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제나 그렇듯이 리뷰와는 별도로 책에서 잡은 "옥의 티"를 올린다. ^^



90-91쪽
물띠를 “배가 지나간 뒤 생기는 물거품의 긴 줄기”라 해설하고 북한에서는 이를 ‘물이랑’이라 한다고 했는데, 국립국어원이 펴낸 표준국어대사전에 따르면 거꾸로다. 물이랑이 남한 표준어이고 물띠가 북조선에서 쓰는 말이다.

143쪽
고주박을 “나무를 베고 남은 밑동이나 죽은 나무등걸”이라 했는데, ‘나무등걸’은 북조선식 표기이고, 남한의 맞춤법에 따르면 나뭇등걸이라 써야 한다.

155쪽
함짓방을 설명하면서 ‘함지’는 “광산에서 금을 채취할 때, 북새나 감흙을 물에 일구어서 금을 걸러내는 데 주로 쓰이던” 네모지게 짠 나무 그릇이라고 했는데, 여기서 북새는 ‘복대기’를 잘못 쓴 것 같다. 북새는 “많은 사람이 야단스럽게 부산을 떨며 법석이는 일”이고, 복대기는 “광석을 빻아 금을 골라낸 뒤 남은 돌가루”를 뜻하는 북조선 말이다.

그리고 일단 금 부스러기가 함지에 들어가면 일부러 꺼내기 전에는 나오지 못하는 것처럼 한번 들어가면 나올 수 없는 방을 함짓방이라 하고, 이를 ‘미로’나 ‘미궁’ 대신 쓸 수 있는 말이라 했는데, 아무리 함짓방이 한번 들어가면 나올 수 없다 해도 ‘복잡한 구조’를 전제로 하는 미로나 미궁과 같은 말로 쓸 수 있을까? 난 아닌 것 같다.

183쪽
메밀눈을 “작고 모질게 생긴 눈”이라 설명하면서 “우묵하게 생긴 눈은 우멍눈 또는 움펑눈”이라 했는데, 우묵하게 생겼다는 게 어떤 건지 잘 모르겠다. 표준국어대사전에서 우멍눈을 찾아보니 “움펑눈의 북한어”란다. 움펑눈은 “움푹 들어간 눈”이다. 아아, 이제 알겠다. 그런데 이 책, 북조선에서 나온 사전에 너무 의존한 거 아닌가 의심이 든다.

255쪽
데시근하다’란 말을 “언행이 조리에 닿지 아니하고 미적지근하다. 매우 못마땅해하다.”라고 설명했는데, “언행이 조리에 닿지 아니하고 미적지근하다”와 “매우 못마땅해하다”가 어떻게 같은 말이 되는지 모르겠다. 표준국어대사전을 보니 ‘데시근하다’는 “말과 행동이 조리에 닿지 아니하고 실속이 없이 흐리멍덩하다”라는 북조선 말. “매우 못마땅해하다”란 설명은 괜히 붙은 것 같다. 북조선 말을 소개하는 건 좋은데, 그러면 그렇다고 표시해줄 일이지.

264쪽
알음을 “사람끼리 서로 아는 일”이라고 설명하면서, “그러므로 ‘안면’이 있는 관계를 알음하다”라고 한다고 했다. 표준국어대사전에 따르면 ‘알음하다’는 그와 달리 “어떤 일을 알아보거나 맡아보다”라는 말이다.

273쪽
북새를 설명하면서 “여럿이서 어떤 일을 방해하는 것을 ‘북새질치다’, ‘북새놓다’고 하며, 그런 판이 벌어진 곳을 ‘북새판’이라 한다”고 했는데, 북새, 북새질치다, 북새놓다, 북새판, 북새통은 모두 여러 사람이 시끌벅적 북적이는 걸 가리키는 말이지만 꼭 ‘어떤 일을 방해하는 것’을 뜻하지는 않는다.

274쪽과 278쪽
“매나 몽둥이로 함부로 때리는 짓”을 뜻하는 ‘싸다듬이’를 설명하면서, 옛날 마을 공동체에서 주민들이 직접 나서서 죄 지은 이를 덕석(멍석)으로 둘둘 말아 몰매를 때리는 것을 ‘덕석몰이’라고 했단다. 그런데 그것은 ‘멍석말이’이고, 덕석몰이는 강강술래의 한 대목으로 “‘몰자 몰자 덕석을 몰자’ 하는 앞소리와 받는소리를 번갈아 부르면서 맨 앞사람이 왼쪽으로 둥글게 돌면서 중심을 잡으면 뒤를 따르던 놀이꾼들은 차례로 멍석을 말듯이 겹겹이 돌아드는 놀이”다. 덕석몰이가 멍석말이의 사투리일 수도 있지만, 그러면 사투리라고 표시했어야 한다.

