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들의 행복한 시간
공지영 지음 / 푸른숲 / 2005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나는 세상일을 잊고 산다. 내가 사는 조그만 세계에 갇혀 이 세상에 얼마나 비참한 사람들이 많은지 또 억울한 사람이 많은지, 절망 속에 숨막혀 하는 사람들이 많은지.. 전혀 관심을 두지 않고 있다. 한 마디로 말해 정말로 '개인주의적'이고 '이기적'으로 내 앞가림만 하고 나 편한 대로만 살고 있다.

아주 오래전 대학 시절,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를 읽고 왠지 싫어하게 되어 버린 공지영이라는 작가가 있었다. 나도 풋내 나던 시절이었지만, 그 때 그 작품에서도 어떤 '풋내'가 나서 그 이후로 공지영에게 어떤 나쁜 선입견 같은 게 생겨 버렸었다. 나는 그 때 이후로 변한 것이 별로 없는 것 같은데, 아직도 미성숙하고 아직도 멍청하고 내가 뭘 어떻게 잘못 살고 있는지도 모르고 그냥저냥 살고 있는데. 어느새 이 작가는 이렇게 성숙해져서 이런 멋진 소설을 들고 내게 새로운 느낌으로 다가왔다.

이 소설은 재미를 주기 위해 주인공인 두 사람의 사랑 이야기를 곁들이고 있지만 - 사실 그보다는 사형 제도의 문제점을 최대한 많은 사람들에게 알리고자 하는 그런 소설이다.  어떤 사람들이 읽어도 금방 마음으로 이해할 수 있게 써서 아주 효과적으로 그 목적을 달성하고 있다. 당장 나도 이 소설을 읽고 사형 제도는 폐지되어야 해! 하고 굳게 생각하게 되었으니 말이다. 작가가 후기에서도 썼던가 - 그런 것이 바로 소설, '이야기'의 힘이라고. 그 어떤 웅변가가 할 수 있는 것보다 더 강하게 사람의 마음을 움직일 수가 있으니..

이 책이 그렇게 설득력 있는 이유는 다음과 같은 살인 제도의 쟁점이 되는 문제들을 빠짐 없이 다루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   '살인자'가 된다는 것이 과연 그 '살인자' 개인 만의 문제인가. (사실 이 부분에서 나는 개인적인 반성을 꽤 하였다.) 재판 과정에서 과연 공명정대한 판결이 내려진 것임을 확신할 수 있는가. 그리고 피해자 가족이 가해자를 '용서'하고 가해자는 자신의 잘못을 진심으로 회개했을 때, 그에게 새로운 기회를 주지 않는다는 것이 과연 옳은 일인가. 무엇보다 사람이 - 물론 '국가'라는 공권력이라고 표현하긴 하지만 - 다른 사람의 목숨을 임의로 빼앗는다는 것이 옳은가.. 등

만일 '삼양동 할머니'처럼 나의 사랑하는 사람이 살인 범죄에 희생당했다면 나도 지금처럼 무작정 사형 제도를 반대하지는 못할 지도 모른다는 생각도 든다. 하지만 적어도 이 소설을 읽고서는 사형 제도가 또 하나의 '살인'임을 부정하지는 못하겠다. 마지막에 진정으로 회개하고 사랑의 기쁨을 알게 되면서 평생 이렇게 좁은 곳에 갇혀 살아도 좋으니 살 수만 있으면 좋겠다고 하던 윤수의 모습에서, 살인 제도의 문제점을 더욱 절실히 느낄 수 있었다.

남들은 이 소설을 읽으며 많이 운다고 하는데 나는 그다지 울지는 않았다. 평소 책이나 영화를 보면서 아주 몰입 정도가 심해서 눈물이 참 많은 편임에도 불구하고 말이다. 그런데 삼양동 할머니가 - 누구보다도 못 배우고 가난한 이 할머니가 주님의 가르침대로 원수를 용서하려고 애쓰는 장면에서만은 정말 많은 눈물이 흘렀다. 절대 용서해서는 안 될 누군가를 용서할 수 있다는 것이 얼마나 아름다운 일인지, 처음으로 알 수 있었다.

사형과 관련해서 여러 가지 인용되었던 글귀들 중에서 가장 공감이 갔던 아래의 카뮈의 말. 이 소설에서 얘기하고자 하는 것을 가장 잘 뒷받침해 주는 또다른 말이 아닐까. -  "다른 품위라고는 아무것도 없으니, 오직 진실이라는 품위라도 회복할 수 있도록 이 형벌을 제 이름으로 불러서 그것이 본질적으로 어떤지 인정하자. 사형의 본질은 복수라는 것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절한 정원
미셸 깽 지음, 이인숙 옮김 / 문학세계사 / 2005년 8월
평점 :
절판


영화 <인생은 아름다워>를 보는 느낌?

괜찮은 이야기 같기도 하고. 그냥 그런 것 같기도 하고.

중고생들한테 추천해 주기엔 좋은 책이다.

