴보죠. 이번 작품은 가해자측인 독일의 일개 병사를 주인공으로 작품은 출발하여 끝까지 독일군의 전투 그리고 독일 후방의 스토리와 등장인물 거의 모두가 독일인들로 구성되어 있죠. 여기에 독일인 작가라는 점에서 자칫하면 오해의 소지도 있을법 하죠. 왠지 자의적인 해석과 시각으로 담론을 끌어갈 개연성이 농후하기 때문인데요. 본격적으로 작품을 대하다 보면 그런 오해를 눈녹듯이 사라져 버린다는 것입니다. 오히려 독자들로 하여금 가해자인 독일군과 독일국민들에 대해 측은한 마음이 들면서 나도 모르게 손을 내밀게 된다는 느낌만저 들게 하니까요. 레마르크는 전쟁이라는 커다란 틀에서 살아가야했던 인간들과 인간성의 상실 그리고 회복이라는 테마를 피해자측이 아닌 가해자측을 조명함으로써 오히려 더 설득력을 부여했기 때문인것이죠. 아마도 피해자측을 중심으로 작품을 구상했다면 그 설득력보다는 적개심과 복수라는 또 다른 전쟁의 싹을 뿌리는 결과로 이어졌을지 모르다는 것이죠. 이러면에서 이번 작품의 대명제는 상당한 설득력과 흡인력을 무장하고 출발하게 되는 것입니다.


          본격적으로 작품속으로 들어가면 대전제를 기반으로 세가지의 설정을 가지고 있습니다. 하나는 당연히 러시아군과 대치하고 있는 최전방의 상태인데요. 작품의 첫부분으로 그야말로 전쟁의 기본적인 현상을 서사하고 있습니다. 구더기들이 죽음을 파먹는 부분의 묘사나 전쟁으로 인해 의식이 불안전한 병사들의 심리묘사, 그리고 내부적인 갈등등 일반적인 전쟁소설의 기본적인 프레임을 깔아놓고 있는 부분입니다. 그리고 기적같은 휴가를 얻어 고향(후방)으로 휴가를 나온 부분인데요. 여기서 부터 이번 작품의 진가를 맛볼 수 있는 것입니다. 대게의 경우 휴가라는 것은 전쟁과 이탈된 달콤함 낙원이나 천국을 뜻하지만 당시 독일의 후방은 전방이나 다를바 없는 그야말로 또 다른 지옥의 장소적 변경밖에 그 어떠한 의미도 없었다는 것이죠. 전방에서는 적이라는 개념이라도 주어져 있었다면 후방은 적과 동지가 동시에 존재하는 또 다른 전쟁터라는 것을 부각시킵니다. 거의 매일마다 이어지는 공습과 그 공습으로 인해 삶의 터전을 잃어버리는 사람들, 그 와중에 유대인과 사상적 낙오자들을 색출하는 장면들 모두가 적이될 수 밖에 없는 현실을 조장하는 권력자들 그리고 그런 권력자들에게 무방비로 끌여가야하는 대다수의 사람들을 보면서 독자들은 어쩌면 저들도 다 같은 피해자일수 있다는 생각을 갖게 합니다. 그리고 마지막 다시 전방으로 배경이 옮겨지는 부분에서 작가가 무엇을 독자들에게 말하는지 알게 됩니다. 이렇듯 이번 작품은 세가지 테마를 갖고 있지만 세가지 테마가 각각의 연결고리로 이어져 있고, 각각의 테마에서 자기 역활을 충실히 이행하고 있습니다.


