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1. 점점 더 커져만 가는 빈부격차. 임계선을 넘는다면 사회 붕괴의 위험이 도사리고 있다. 그럼에도 빈부격차가 해소되지 않는 이유는 무엇일까. 제도적 측면이 아니라 심리적 측면에서 바라본다면 영화 [더 플랫폼]이 힌트를 줄 수도 있다. 주인공이 빈부격차의 시스템을 어떻게 깨부술지 궁금함을 자아내는 일종의 스릴러 액션. 이야기가 어떻게 전개될지 기대가 되는 재미가 있다. 다만 인육 등 꽤나 잔인한 장면이 있어 비위가 약한 사람에겐 비추. 


2. 영화 [더 플랫폼]의 주인공은 '홀' 이라 부르는 감옥 같은 곳에 지원을 한다. 6개월간 버티고 나면 수료증을 받을 수 있다. 이곳엔 자신이 원하는 것 한 가지를 가지고 들어갈 수 있다. 

홀은 수직감옥이다. 0층에서부터 아직 알 수 없는 최대 200층은 넘을 것 같은 밑바닥 층까지. 룰은 간단하다. 홀에 갇힌 모든 사람이 먹을 수 있을만큼의 음식이 위에서부터 아래로 내려온다. 따라서 위에 있는 사람일수록 신선하고 맛있는 음식을 마음껏 먹을 수 있다. 다만 한 달에 한 번 자신이 갇혀있던 층에서 어떤 규칙인지는 알 수 없는 방식으로 층이 바뀐다.


3. 주인공은 유일하게 책을 가지고 홀에 들어갔다. 그 책은 바로 [돈키호테]. 아마도 주인공이 이 홀의 돈키호테가 될 것임을 암시하는 모양새다. 초반엔 운 좋게도 30층대로 먹을 것이 풍부했다. 하지만 한 달 후 100 층 아래로 떨어졌다. 룸메이트는 2년 가까이 이곳에 살다보니 생존법을 알고 있다. 바로 주인공이 깨어나기 전 침대에 주인공을 꽁꽁 묶어둔 것. 자신이 있는 곳까지 음식은 남아있지 않아 굶을 것을 알기에, 살아남기 위한 방법으로 선택한 것이다. 타인의 살을 베어 먹어 살겠다는 방법을. 


4. 음식은 풍성하다. 자신이 먹을만큼만 적당히 먹는다면 밑에 있는 사람들이 굶을 이유가 없다. 하지만 위 층의 사람들은 배가 터지도록 음식을 향유한다. 한 달에 한 번 처지가 바뀐다는 것을 알기에, 오히려 더 음식에 집착한다. 밑에 처한 사람들이 굶을 것을 알면서도 서로가 배려해 나누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더 욕심을 부리는 것이다. 위에서부터 아래로의 낙수효과는 없다. 

자본주의가 부추기는 끝없는 욕망은 타인과의 비교로부터 비롯된다. 나도 저런 것을 갖고 싶다는 욕망이 경쟁을 과열시키고, 승자독식에 가까운 결과를 내놓는다. '나도 1층에 있다면 꼭 배터지게 먹고 말거야'라는 욕망이 배려를 넘어서는 것이다. 


5. 밑에 굶주리는 사람들은 살아남기 위해 룸메이트를 죽이는 일까지 벌인다. 생존을 향한 본능은 윤리를 넘어서고, 인성을 짓밞는다. 때론 자포자기를 불러 일으키기도 한다. 스스로 목숨을 끊는 것이 나을 수도 있기에. 위로 올라가고자 하는 희망은 부질없다. 사다리는 없다. 


6. 빈부 격차를 해소할 방법은 없을까. 관리자였다가 홀에 들어온 이가 있다. 그녀는 <자발적 연대>를 주장한다. 서로가 조금씩 조금씩 양보하고 배려해서 불평등을 이겨내자는 것이다. 함께 함으로써 불평등을 없애자는 것이다. 하지만 영화 [더 플랫폼]은 이것이 불가능함을 보여준다. 이런 불평등을 깨부수고자 하는 주인공의 선택은 무엇일까. 힘을 통한 <저항>이다. 


7.[더 플랫폼]에서는 영적 지도자와 종교적 메시지를 상징하는 장면도 나온다. 뜯어보면 뜯어볼 수록 빈부격차에 대한 다양한 우화를 만날 수 있다. 잔혹한 장면이 눈을 찡그리게 만들지만, 그럼에도 빈부격차에 대한 노골적 은유(?)를 읽는 재미가 솔솔하다. 수직감옥이라는 빈부격차에 대한 직설적 비유가 소름을 돋게 만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