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왜 쓰는가]를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한창훈의 나는 왜 쓰는가
한창훈 지음 / 교유서가 / 201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창훈의 나는 왜 쓰는가]

 

작가들이 왜 쓰는가에 대한 질문을 던지기 전에

어떤 사람이 작가가 되는가, 가 무척 궁금했었다.

 

문학적 재능이 뛰어난 사람이 당연히 작가가 되겠지만

문체를 꾸미고 수려한 어구를 구사한다고 해도

그렇게 해서 써낼 수 있는 작품은 곧 한계에 부딪히게 될 텐데...

내가 작가가 될 것도 아니면서, 오지랖 넓게 작가들이 계속해서 무언가를 써나간다는 것이

마냥 신기해서 영양가 없이 허여멀건한 죽 같은, 쓰잘데기 없는 걱정을 해대기도 했다.

이런 걱정을 하는 내가 더 신기한 건가?^^

 

아마도 작가들은 자신들의 삶에 새겨진 상처를 핥으면서 글을 쓰는 게 아닌가 생각했다.

아무리 허구의 문학이라고 해도 글을 쓰는 사람의 인생이 글 속에 하나도 들어가 있지 않다고 하면 그건, 순전히 거짓말일 것이기 때문이다.

자전적 소설, 이라고 대놓고 광고하지만 않았지, 작가 스스로의 삶이 어떤 작품에건 조금씩 들어가 있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커다랗고 완전한 자신의 몸을 하나 하나 떼어서 이 작품에는 머리를, 다음 작품에는 다리를, 또 그 다음 작품에는 손과 발을...

좀 서늘한 비유 같지만 자신을 토막토막 내어서 각각의 작품 속에 흩뿌려 놓는 것이 작가가 아닌가...한다.

 

글쓰기에 대한 책은 크게 작법에 대해 얘기하는 것과, 작가에 대해 얘기하는 것으로 나뉜다.

작법에 대해 쓴 책은 읽어보지 않았지만 작가들이 왜 쓰는가를 다룬 책을 보면 그런 책은 작가 자체의 인생을 담은 것이 대부분이다.

레이먼드 챈들러의 [나는 어떻게 글을 쓰게 되었나] 에서도 왜 글을 쓰는지에 대한 속시원한 단답형 혹은 짤막한 서술형 답은 나와 있지 않다.

다만, 챈들러가 보맨 편지 속 챈들러 스타일을 알 수 있을 따름이고

"작가들이란 모두 자기 중심적이기 마련입니다. 마음과 영혼을 소진하며 글을 쓰다 보면 결국 자기 안으로 파고들게 되니까."라는

단편적인 대답으로 만족해야 한다.

 

그렇다면, 한창훈은 어떤 답을 내놓을 것인가.

다른 작가들처럼 배배 꼬거나 회피하지 않고 즉문즉답을 내놓는 것처럼 보인다.

그것도 아주 무성의하게.

왜 쓰는가, 이런 거 물어보는 거 아니라지만

물어보니까 답한다는 투로

첫 번째. 원고료 때문

둘째, 남의 피 빨아먹는, 남을 짓누르고 올라서는 사람이 되지 않는다는 원칙을 훼손당하지 않고 오래 유지하기 위해 작가라는 직업을 선택.

셋째. 내 주변의 기록.

우울한 소설을 쓰는 작가 말고 화내는 작가가 되고 싶었다며 사람들이 애써 알고 싶어하지 않는 당대 이야기로 그런 "종자"들을 불편하게 만들고 싶어서.

 

어찌보면 삐딱하고 거친 그의 말투 속에서 문학에 대한 진심을 엿볼 수 있다.

사진작가 김홍희에게 "사진이 뭡니까?"

라고 물었더니

답할 수 없다고 말했다.

"사진은 김홍희다."라는 말로 대신하면서 건방져 보이지만, 사진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은 사진을 찍는 사람 자체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과 같다고 했다.

결국 사진은 각자의 인생을 담는 것이어서 "인생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질문을 던지는 것과 같다고 말한 것이다.

 

<사람 떠난 빈 속으로 바람이 분다> 에서 거친 바람, 사나운 파도 같은 사나이 한창훈은 이렇게 목소리를 한껏 드높인다.

 

문학을 키우는 것은 비문학적인 것이라고 나는 믿고 있다.

파도 더욱 높아가고 바람은 사나워진다. 이제 집으로 돌아가야 한다. 마땅한 게 없다 하더라도 먹을 게 없는 것은 아니다. 고양이도 배가 고플 것이다.

 

내가 이곳을 찾아온 이유는 어쩌면 단순함 때문일지도 모른다. 내 일과는 아주 단순하다. 새벽 기상. 바람의 방향과 세기를 가늠하기. 담배 피우면서 그냥 있기. 원고 쓰기. 낚거나 뜯어온 것으로 국 끓여 밥 먹기. 책 읽기. 산책이나 생계형 낚시하기. 그리고 사람들 이야기 듣고 있기.

-109

 

거칠고 사납지만 그 맘 속에 바닷말 속살같은 부드러움이 들어차 있어서인지 그의 주변엔 사람 냄새 물씬 나는 사람들이 넘쳐난다.

두툼한 소바닥을 가졌고 빛나는 분노를 간직한 유용주 시인, 경험 많은 순박한 어린 아이 같은 모습의 송기원 선생, 로마 병정 같고 네모나고 단단한 몸을 가졌으며 각 부위마다 근육이 찰진 이정록 시인.

때로는 웃음기 머금은 눈으로 때로는 소금기 뚝뚝 묻어나는 눈으로 읽게 되는 행간마다 구성지고 입에 찰싹 붙는 한창훈의 말주변이 새어나온다.

 

천상 넘쳐나는 글재주를 쏟아내는 것이 거친 바람 마주서고 세찬 파도 맞서 맞장뜨는 것보다 어울려 보인다.

중화의 한가운데서 고수라고 자처하며 무술의 대가라도 되는 양 거만하게 앉아 백발과 멋들어진 수염을 뽐내는 이들이라기보다는

무림의 숨은 고수 쯤 되는 한창훈과 그 주변 인물들에 대해 더 애정이 가는 것은 왜일까.

헐거운 옷과 진동하는 술냄새에 당장은 눈살을 찌푸려도 같이 쭈그리고 앉아 한 두시간만 같이 대화해 보면 금세 호형호제 하게 되는, 취권의 "사부님" 과 "성룡"같은 매력을 물씬 풍기는 한창훈.

 

글쓰기 한 수 잘 배우고 갑니다.

 

* 알라딘 공식 신간평가단의 투표를 통해 선정된 우수 도서를 출판사로부터 제공 받아 읽고 쓴 리뷰입니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해밀 2015-06-28 19:3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먼댓글 연결이 잘못 된 것 같습니다ㅜㅜ
확인 부탁드릴게요!

http://blog.aladin.co.kr/trackback/proposeBook/7577375

남희돌이 2015-06-28 23:08   좋아요 0 | URL
네. 다시 연결했습니다.
확인을 안 했나 보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