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만나는 북유럽 인테리어]를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처음 만나는 북유럽 인테리어
오렌지페이지 출판편집부 엮음, 정연희 옮김 / 아우름(Aurum) / 2011년 6월
평점 :
품절


북유럽 인테리어 디자인은 어떤 느낌일지 궁금했다. 세계적으로 유명한 디자이너와 건축가가 많이 나온 지역이기 때문에 신선한 아이디어가 마구마구 나오지 않을까 기대했었는데, 사람 사는 곳은 어디나 비슷한 것 같다. 하지만 역시 심플하면서도 아이디어가 돋보이는 공간은 충분히 나와서 이런 사진들을 보는 것만으로도 눈이 호강하는 느낌이다. 일단 이 책은 인테리어 관련 서적이기 때문에 사진이 풍부하게 실려있다. 모두 올컬러로 되어 있으며, 인테리어에 필요한 소품 정보들도 빠짐없이 나와있는 편이다. 스칸디나비아 반도가 우리나라와 비교하면 지구 반대에 있지만 생활 양식도 비슷해져가고, 좋은 것은 서로 배워보는 것도 좋겠다.

 

일단 가장 돋보이는 점은 무엇이든 오래 쓸 수 있는 물건을 고른다는 점이다. 요즘에는 워낙 저렴한 제품들이 많이 쏟아져나와서 가볍게 쓰고 버리는 풍토가 점점 확산되고 있는데, 북유럽 사람들은 조금 비싸더라도 오랫동안 쓸 수 있는 물건을 사용하고, 대대로 내려오는 물건을 소중하게 여긴다. 새로운 것을 그냥 사기보다 조금씩 리폼을 하여 나에게 맞도록 고쳐서 쓰는 것이 일반화되어 있다. 아마 이런 점이 유럽 국가에서 벼룩 시장이 활발하게 열리는 이유가 되기도 할 것 같다. 그래서 이 책을 보다보면 20세기의 거장들이 디자인한 가구들이 종종 보인다. 진품을 사려면 상당히 고가의 돈을 투자해야 하는 것도 사실이지만, 은근히 이런 가구들이 오래 쓸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단순하면서도 유선적인 디자인이 사람들과 참 잘 어울린다.

 

책에 등장한 집들이 대부분 아파트로 작은 공간을 효율적으로 쓰는 방법에 대해서 집중적으로 소개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2인 이하 가구들이 늘어나면서 큰 집보다는 작은 집에 대한 수요가 늘고 있는데, 작은 평수의 아파트는 아무래도 물건을 놓을만한 공간이 충분하지 않다는 것이 단점으로 작용한다. 같은 공간이라도 가구 배치나 마감재를 어떤 것을 선택하느냐에 따라 그 집에 대한 인상이 많이 달라진다. 북유럽에서 주로 쓰는 패브릭이나 가구에 대해서도 상세하게 나와있다. 이 책의 공간을 쓰는 방법 중 인상깊게 보았던 점은 거실을 둘로 나누어서 업무공간과 가족공간을 함께 쓰는 것이었다. 작은 집에서 주로 활용할 수 있는 아이디어로 우리나라에서도 일반적인 TV 배치만 배제를 한다면 충분히 따라할 수 있는 여지가 있다.

 

북유럽 스타일이라고 해서 대단한 것은 아니다. 빈티지스러우면서도 세련된 느낌을 전체적으로 받았고, 얼마나 집에 대해서 애정을 갖고 있느냐도 좋은 집을 꾸미는데 많은 영향을 미친다. 인테리어에 대해서 대단한 지식이 없더라도 내가 살고 있는 공간을 어떻게 하면 쾌적하고 안락하게 꾸밀 수 있느냐에 대해서 진지하게 고민을 한다면 누구나 훌륭한 인테리어 디자이너가 될 수 있다. 전문가보다도 나의 생활 패턴에 대해서 가장 잘 알고 있는 사람은 본인이니 말이다. 이 책과 같은 다양한 자료들을 접하면서 좋은 아이디어를 접목하다보면 내가 원하는 공간을 꾸밀 수 있게 될 것이다. 생각보다 많은 아이디어를 담고 있는 책이라, 자연스러운 스타일을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한 번쯤 참고해볼만한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