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왜 쓰는가>를 읽고 리뷰를 남겨 주세요.
나는 왜 쓰는가 - 조지 오웰 에세이
조지 오웰 지음, 이한중 옮김 / 한겨레출판 / 2010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에 실린 <문학 예방>이라는 에세이의 한 대목은 이렇다.
"아주 낮은 수준이 아닌 이상, 문학은 경험을 기록함으로써 동시대 사람들의 관점에 영향을 끼치고자 하는 시도다......그는 자기가 뜻하는 바를 더욱 명료하게 하기 위해 진실을 비틀고 풍자할 수는 있어도, 자기 마음의 풍경을 곡해할 수는 없다." 

작가의 글이 작가를 이해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라고 가정하면, 오웰은 녹록하지 않은 경험으로 얻은 마음의 풍경을 어떤 목적으로도 곡해하지 않는 용기를 지닌 작가임에 틀림없어 보인다. 오웰도 <작가와 리바이어던>이라는 에세이에서 지적한 바 있지만, 문단의 지식인들이 글을 쓰며 의식하는 이들은 대중이 아니다. 오히려 작가들이 속해있는 그룹, 시쳇말로 업계 종사들일 것이다. 그러니 그들을 향한 두려움을 접고, 동시대 사람들의 관점에 영향을 끼치고자 하는 시도를 할 수 있다는 것 만으로도 그의 책 <나는 왜 쓰는가>에 대한 해답의 반은 얻은 셈이다.  

그러나, 작가의 글이 작가를 이해할 수 있는 유일한 것,이라는 한계에 봉착한 독자로서 고백하자면, 그의 글이 사실이 아닌 어떤 풍경에만 매달려 있는 것은 아닌가,하는 의구심이 드는 것도 사실이다. 그의 에세이 <작가와 리바이어던>에서 그의 말을 빌려오자면, 
"그렇다면 작가는 정파 우두머리들의 지시를 거부할 뿐 아니라 정치에 '대해'쓰는 것도 삼가야 한다는 뜻인가? 이 역시 결코 그렇지 않다. 원한다면 아무리 서투르더라도 정치적인 글을 써서는 안 될 이유가 없다. 다만 한 개인으로서, 외부자로서, 기껏해야 정규군의 측면에 있는 환영받지 못하는 게릴라로서 그래야 한다는 것이다." 

정치적인 글을 쓰되 다만 외부자로서, 기껏해야 환영받지 못하는 게릴라로서의 위치를 주문하는 작가의 말은 공감할 수 있는 부분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어딘지 불편하다. 그것은 그가 강조한 두려움 없는 글쓰기, 마음의 풍경을 곡해하지 않는 글쓰기에 오히려 흠집을 남기는 일이 아닌가 싶었기 때문이다. 자신의 존재가 딛고 있는 땅을 살피는 일이 힘겹고 심지어 불가능에 가깝다 할지라도, 자신이 처한 상황을 응시할 수 있을 때, 응시를 통해 깨달은 곤란한 진실들과 마주볼 수 있을 때, 그리고 그것을 발화할 수 있을 때, 적어도 작가가 말한 정치적인 글쓰기에 힘 혹은 진정성이 실린다고 믿는다. 그리고, 그런 글이야말로 사후적 해석에만 머무르지 않는 글이 되리라 믿는다.  

언제나 그러하듯, 모든 어긋남은 어떤 의도로부터 시작된 것이리라. 그러하기에 작가의 글과 내 마음이 어긋나는 자리에서 나는 작가의 의도를 짐작해 본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애써 어긋나려고 한다. 그것은 작가의 시절과 또 다른 시절, 21세기의 무람없는 냉소주의자들의 행태가 눈에 밟혔던 까닭일 것이다. 그러나, 작가에 대한 별쭝맞은 트집을 잡는 것도 잠시다. 참으로 잠시다. 