303쪽
메지를 “건축물에서 벽돌, 석재가 이어 닿는 부분”이라고 설명하면서 “일본말이 판치는 건축 현장에서 아직 꿋꿋하게 ‘자존심’을 지키는 토종 우리말”이라고 했다. 그러나 메지는 일본말로, 국립국어원에서 사춤, 줄눈으로 순화했다. 다만 우리말에는 “한 가지 일을 단락 지어 치우다”란 뜻으로 ‘메지대다’란 말이 있다.

360쪽
가락지를 설명하면서 “보통 진주나 보석 따위를 끼워 장식을 한 것을 반지라고 한다면, 가락지는 그런 장식이 없는 고리를 말한다”고 했는데, 이건 터무니없는 말이다. 가락지는 두 짝으로 된 고리를 말하고, 반지는 한 짝으로만 된 고리를 말한다. 곧 손가락에 하나만 끼우도록 만든 것은 반지, 한 손가락에 쌍으로 끼우는 것은 가락지다.

367-368쪽
“한 번도 빨지 않은 새 옷”인 진솔을 설명하면서 “모시옷을 지을 때 풀을 먹이고 다듬이를 하여 짓는 방식”을 ‘짓것’이라 한다고 했다. 그러나 짓것은 진솔과 비슷한 말로, 표준국어대사전에 따르면 “① 새로 지어서 한 번도 빨지 아니한 첫물의 옷이나 버선 ② 새로 지어서 그대로 둔 옷감”이다.

370쪽
배악비를 “가죽신의 창이나 울 속에 두껍게 대는, 여러 겹으로 붙인 헝겊조각”이라 했는데, 배악비는 꼭 가죽신에 대는 헝겊이 아니라도, “여러 겹으로 단단하게 풀칠하여 붙인 종이나 헝겊”을 아울러 이르는 말이다.

371쪽
스란치마를 “입으면 발이 보이지 않을 정도로 길고 폭이 넓은 치마”라 했는데, 스란치마가 대개 길고 폭이 넓기는 하지만, 이름의 뜻을 설명하는 말로는 부족하다. 스란치마는 “스란을 단 치마”를 말한다. 스란은 “치맛단에 금박을 박아 선을 두른 것”이고.

374쪽
먹는 때와 장소에 따라서 다양한 밥의 이름을 나열하면서 그중 하나로 “신령에게 제사 지낼 때 올리는 노구메”를 들었는데, 노구메는 “놋쇠나 구리로 만든 작은 솥” 곧 노구솥에 지은 제삿밥이란 뜻이다. 신령에게 제사 지낼 때 올리는 밥인 건 맞는데, 노구솥에 대한 설명이 있어야 온전한 설명이 된다.

392쪽
들창을 “바깥쪽으로 밀어 올려 열게 되어 있는 문”이라 설명하고는 “중앙 냉난방을 하는 대형 건물에서 흔히 볼 수 있는데, 열을 차단하기 위해서 창문을 붙박이로 만들고, 그 아래쪽에 환기를 위하여 작은 들창을 내는 것이다. 따라서 들창은 미세기에 비해서 대체로 창문의 크기가 작다. 이를 옛말로는 ‘벼락닫이’라고 부르기도 하였다”고 했다. 들창과 벼락닫이가 같은 말인 듯이 들린다. 그러나 들창은 들창이고, 벼락닫이는 위에서 설명한 대로 “위짝은 붙박이고 아래짝만 오르내려 여닫는 창문”이다. 곧 들창과 벼락닫이는 비슷하지만 꼭 같은 말은 아니다.

401쪽
통잠을 “한 번도 깨지 않고 푹 자는 잠. 북한에서 쓰는 말”이라고 했는데, 북조선 말 아니다. 통잠은 남한 표준말이다.

403쪽
다스름을 “어떤 곡조를 연주하기 전에 음률을 고르기 위해 먼저 적당한 짧은 곡조를 연주해보는 일, 또는 그 악곡”이라 설명하고, 양악에서는 이를 “리허설”이라 한다고 했다. 내 생각에 다스름과 리허설은 엄연히 다르다! 다스름은 연주 직전에 음률을 고르는 것이고, 리허설은 연주 내용을 미리 한번 해보는 예행연습 아닌가?!