          작품은 주인공 그래버 병장의 동선을 그림자처럼 밟아가면서 진행됩니다. 후퇴를 거듭하는 전방의 분위기, 동료병사들간의 갈등과 우정 그리고 전쟁의 참혹함과 공포감등이 서사되면서 전쟁소설의 스펙들을 채워나갑니다. 근데 러시아포로를 처형하는 과정에서 그래버의 의식에 변화가 일기 시작하고 이런 의식의 변화는 고향으로 휴가를 나간 삼주간의 시간속에 그대로 증폭되고 확대 재생산의 과정을 거치게 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사실 이부분이 이번 작품의 키포인트라고 할 수 있는데요, 전쟁의 직접적인 영향보다 간접적으로 다가오는 일련의 인간성들과 행위들이 실상 전쟁보다 더 공포스럽고 잔인하게 서사되고 있다는 점입니다. 오히려 전방에서 전투로 인해 벌어지는 서사들보다 더 리얼리티하고 멜랑콜리한 느낌을 뿌리고 있기 때문입니다. 총과 포탄보다 더 폐부 깊숙하게 상처를 주는 것은 다름 아닌 우리와 같은 인간들이라는 것이죠. 그런데말이죠 자칫하면 우리는 이런 인간성의 표출이 어쩔수 없는 상황에서 강요된 연출된 형식이라고 항변할 수 도 있다는 것이죠. 특히나 가해자측인 입장에서는 더욱더 그렇고 싶어지는게 인지상정이라는 것이죠. 그런데 레마르크가 서사하고 있는 담론은 비단 그런 강요나 통제가 있었다고 해도 작위적인 부분은 감출수 없다는 것을 여실히 보여줍니다. 게슈타프를 피해 도망다니는 유대인 요제프의 말을 빌리자면 바로 '탄력적인 양심' 을 가진 사람들이 이에 해당되고 이런 양심의 소유자들이 실상 많이 존재했다는 것을 작가는 보여주고 있습니다. 상당히 냉철한 자아비판이자 가해자나 피해자를 떠나서 전쟁을 고찰할 수 있는 기본적인 요인이라고 봐야할 것 같습니다. 언제든 어떠한 상황에서든 탄력적으로 작용할수 있는 양심은 우리들은 지금도 경험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작중에서 인상적인 서사들이 즐비하게 등장하지만 개인적으로 "파리의 날개를 뜯어내는 어린아이의 만족스러움" 이라는 서사는 아마도 전쟁의 참혹함을 이보다 더 어떻게 정곡을 찌르는 서사가 있을 수 있을까라는 생각이 드는 표현인데요. 작품 전반에 흐르는 전쟁의 참혹함, 살벌함등을 정말 현장에 있는 것 처럼 묘사해서 화약냄새를 느끼게끔 하지만 무엇보다 전쟁의 잔인성을 보여주는 대목이라는 생각이 드네요. 그리고 "털과 옷에 사는 이들은 머리쪽으로 올라가지 않는다. 그것은 그들만은 오래된 법칙이고 이들은 상대방의 영역을 존중하였으며 전쟁이라는 것을 몰랐다." 라는 서사에서도 왠지 인간이라는 자체에 대한 혐오감마저 불러오게 할 만큼 자아비판적인 생각을 갖게 합니다. 제로섬 게임에 너무나 익숙해진 우리에게 모잘것 없는 생명체인 이가 시사하는 바는 상당하다고 봐야겠죠. 이렇듯 이번 작품은 전쟁의 피해를 묘사하는 방식에서 그 격이 달라 보이는 서사들이 많다는 점과 독자들의 폐부를 찌르는 담론과 사유들이 산재하고 있다는 점에서 읽을거리가 풍부한 작품이라 생각됩니다.


          전반적으로 반전소설의 바이블이라고 해도 결코 잘못된 표현은 아닐 것 입니다. 특히 '가해자측에서 바라본 시각' 이라는 형식을 취하고 있다는 점도 유니크한 점이구요. 무엇보다 이러한 시각이 오히려 더 전쟁의 폐해와 인간성 상실 그리고 회복에 대한 설득력을 정당화 시키는 테제가 되지 않았을까라는 생각이 절로 드는 작품이기도 합니다. 등장인물들의 섬세한 심리묘사와 더불어 전쟁의 공포를 이처럼 리얼하게 표현할수 있을까라는 생각이 드는 배경 서사들이 절묘한 조화를 이룬 작품입니다. 이번 작품은 <서부 전선 이상없다>,<개선문> 에 이어 연대기 형식의 흐름을 느낄수 있으면서 반전문학의 대미를 장식하는 작품으로 독자들 뇌리속에 오래토록 각인될 작품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