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주가 달아준 듯한 플라스틱 카네이션을 다신 할머니a가 내 앞에 섰길래 자리를 양보하려 했다. 극구 사양하시길래 좀 무안하지만 다시 앉았다. 그러다 할머니a보다는 좀 젊은 듯한 할머니b가 타시길래 다시 자리 양보를 하려고 일어서는데 할머니a가 내 어깨를 짚으며 못 일어나게 막으시는 거다. 난감했다.
그러다 마침 내 옆자리가 비어 할머니a가 앉게 되었다. 홀가분한 마음으로 할머니b에게 자리를 양보한 뒤 좀 떨어져 서 있었다. 몇 정거장 뒤 할머니a 옆에 자리가 났는데 이 분이 엎드려 눕다시피하며 그 자리를 사수하면서 나를 부르시는 거다. 민망하게도 결국 그 옆에 앉았는데 이때부터 할머니a의 폭풍 잔소리.

지금 이 나라에 노인이 얼마나 많은 줄 알아? 일일이 양보하면 내도록 자리에 못 앉아. 노인들도 힘이 역사급으로 많은 사람이 태반이야. 자기 실속은 자기가 챙기고 살아야지. 등등.

하하. 자리 양보했다고 혼날 줄이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014년 봄 회사에 정나미가 떨어졌다.
그 후 오래오래 참고 있었다.
이번주 월요일 관변행사로 외부에 있는데
희망퇴직 공지사항이 올라왔다는 얘기를 들었고
나는 그 첫번째 신청자가 되었다.
드디어 오늘 퇴직이 확정되어
평소라면 일하는 시간에 까페에 앉아 이 책을 읽노라니
퇴직금을 들고 터키에 가야 하나 싶다가도
아직 고등 초딩인 애들을 생각하면 과욕인 듯 싶다.
고작해야 내 간은 터키를 그리며 영남길을 걸을 듯 싶다.
언젠가는 언젠가는 이스탄불이나 마카오를 갈 날이 있길.



댓글(6) 먼댓글(0) 좋아요(1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hnine 2017-04-28 21:0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와, 조선인님! 2004년부터라니 오래 버티셨네요.
그야말로 <열심히 일한 당신 떠나라>는 말을 들으실 자격이 되세요.
터키는 터키대로, 영남길은 영남길대로, 의미있겠지요.
(저도 오늘 사의 표명을 한 사람으로서 마음이 술렁술렁합니다. 저야 뭐 겨우 5년 동안 하던 일이긴 하지만 ^^)

비연 2017-04-28 22:2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조선인님, 홧팅이에요^^
터키 곧 가실 수 있기를.. 이제까지 열심히 일하셨으니 당분간 누리시길!

hanicare 2017-04-29 16:5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마로가 벌써 고딩.견디는 하루하루는 참 긴데 뭉텡이로는 휘리릭 넘어가네요.저도 싫어싫어하며 겨우 4개월째인데 휴...참 오래 견디느라 고생하셨습니다.

조선인 2017-04-29 17:2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hnine님. 오타에여. 2014년... 이 회사가 12년으로 제일 오래 다닌 회사인데 시원하면서도 좀 서럽네요.
비연님. 감사. 가고 싶은 마음은 굴뚝인데 일단은 실업급여도 신청해야 하고 어째야 하나 싶습니다.
하니케어님 이제는 또 다른 지옥불을 걸어야겠지요. 하아. 참 간단없는 세상살이입니다

2017-08-13 13:32   URL
비밀 댓글입니다.

조선인 2017-08-13 17:1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네. 고딩임다. ㅎㅎ
 

아들과 삼남길 마지막 구간을 해치우기로 했다. 인덕원역을 벗어나자마자 관악산 둘레길이다. 살짝 이탈하여 청동기 유적을 보러왔는데 헐. 청동기시대에 파마와 성형수술이 있었다니 놀랍다. 크크
2017년 04월 16일위치보기 〉
화훼단지를 지나느라 그야말로 계속 꽃길이었다. 그러다 문득 야산을 하나 넘었는데 정부과천청사가 나왔다.
2017년 04월 16일위치보기 〉
설마 관악산을 올라야 하나 살짝 겁먹었는데 다행히 길이 꺾인다. 안타깝게도 문이 닫혀 향교는 구경 못했다. 계곡물 소리를 들으며 다리쉼을 했다.
2017년 04월 16일위치보기 〉
벚꽃이 지는 중이라 개울에 가득 꽃잎이다.
2017년 04월 16일위치보기 〉
절인 줄 알았는데 와 보니 조선시대 관리 객사였단다. 정조대왕이 직접 쓴 편액이라는데 명필 같지는 않다. 조선시대의 과천청사 자리이기도 한데 지금은 과천 건강가정지원센터가 한 둥지다.
2017년 04월 16일위치보기 〉
곧 재개발이 들어갈 아파트니 조만간 영화 속에만 남을 건물이다.
2017년 04월 16일위치보기 〉
관악산 계곡 옆을 지나 그 옛날 마지막 호랑이를 잡았다는 남태령 고개를 넘었다. 드디어 삼남길 완주.
2017년 04월 16일위치보기 〉

에필로그
다음 목표는 영남길 완주.