책 제일 앞에 실려 있는 <옮긴이의 말>을 절대 먼저 읽어선 안 된다.

작품의 배경에 대해 너무 아는 바가 없고

모리스 파퐁이 누군지도 잘 모르겠고 해서 그에 관한 정보를 얻으려고

본 작품을 읽기 전에 <옮긴이의 말>을 먼저 읽었는데..

이 짧은 이야기를 다시 한두 페이지로 요약해 놓았다.

덕분에 책을 읽는 내내 싱거웠다. 다 아는 이야기같고.

그래서 작품에 대해 별 감흥이 없는지도 모르겠다..

이런 내용의 옮긴이의 말, 이라면 책 맨 뒤에 실었어야 하는데.

이 책을 보시는 다른 분들은 절대 옮긴이의 말을 먼저 읽지 마세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벽으로 드나드는 남자
마르셀 에메 지음, 이세욱 옮김 / 문학동네 / 2002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단편집인데, 약간 우화나 동화 같은 느낌이 드는 글들이다.
작품해설에도 있지만, 환상적인 소재를 이용하되, 일상 속의 여러 가지 문제들에 대한 날카로운 시각을 보여준다고 해야 하나..
그런 글들이다.

책제목인 <벽으로 드나드는 남자>도 좋았지만, 개인적으론 <칠십리 장화>라는 작품이 제일 감동적이었다. 그리고, <생존시간카드>는 소재 면에서 제일 흥미로웠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06-08-12 01:20   URL
비밀 댓글입니다.
 
J 이야기
신경숙 지음 / 마음산책 / 2002년 8월
평점 :
품절


음.. 그야말로 꽁트집이다.
한편당 2~3장 정도 분량의..
신경숙의 그 대책없는 감성적인 문장이 싫어서 신경숙을 그다지 좋아하지 않았는데..
이 책에선 그래도 인물들이 살아 움직인다.
어찌 보면 '좋은 생각'에나 나올 법한
이야기들도 꽤 있지만,
개중엔 날 진심으로 웃기고,
또 눈물 나게 하고, 마음 깊이 공감하게 하는
그런 얘기들이 있었다.
여자 친구에게 선물하면 좋을 것 같은 책이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06-08-12 01:18   URL
비밀 댓글입니다.
 
비 오는 날 아침, 빠리에서 죽다
F. 스콧 피츠제럴드 지음, 김소희 옮김 / 생각하는백성 / 2001년 7월
평점 :
절판


스콧 피츠제랄드의 단편집, 비오는날 아침, 파리에서 죽다 를 읽었다. 원제는 Babylon Revisited.

참 절묘한 단편들을 모아놨다. 거의 5년 전에 레이몬드 카버 단편집 읽고 나서 만난 가장 멋진 단편집이었다. 위대한 개츠비를 읽곤 에잇, 뭐가 피츠제랄드야.. 별로 멋있지도 않구만, 했었는데.. 이 책을 보고는 그 사람이 왜 유명한 작가가 되었는지, 하루키가 왜 그렇게 좋아했는지 좀 이해가 되었다고 할까.

단편에서만 볼 수 있는 예리한 상황설정이라거나, 인물 묘사, 결말의 절묘한 반전 등이 참 인상적인 글들이었다. 다들 영화의 한 장면 내지는, 좀 길게 늘여서 영화로 만들면 재밌겠다는 생각이 드는 그런 글들.

개중에서 <swimmers>를 제일 재밌게 봤다.
김소희씨 번역이었는데, 원래 피츠제럴드 글이 번역하기가 어려운 건지 번역이 서툰 건지 모르겠지만, 굉장히 어색하고 말뜻이 잘 안통하는 부분이 많았던 게 아쉬운 점이었다고나 할까. 어차피 영어 실력이 안되니 원서로 읽을 수도 없고 번역을 해준 것에 감사해야 할 따름이겠지만 말이다..
게다가 내가 싫어하는 하드커버에 컬러풀한 삽화.. -_-;; 난 종이질은 안좋아도 가벼워서 가방에 편하게 넣고 다닐 수 있는 책이 좋은데..

여튼, 강추하는 바이다.

댓글(1) 먼댓글(1)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 [책] 스콧 피츠 제랄드 단편집 (The Baby Party and Other Stories)
    from 월풍도원(月風道院) - Delight on the Simple Life 2012-01-18 20:03 
    재즈 시대를 풍미한 작가. 스콧 피츠 제랄드가 쓴 네 편의 짧은 이야기.위대한 게츠비는 들어 봤지만 읽은 기억이 없고, 벤자민버튼의 시간은 거꾸로 간다는 영화로 참 재미있게 봤습니다. 위 두 소설은 스콧 피츠제랄드가 쓴 글 중 널리 알려진 작품들이죠. ‘위대한 게츠비를 쓴 위대한 작가 피츠 제랄드는 알콜에 절어 살다가 심장마비로 죽었다.&rsqu...
 
 
2006-08-12 01:16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