409쪽
환을 “아무렇게나 마구 그린 그림”이라 설명하면서 “화가를 낮추어 부를 때 흔히 ‘환쟁이’라고 하는데 ‘환장이’라고 써야 바르다”고 했다. 하지만 ‘장이’는 장인, 기술자를 뜻하는 말이고, 누군가를 낮추어 부를 때는 ‘쟁이’라고 한다. 어차피 낮추어 부를 때 쓰는 말이므로 ‘환쟁이’가 맞다.

411쪽
바디를 “판소리에서 명창이 한 마당 전부를 절묘하게 다듬어놓은 소리. 더늠”이라고 설명했는데, 더늠은 바디와 다르다. 더늠은 “명창이 자신의 독특한 방식으로 다듬어 부르는 어떤 마당의 한 대목”이다. 곧 바디가 한 마당 전체를 가리키는 말이라면 더늠은 그중 한 대목을 뜻한다.

414-415쪽
고수레를 설명하면서 “굿을 할 때나 들에서 음식을 먹기 전에 조금 떼어내어 귀신에게 먼저 바치면서 하는 소리나 짓. 단군 때에 고시라는 사람이 백성에게 농사짓는 방법을 가르쳤다는 데서 온 말이라 하는데, 한자로는 ‘제반(除飯)’이라 한다”고 하고 바로 이어서 “흙이나 떡 반죽을 할 때 물이 골고루 섞이게 하는 일을 뜻하는 말로 쓰였다. 따라서 농경에서는 갈아엎은 논판의 흙이 물에 골고루 잘 풀리게 하는 것이고, 떡을 할 때에는 쌀가루 반죽이 물에 골고루 잘 풀어져서 잘 익은 떡이 나오는 것을 말한다”고 했다. 앞의 설명과 이어지지 않는다. 그러고는 또 “남의 집에서 음식을 가져왔을 때에도 고수레를 하는 경우도 있다”고 했다. 첫 번째 세 번째 설명은 이어지는데, 두 번째 설명은 전혀 엉뚱한 말 같다. 사전을 찾아보니, 두 가지 서로 다른 ‘고수레’란 말이 있었다. 그러니까 첫 번째 세 번째 설명에 해당하는 ‘고수레’와 두 번째 설명에 해당하는 ‘고수레’가 각각 따로 있는 것이다. 같은 고수레라도 엄연히 서로 다른 말인데, 그 설명을 뒤섞어놓았다.

417쪽
물수제비뜨기를 설명하면서 “자맥질은 물속에서 멱을 감으며 노는 놀이”라고만 설명했는데, 자맥질은 정확히 말해 “물속에서 팔다리를 놀리며 떴다 잠겼다 하는 짓”이다.

423쪽
방자를 “남을 못 되게 하거나 재앙을 받게 하기 위하여 귀신에게 빌거나 방술을 쓰는 짓”이라고 해놓고는 “‘오만방자하다’에서 ‘방자’의 뜻”이라고 했다. 오만방자하다의 방자는 전혀 다른 뜻이다. 다른 사람을 저주하는 뜻의 방자는 토박이 말이고, 오만방자하다의 방자(放恣)는 “어려워하거나 조심스러워하는 태도가 없이 무례하고 건방지다”란 뜻의 한자말이다.

431쪽
‘오쟁이 지다’란 말을 “남편이 있는 여자가 다른 사내와 간통하다”로 설명했는데, 설명대로라면 ‘남편이 있는 여자’가 ‘오쟁이 지다’란 표현의 주어가 되는 것 같다. 그러나 ‘오쟁이 지다’는 바로 그 여자의 남편이 주어가 되는 말이다. 그러니까 “자기 아내가 다른 남자와 간통하다”라고 설명해야 옳다.