"전체주의는 신앙의 시대보다는 정신분열의 시대를 약속한다." 는 문장은 오웰의 통찰력을 가감없이 보여주는, 내 마음대로 선정한 조지 오웰의 경이로운 성찰이자, 전체주의에 대한 이 시대 최고의 폭로다. 이 문장은 오웰의 <1984>로 이어져 전체주의가 어떤 식으로 작동하는지, 어떤 방식으로 구성원 자신들을 기만하는지 보여주는 모태가 되는 문장이기도 하다. <나는 왜 쓰는가>에 대한 작가의 남은 답변이 있다면 감히 이 한 문장으로 충분하리라 본다.  

누군가 애매한 태도를 보이는 어느 여인을 두고 매혹적이라 했다. 일견 맞는 말이다. 선택과 유기를 두고 망설이는 일은 성가신 일임에 틀림없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쩔 수 없이 맞는 상황이라면, 망설임은 필요한 시간이고, 최소한의 예의이기도 하다. 그래서 그런 나름대로 현명하고 예의바른 태도의 여인을 가르켜 매혹적이라고 발화한 것이라면 나는 이견이 없다. 그러나, 한 가지 여기서 짚어야 할 것이 있다. 유기할 것을 들고 애매함을 보이는 것은 매혹적일 수 없다. 그것은 그저 간교한 행동일 뿐이다. 더 나아가 선택할 것을 들고 애매함을 보이는 것 역시 매혹적일 수 없다. 그저 어리석을 뿐이다. 따라서, 조지 오웰의 <나는 왜 쓰는가>를 두고 보인 잠시나마 어정쩡했던 태도는 여기서 멈추기로 했다. 어리석고 싶지 않기 때문이고, 그의 글을 곁에 두고 싶기 때문이다.

 

 


댓글(12) 먼댓글(0) 좋아요(2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0-11-08 17:26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0-11-09 09:54   URL
비밀 댓글입니다.

치니 2010-11-08 18:4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와 - 대단한 리뷰에요. 오웰이 이걸 읽었더라면!
안 그래도 사려고 한 책인데 꼭 사야겠네요.

굿바이 2010-11-09 09:58   좋아요 0 | URL
책에 밑줄이 많아서, 보내드린다고 하기도 참 그렇고....
저는 개인적으로 좋았어요, 어느 대목은 고종석씨가 보이기도 하고^^

cyrus 2010-11-08 23:5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와 - 대단한 리뷰에요. 오웰이 이걸 읽었더라면! 2
오웰은 작가이기 전에 인간이기에 수많은 에세이를 쓰다보면
자신의 문학적 초심과는 어긋나는 방향으로 내용을 쓸 수도 있고,
시대가 변화됨에 따라 자신이 지향하고 있는 문학관이 다를 수도
있다고 생각이 듭니다. 오웰의 글을 비판하는 내용, 잘 읽었습니다.
안 그래도 다시 읽으려고 한 책인데 꼭 다시 읽어야겠네요.

굿바이 2010-11-09 09:57   좋아요 0 | URL
이런 과찬을 연달아 듣다니, 민망해서...이를 어쩐답니까 ㅜ.ㅜ

비판이라고 하기에는 허접하고, 뭐랄까, 애증이랄까요~
곁에 두고 읽어보면 좋을 것 같아요. 특히 스페인 내전과 관련된 부분은 다른 책들을 좀 찾아볼까 싶기도 하구요.

