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 샤베트>를 읽고 리뷰해 주세요.
-
-
달 샤베트
백희나 글.그림 / Storybowl(스토리보울) / 2010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백희나 작가의 전작 '구름빵'이 제목에서부터 친근함을 느낄 수 있었다면, '달샤베트'는 조금 생소하게 느껴진다. 그게 개인적으로 '샤베트'를 별로 안좋아하는데다가 아이에게 샤베트를 사준 적도 만들어준 적도 거의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한솔이에게 이 책을 읽어주다가 조금 난감했던 것이 '샤베트'가 뭐야?라고 묻는데 제대로 알려주지 못했다. 한솔이에게 '빵'이 아주 익숙한 음식인데 비해 '샤베트'는 낯선 음식이었던 것이다. 물론 책을 보면서, 달 아이스크림보다는 달샤베트가 훨씬 어울리는 음식이라고 생각을 하긴 했지만 말이다. 본의아니게 아이스크림 가게에 가서 샤베트를 하나 사줄 수 밖에 없었다.
개인적인 느낌이나 상황은 그렇다치고, 일단 작가의 상상력은 여전했다. 무더운 여름밤을 참 잘 표현했다는 생각도 든다. 창문을 꼭꼭 닫고, 에어컨을 쌩쌩, 선풍기를 씽씽 틀고 잠을 자는 사람들. 그들이 사는 집 밖 어둠 속에서 더위에 녹아내리고 있는 커다란 달님.
예전에는 창문을 활짝 열고 부채질을 하거나 선풍기 바람을 쐬곤 했기에 여름밤의 정취를 제법 느낄 수 있었지만, 에어컨을 켜면서부터는 창문이고 방문이고 꼭꼭 닫으니 밤하늘을 볼 일도, 여름밤의 벌레소리도 잘 들을 수 없는 게 사실이다. 아무도 창밖 풍경에는 관심이 없는 밤, 녹아내리는 달님을 부지런한 반장할머니가 발견하고, '달방울'을 받는다.
그런데 아파트에 정전이 일어나고, 깜깜해졌는데, 달방울을 받은 할머니집만 불이 훤하다. 전기가 아닌 달님의 빛으로 가득한 할머니집. 사람들은 할머니의 샤베트를 받아들고 시원해져 집으로 돌아간다. 여름밤 전기 과부하로 인해 정전이 되고, 사람들은 그제서야 달빛을 보는 것이다.
어린 시절을 생각나게 한다. 정전이 잦았던 옛날에는 집집마다 초를 구비해놓았었고, 어쩌다 정전이 되면 초를 찾아 촛불을 켜던 그 어린 시절이 생각났다. 요즘에야 정전이 흔한 일은 아니라 텔레비전 뉴스에도 나오곤 하지만, 예전에야 흔한 일상 중의 하나였던 것 같다. 잠깐의 정전은 촛불을 켜면 또 그만이었지만, 요즘은 정전이 되면 사람들의 일상이 모두 정지된다. 그만큼 전기에 의존해 살아가고 있는 것이다. 할머니의 달샤베트는 어린 시절 촛불을 생각나게 한다.
사람들이 달샤베트를 먹고 잠든 밤, 즐거운 꿈이라도 꿀 것 같은 밤이다. 그때 이 할머니의 집에 손님이 찾아온다. 절구와 절구공이를 등에 멘 옥토끼 두 마리. 이 책은 자꾸 나를 어린 시절로 돌아가게 만든다. 달에는 절구를 찧는 옥토끼 두 마리가 살고 있었다고 믿었던 그 시절로 말이다. 지금 한솔이는 이 책을 보면서 왜 옥토끼 두 마리가 갑자기 나타났는지 어리둥절해한다. 달에는 토끼가 살고 있다는 이야기를 듣기도 전에, 이미 달을 과학적(?)으로 알고 있는 탓이다. 그러고보면 요즘 아이들은 상상의 세계로 들어갈 수 있는 많은 것을 잃어버렸구나 싶다.
달이 사라져버려 갈 곳을 잃은 옥토끼 두 마리. 할머니는 남은 달물을 부어 달맞이꽃을 피워낸다. 달처럼 환하고 아주아주 커다란 달맞이꽃이 밤하늘을 향해 고개를 들자 작은 빛이 점점 자라나 커다란 달이 된다.
달이 차고 지는 모습을 보며 또다른 상상의 세계로 달려가곤 했는데, 지금 우리 아이들도 그런 상상을 할 수 있을까?
한 권의 책을 통해 나는 어린 시절을 돌이켜볼 수 있었고, 여름 밤의 정취를 느껴보고자 집안의 전기를 모두 끄고 창문을 활짝 열고 밖을 내다보았다. 어린 시절 보았던 새까만 밤하늘과 빛나는 별들을 찾기는 어려웠다. 대신, 밤거리를 여전히 밝히고 있는 불빛들과 시끄러운 차소리가 가득하다. 안타깝고 아쉬운 마음이 생겼다. 한솔이는 덥다고 칭얼거린다. 조금만 기다려 봐. 시원한 바람이 불어올거야.
하지만... 내가 기대했던 그 밤바람은 뜨거운 도시의 열기에 묻혀버렸나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