432쪽과 436쪽에서
이바지를 “갓 혼인한 신부가 친정집에 갈 때 음식을 장만해서 가는 것”, 북조선 말인 무라지하다를 “시집간 딸이 사흘 만에 집에 음식을 가지고 돌아오다”로 설명했는데, 내 생각에는 두 경우 다 신부가 음식을 가지고 친정에 가는 게 아니라, 친정에서 장만한 음식을 가지고 시댁에 가는 것을 뜻하는 말이다. 우선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이바지를 “힘들여 음식 같은 것을 보내 줌”으로만 설명한다. 시댁에 가든 친정에 가든 폭넓게 쓸 수 있는 모양이다. 그러나 무라지는 명백히 “평안도에서, 새색시가 친정에 첫 나들이를 갔다가 돌아오면서 가지고 오는 잔치 음식을 이르는 말”이라고 했다. 그런데 [좋은 문장을 쓰기 위한 우리말 풀이사전]에서는 무슨 근거로 이바지와 무라지를 친정에 음식을 장만해 가는 것이라고 했는지 모르겠다.


댓글(17)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늘빵 2005-12-26 23:4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 저도 이 책 있는데 어찌 이리 자세히 보셨어요? 전 아직 거들떠도 안봤는데. 자세히 봐도 전 아 그렇구나 하고 받아들일텐데 대단하세요.

숨은아이 2005-12-26 23:5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프락사스님/1년에 걸쳐 읽었으니까요. ^^ 사실 저도 그냥 봐넘긴 거 많을 거예요.

조선인 2005-12-27 07:4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음, 다른 건 잘 모르겠고, 이바지를 시댁과 친정에 두루 쓰는 건 맞아요. 원래 장가를 들잖아요? 그래서 장래의 시어머니께서 잔치할 때 쓰라고 편육과 술을 아들 손에 들려보냅니다. 그 답례로 시집갈 때 떡이랑 밤, 대추 등을 며느리가 들고 가지요. 최소한 경상도에선 이 양쪽을 다 이바지한다고 해요.
반면 북한에서는 민며느리의 풍습이 남아서 남자집에서 결혼을 하니 여자가 첫 친정나들이를 갈 때만 이바지를 하는 게 아닐까 싶습니다. 결혼 풍속도 지역마다 다 다르더라구요. *^^*

하늘바람 2005-12-27 08:5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우와 멋집니다.

숨은아이 2005-12-27 10:1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조선인님/아, 그렇군요. 지역마다 풍습이 다르기는 할 텐데, 그럼 이바지와 무라지 다 친정 시댁 구분 없이 양쪽에 쓰는 말 같아요.
하늘바람님/쑥스럽습니다. ^^

진주 2005-12-27 11:0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숨은아이님이 짚어주신 것 잘 보았습니다. 저는 전혀 몰랐던 낱말들(통잠...)도 있었고, 저도 숨은아이님과 동감(나뭇등걸, 스란치마, 가락지, 환쟁이....)하는 것도 있었어요. 그 가운데 몇가지는 제가 알고 있는 것과 달라 올려봅니다.

*우묵하다 : 라는 설명은 그리 낯선 표현은 아닐 텐데요? 흔히, 요리강습할 때도 "우묵한 접시에 담아주세요"이런 표현 자주 하거든요. 움푹하다-만큼 우묵하다도 자주 쓰이는 표현이며 '우묵'은 우리사전에 올라와 있는 하다형 형용사입니다.

*덕석 : "덕석"이라는 용어는 원래 "추울 때에 소의 등을 덮어 주기 위하여 멍석같이 만든 것"이라는 뜻의 낱말입니다. 그래서 멍석과 덕석이 표준어와 사투리의 관계만이 있는 것이 아니라서, 두 낱말의 차이를 정확히 알아야만 이해할 수 있는 속담도 있지요 " 덕석이 멍석인 듯이"라는 속담은 실물도 아닌 것이 약간 비슷함을 빙자하여 실물처럼 자처한다는 뜻입니다.
강강술래에서 덕석몰이는 놀이의 형태를 생각해보면 멍석말이가 통념상 맞는 것 같습니다. 그렇다면 이때는 덕석은 멍석에 대한 사투리 표현이겠지요. 하지만, 멍석이든 덕석이든 그 생김새가 비슷해서 덕석을 소재로 노래를 만들었을 수도 있으니 무조건 사투리라고만은 할 수 없을 거 같습니다.