꽃도둑 2010-11-10 10:5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굿바이 님 좋은 리뷰 잘 읽었습니다. 참으로 밀도 있게 쓰셨어요. 근데 읽다가 <작가와 리바이어던>의 인용구에서 잠시 멈추게 되네요.
오웰은 다른 작가에 대해 자신의 소견을 밝힌 글에서 '반드시 작가의 실제 얼굴이 아니라 그 작가가 가져야만 하는 얼굴을 보게 된다' 라고 했습니다. 오웰은 정치적 글쓰기는 작가가 가져야할 자세이자 시대적 의무라고 생각했던 거 같아요. 그래서 저는 이런 생각이 들어요. '다만 한 개인으로서, 외부자로서, 기껏해야 정규군의 측면에 있는 환영받지 못하는 게릴라로서 그래야 한다는 것이다.'는 정규군의 입맛에 맞추어진 혹은 정치에 대해 함구하는 것이 아닌 아무리 서투르더라도 자신이 원한다면 글쓰기는 게릴라가 갖는 저항정신, 의협심,자유와 평등에 대한 의지로의 글쓰기 자세를 가져야 한다고 말이죠... 그리하여 그건 두려움 없는 글쓰기에서 몸을 빼는 행위가 아닌 걸로 읽혀지기도 하는데...정작 오웰 자신도 환영받지 못한 글을 써서 출판을 거부당한 적이 많았으니까요. 그래서 저는 그말을 그렇게 이해하게 되는군요...^^ 다른 분들의 의견은 어떤지....궁금하네요,

굿바이 2010-11-10 11:09   좋아요 0 | URL
꽃도둑님이 지적하신 것처럼, 지배세력의 혹은 다수의 입맛에 맞는 글을 피하기 위해, [한 개인, 외부자, 게릴라]라는 표현을 했으리라 짐작합니다.
그렇지만, 외부자나 게릴라가 항상 의협심이나 자유,평등에 대한 가치를 존중한다고 단정지을 수는 없다는 것이 또 저의 생각이기도 합니다.
제가 말하고 싶었던 것은 오웰의 표현이, 작가의 의지와 무관하게, 실존이라는 무게를 감당하지 않으면서 그저 냉소로 일관하는 사람들에게 힘을 실어주는 그런 알리바이가 되는 것은 아닌지 하는 기우였습니다.
물론, 순전히 개인적인 기우였습니다^^

부족한 글 읽어주시고, 좋은 의견 남겨주셔서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꽃도둑 2010-11-12 16:5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인간은 자신이 처한 사회적, 정치적 환경으로부터 자유로울 수가 없나봐요. 또한 한계라는 것에서도 마찬가지고요. 하지만 그것을 직시하는가 회피하는가 하는가 두 종류의 사람은 분명 존재하는 거구요. 오웰의 글쓰기는 직시하는 쪽이었다고 봐요, (물론 직시라고 해서 옳다는 얘기는 아닙니다) 오웰 또한 모순적인 면을 드러낸 지극히 평범한 인간이었고 일관성 없는 논리로 글을 쓴 적도 있었음은 한 인간이 가진 한계라고 봐야겠죠... 그는 소련이 보여준 독재적 사회주의가 아닌 민중이 진정한 주인이 되는 사회주의를 꿈꾸게 되는 가장 이상주의적인 면모를 드러내는 것에서 보자면 대오에서 벗어나 세상의 흐름을 바로보고자 노력하고 실천한 작가라는 생각이 들어요, 정당의 입맛에 맞추는 글쓰기가 아닌 그는 끊임없이 당을 비판하며 자신이 하고픈 말을 하는 작가였음에 분명하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저는 거기에 초점을 맟추어서 글을 읽은거구요...ㅎㅎ 사실 굿바이 님 글에 반론을 제기 하는 건 아니에요. 그냥 다양한 각도에서 생각해보자는 뜻이었지요,..

굿바이 2010-11-12 23:55   좋아요 0 | URL
네, 저도 이 책에 대해 그리고 작가에 대해 다양한 관점에서 생각해 볼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좋은 말씀 감사드려요^^

동우 2010-11-16 05:05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美님 댁에서 만난 조지 오웰이 그렇더니 굿바이님 댁에서 만나는 조지 오웰.
나 곧 새겨 읽어야 할 조지 오웰...

굿바이 2010-11-16 11:06   좋아요 0 | URL
동우님의 오웰은 또 어떨지 궁금해요. 저는 따라갈 수 없는 사유의 깊이로 오웰을 이야기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