댓글(1)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얄라알라 2017-07-30 23:4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과천향교 계곡 8월엔 꼭 가보고 싶은 곳이지요
 

아침에 일어나니 날이 좋았다. 비온 뒤 모처럼 깨끗한 공기를 낭비할 수 없어 집을 나섰다. 아이들은 제 일정이 바쁘고 남편은 출근이라 다시 혼자 걷는 길이다.
2017년 04월 02일위치보기 〉
표지판에는 백로서식지라는데 검둥오리가 장악했다. 망원경이 설치되어 있어 철새관찰이 가능하다. 작은 섬의 검은 꽃처럼 보이는 게 죄다 검둥오리다. 서호는 정조가 내탕금, 즉 왕실의 사비로 만든 축만제에 의한 농업용 인공저수지다. 누구는 세금으로 월 2천만원씩 올림머리를 하는데 썼는데, 정조대왕의 품격은 확실히 다르다. 덕분에 후손들은 국제 관개시설문 유산을 가지게 되었으니 말이다.
2017년 04월 02일위치보기 〉
서호천을 한참 따라가다보니 할아버지 한 분이 낫으로 풀을 베고 있다. 갸우뚱한 광경이라 뭐지 싶었는데 알고보니 이곳의 토끼 먹일 풀이었다.
2017년 04월 02일위치보기 〉
스탬프도 찍을 겸 화장실도 들릴 겸 해우재. 작은애 배변훈련할 무렵 놀러왔었는데 화징실 넓고 깨끗하기로는 최고다.
2017년 04월 02일위치보기 〉
지지대 휴게소에서 커피 한 잔으로 다리쉼을 하고 다시 걷자마자 지지대비가 나온다. 수원의 관문인데 조선시대에 정조가 이 고개에서 마지막으로 융건릉을 돌아보곤 했단다.
2017년 04월 02일위치보기 〉
산길 도중 느닷없이 서호천길이 끝나고 모락산길이 시작했다. 이제 수원이 아니라 의왕이다.
2017년 04월 02일위치보기 〉
삼남길 이야기를 누군가 고의로 파손했다. 이런 일은 처음 봐서 신고를 해놓자 싶어 사진을 찍고 돌아서보니 이유를 알겠다. 박근혜의 가장 큰 업적은 박정희 신화 깨부수기라는 우스개소리가 납득이 간다. 나도 신고할 생각이 없어졌다.
2017년 04월 02일위치보기 〉
모락산길은 두 갈래이다. 의왕도서관 방향은 시내일 거 같고 한참을 돌아가는 길이길래 통미마을로 왔다. 오매기마을에 접어들어서야 지도를 보고 깨달은 건 사근행궁터 스탬프를 못 찍었다는 거다. ㅠㅠ
2017년 04월 02일위치보기 〉
아무 생각 없이 걷다보니 의왕 산들길을 따라 걷고 있었다. 도로 삼남길을 만난다고 무턱대고 gps 좌표만 믿고 가다보니 등산로도 없는 산을 헤매게 되었다. 어찌어찌 우여곡절에 멀리 보이는 민가를 목표로 내려가보니 남의 집 마당에 내려가게 됐다. 내 맘대로 대문을 열고 나갈 수 없어 허락을 얻자 싶어 현관문으로 조심스레 다가가니 할머니 한 분이 먼저 문을 열고 나오셨다. 
길도 없는 뒷산에서 사람이 내려오는 걸 수상스레 보고 계셨나 보다. 사정을 듣고는 친절히 대문도 열어주시고 모락산길을 도로 만날 수 있는 빙향도 일러주셨다. 
무사히 모락산을 내려와 보니 다리가 후들거려 코앞의 전통찻집에 들어갔다. 손수 만드셨다는 진한 대추차와 가래떡구이로 점심을 대신 했다. 다육식물 작품을 파는데 하나같이 재기발랄한 아이디어가 넘친다.
2017년 04월 02일위치보기 〉
뉘집 강아지가 자꾸 따라오며 길동무를 해준다.
2017년 04월 02일위치보기 〉
원래 여기까지만 걸을 작정이었는데 컨디션도 괜찮고 아직 시간도 이른 듯해 조금만 더 걷기로 했다.
2017년 04월 02일위치보기 〉
학의천과 청계천이 합류하는 다리다. 왼쪽이 청계천. 오른쪽이 학의천. 졸졸거리는 시냇물 수준이지만 청계천이 여기까지 오는구나 싶어 괜히 감동해본다.
2017년 04월 02일위치보기 〉
학의천을 따라오다가 나도 모르게 의왕에서 안양으로 들어섰나보다. 오후 4시 30분으로 걷기를 마무리한다.
2017년 04월 02일위치보기 〉
집에 가려고 버스를 탔는데 하필 노선이 사근행궁터를 지나간다. 이건 운명이니까 어쩔 수 없이 내려서 스탬프를 찍었다. 
지금은 시청 별관으로 쓰인다는데 행궁을 복원하면 좋겠다.
2017년 04월 02일위치보기 〉
이왕 버스 내린 김에 골사그네까지만 더 걸어보기로 했다. 그런데 잠깐 물마시러 들렀던 의왕도서관에서 김소월 시화전을 구경하며 살짝 지체하는 바람에 해가 뉘엇뉘엇이다. 산길이 아닌 게 다행이다 싶지만 으리으리한 묘지가 사방이다. 뭘까 싶었는데 전주 이씨 집성촌이란다. 그래서 유심히 명패를 보니 정말 죄다 이가다. 어쨌든 지금 필요힌 건 스피드~
2017년 04월 02일위치보기 〉

에필로그
골사그네에서 버스를 타고 귀가하는데 아직 날이 밝다. 생각해보니 오늘 길 곳곳이 매화에 산수유에 진달래에 꽃잔디였다. 확실히 봄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아들의 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