*더늠과 바디에 대한 보충설명 : 숨은아이님 말씀대로 더늠과 바디가 똑같은 건 아닙니다. 잘 아시다시피 '더늠'은 '더 넣었다'라는 뜻으로 어느 명창이 특정 부분을 자신만의 독특한 방식으로 다듬어 넣은 것이고, "바디"는 받았다라는 뜻의 '받이'에서 유래된 말이기도 하고 베를 짜듯이 소리를 짰다하여 나온 말이기도 합니다. 더늠과의 차이라면 더늠은 한 대목을 말하고 바디는 전체적인 짜임새를 말하니 더늠보다는 바디가 좀 더 큰 의미가 될 수 있습니다.
두 말의 공통점이라면 '판소리의 유파와 스타일을 구별'할 때 쓰는 말이란 것이겠지요. <바디를 “판소리에서 명창이 한 마당 전부를 절묘하게 다듬어놓은 소리. 더늠”>이라고 설명을 붙인데는 아마 그런 뜻으로 한 것 같습니다. 더늠과 바디가 똑같다는 식의 설명은 분명 잘못되었지만, 판소리의 공연방식의 특성상 발생하는 명창들마다 자신의 더늠과 바디 (더 나아가'제"까지)가 있다는 정도로는 괜찮은 것 같습니다.

- 제가 가진 민중서관의 <새로나온 국어대사전>을 참고했으며,가물가물하던 전공과목의 기억을 더듬었습니다^^;-

숨은아이 2005-12-27 11:2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오, 진주님 자세한 보충 설명 고맙습니다. 그런데 덧붙여 말씀드리자면,

- "우묵한 눈"이란 말이 이해 안 된다고 한 것은 우묵하다라는 말 자체가 낯설어서가 아니고(오목하다, 우묵하다란 말은 많이 쓰지요) "눈이 우묵하다"란 표현이 바로 와 닿지가 않아서였어요.

- 덕석몰이가 사투리 같다고 한 건 "덕석" 때문이 아니라 "몰이" 때문입니다. "말다"를 "몰다"로 발음하는 건 전라도 사투리거든요.

마늘빵 2005-12-27 11:4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 댓글이 너무 어렵군요. ㅠ_ㅠ

숨은아이 2005-12-27 12:0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프락사스님/하하... 길어서 주눅드신 거 아니고요?

반딧불,, 2005-12-27 12:46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숨은 아이님. 눈이 우묵하다는 것은요.
전라도에서는 보통 깊다는 뜻도 같이 있습니다.
깊거나 아니면 보통보다 들어갔다는 뜻이지요. 우묵하다는 말 어릴 적에 많이 들었었어요. 보통 서양눈보고 그리 표현하지요. (알고 계신 걸 적었나요?)

숨은아이 2005-12-27 14:03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반딧불님/호오... 처음 책에서 봤을 땐 그닥 실감나게 다가오지 않았는데, 진주님과 반딧불님 이야기 듣다보니 또 자연스럽게 이해되기도 합니다. 역시 익숙한 말이냐 아니냐의 차이... ^^a 저 책에서도 "우묵하게 들어간 눈"이라고 했으면 바로 알아들었을 텐데, "우묵하게 생긴 눈"이라고 해서 어색했던가 봐요.

하늘바람 2005-12-27 18:07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숨은 아이님 진주님의 코멘트 정말 자세하고 친절하시네요 얼려주셔서 감사해요. 진주님 코멘트 제가 업어갈게요

숨은아이 2005-12-27 19:02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하늘바람님/도움이 되어서 다행이에요. 진주님 댓글에 대한 제 답글과 반딧불님 댓글도 봐주세요. ^^

반딧불,, 2005-12-31 09:44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빠뜨렸는데요. 의뭉스러워 보인다는 뜻도 같이 들어있습니다.
(서양인에 대한 경계도 같이 들어있는거지요)

숨은아이 2005-12-31 13:53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반딧불님/아, 우묵한 눈은 의뭉스러워 보인다고요. 그건 좀 편견이란 생각이 드네요. ^^

반딧불,, 2006-01-04 16:52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편견이라기보다는요. 그게 시대사와 관련이 있는 듯합니다.
19세기 말과 전쟁을 치르면서 서양인들의 우묵하게 들어간 눈을 보면서 우리와 다른
그들의 눈을 고정관념으로 굳힌것이지요. 이건 특히 연세가 지긋하신 어른들이 공감하실 내용인데요. 어릴적 할머니들이 그렇게 말씀하시는 것을 들었습니다.
뉘앙스가 특이했었던지라 기억하지요. (편견이라는 말씀도 맞지요^^)

숨은아이 2006-01-04 17:31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반딧불님/하긴 그렇겠네요. 전쟁 때 나쁜 짓을 많이 했으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