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다운 페미니즘
코트니 서머스 외 지음, 켈리 젠슨 엮음, 박다솜 옮김 / 창비 / 2018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밑에 언급한 코트니 서머스의 발언이 이 책을 읽은 이유 중 하나가 될 수 있겠다.

페미니즘에 대해 너무 많이 말하고 있다고 여기는 사람들에게 전해주고 싶은 이야기.

사실 이 책에서 나에게 의미 있던 부분은 정세랑 작가의 글 정도.

대한민국에서 살아가는 여성의 짐만해도 한가득인데 제1세계의 백인 여성, 제1세계의 백인 남성이 그들이 생각하는 자라나는 페미니스트들에게 하는 이야기는 사실 가재눈을 뜨게 만드는 구석이 있다.

물론 숙지해야할 여성주의 이론과 그들의 값진 경험들이 있다는 것은 분명하고, 많이 느끼고 배우고 있지만... 사실 많이 읽었다. 다 알고 있어!라고 체하는 것이라기 보다는, 정말 필요한 글을 읽고 싶다는 생각을 더 많이 하고 있다.

그럼에도 출간되는 책들을 (전부는 아니라도) 지나칠 수 없는 것은, 역시 팔리는 분야가 되야하기 때문에 보탬이 되고 싶은 마음 때문이다.


여자아이들은 희고 무른 석고 인형으로 태어나 세상을 마주한다. 매순간 자신에게 흠집을 내려고 하고, 깨부수려고 하는 외부 환경에 대항해야 한다는 점에서 말이다. 어떤 날엔 완전히 부서져 영원히 온전한 스스로가 될 수 없을 것처럼 느껴지기도 할 것이다. 그러나 우리는 석고 인형의 상태에서 벗어나, 그 다음을 향해야 한다. 우리에게 그런 여정이 필요하다는 것은 한없이 슬프고, 한없이 벅찰지라도 참혹하고 추악한 세계에 단호히 맞서야 한다. 여자아이들이 여자아이들을 구하고, 여자들이 여자들을 구할 것이다. 다른 누구도 우리를 구할 수 없다. - 38, 정세랑

내가 쓰는 이 미약하고 미약한 글들은, 여자아이들이 더 이상 폭력을 경험하지 않는 세계를 만들기 위한 작은 화살표로 작용한다. 그것은 의미없지 않다. 이 글을 쓰는 것도 작은 화살표를 만드는 행위다. 의미 있다는 걸 아는 것으로 나는 조금 더 단단해진다. - 43, 정세랑

<올 더 레이지>가 출판되고 나서, 성폭력에 관한 이야기를 이미 썼는데 왜 또 강간 소설을 쓰냐는 투의 실망 어린 반응을 들었습니다. 이 주제에 대한 책은 “이제 충분하다.”라는 말도 여러 번 들었죠. 마치 강간을 다루는 책의 수가 정해져 있고 이미 그 숫자를 채웠다는 것처럼 얘기들 하더라고요. 왜 성폭력에 대해 쓰냐는 질문은 항상 당황스럽습니다. 소설은 원래 우리 주위 세상에서 일어나는 일을 반영하는 것이잖아요. 많은 작가가 강간에 대해 쓴다는 건, 우리가 강간 문화에서 살고 있다는 의미고요. 침묵을 지키고 모른 척하면 악순환을 깰 수 없습니다. 성가시고 마음을 불편하게 만드는 소재를 다루는 책들이 대화를 이끌어내고, 관심을 높입니다. 둘다 변화에 필수적인 것이죠. - 214, 코트니 서머스

2018. jun.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다락방 2018-07-04 15:2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는 올 더 레이지를 검색해보겠습니다.

hellas 2018-07-05 00:44   좋아요 0 | URL
저도요!:):):)
 

새책 안녕:)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유월의 책들.

물론 하루 한권은 아닙니다. 하루에 여러권 읽은 날이 쫌 있고

안 읽힌 책은 며칠걸려 읽기도 하고.

그래도 보기쉽게 주르륵 펼쳐놓으니 가득 채웠네요.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저녁이 쉽게 오는 사람에게 문학동네 시인선 105
이사라 지음 / 문학동네 / 2018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죽음 뒤에 남겨진 사람들, 죽음 이후의 무엇에 대한 시들.
그렇게 읽혔다.


괄호 속의 생은
그냥 빈 세상이 아니고
때로는 앞뒤로 닫히는 삶이 있고
그런 저녁이 있다 - 괄호 속의 생 중.


2018. jun.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정유정, 이야기를 이야기하다 - 소설은 어떻게 쓰여지는가
정유정.지승호 지음 / 은행나무 / 2018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작가 정유정의 많은 부분을 엿볼 수 있는 인터뷰집.

작업 방식에 대한 것인 가장 큰 테마 였기 때문에, 정유정의 작품을 다 읽은 사람에게는 여러모로 흥미로운 책이다.
말도 참 잘 하는 작가이다 보니, 아무래도 그 느낌이 그대로 전해졌다.

다음 작품은 올해 말이나 내년 초쯤 나올거 같다고 말하는데, 판타지에 가까운 이야기라고. 무척 기대된다.
언제나 믿고 읽는 작가:)

어느 세월에 다 읽고 글을 쓰느냐고 생각할지도 모르겠는데, 내 생각은 다르다. 직접경헙은 한계가 분명하고, 그 한계를 극복하게 해주는 게 독서다. 인간을 모르면서 인간에 대한 이야기를 쓸 수는 없는 거다. - 19

죽음이 우리 삶을 관통하며 달려오는 기차라면, 삶은 기차가 도착하기 전에 무언가를 하는 자유의지의 시간이다. 자신이 원하는 것이 무언지 알고, 원하는 것을 위해 안간힘을 다하는 시간. 내 시간 속에서 온전히 나로 사는 시간. - 25

2018. jun.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