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궁가 - 토끼야, 용궁에 벼슬 가자 사과문고 이청준 판소리 동화 50
이청준 지음, 박승범 그림 / 주니어파랑새(파랑새어린이) / 2005년 5월
평점 :
절판


토끼와 자라, 누굴 응원할 것인가?

"거기 계신 양반혹 토 선생 아니시오?"

"게 뉘시오누가 지금 이 토 선생을 불렀소!"

"방금 전에 댁이 나를 불렀소대체 당신은 누구요?"

"내가 불렀소나로 말하면 저 동해 물 속 나라 수궁에서 주부 벼슬을 하고 사는 별자 성씨의 자라 별주부라 하오그런데 토 선생 토끼가 틀림없소?"

"그렇소우리 조상도 옛날 달나라에서 장생약을 다루는 벼슬을 한 일이 있어 세상에서 흔히들 그렇게 부르지요."

 

삼국사기 '구토지설'에서 비롯되었다는 판소리 수궁가의 한 대목이다가장 흥미롭고 재미있으며 수궁가의 절정이라고도 할 수 있는 대목이라고 할 것이다교훈적이고 사회 비판적인 기능을 갖춘 우화인 동시에 속고 속이는 설화의 재미도 갖춘 지혜를 담고 있다.

 

17세기 이후 조선 후기에 등장한 판소리는 소리발림아니리로 구성된 새로운 예술분야로 자리잡았다.일반 백성에서 사대부들까지 그들의 감정과 의지사회 풍조에 대한 비판과 저항 정신을 담았다이를 소리꾼들의 소리에 의해 판을 벌려 감정과 의지를 공유하는 공간으로 활용하였다이 판소리에 담긴 조상들의 정신을 동화를 통해서 새롭게 접하고자 한다.

 

용궁 용왕이 갑작스럽게 병에 걸려 치료방법이 없던 차육지의 동물 토끼의 간이 유일한 치료약이 된다는 말을 듣고 자라가 육지로 나와 토끼를 만나 꼬득여 용궁으로 데려간다용궁에 도착한 토끼의 운명이 풍전등화 같은 신세로 전락하지만 지혜를 발휘하여 목숨을 부지하고 천신만고 끝에 다시 육지로 나온 이야기가 흐름의 중심을 차지한다.

 

토끼야용궁 벼슬가자는 판소리 수궁가를 바탕으로 작가 이청준 선생님이 새롭게 동화로 꾸몄다이야기의 맥락은 같이하나 재미와 교훈을 더 강조한 것으로 보인다주고받는 대사보다는 설명조의 이야기가 흐름을 이끌고 있다동화라고 생각한다면 어린이들이 이해하기 다소 어려운 대목도 있어 보인다.

 

우리의 자랑스런 문화유산으로 세계가 인정하여 유네스코 세계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되어 그 자치를 인정받았으니 정작 판소리의 주인이라고 할 수 있는 우리나라 내에서는 오히려 잘 알지 못하는 경우가 아닌가 한다이런 마당에 동화로 재구성된 판소리 이야기는 더 의미 있게 다가온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비를 위해 놓았다.
가지런하지 않고 틈도 있어 서로가 서로를 품을 수 있도록 허락하는 마음이어야 가능한 자리다.


사람들의 삶이 그렇듯 비를 맞이하는 마음도 제 각각이지만, 아랑곳하지않고 세심하게도 세상을 고루 적시는 이 비가 좋다.


비를 맞이하는 마음으로 산 너머에 시선이 오래도록 머무는 날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곧게 뻗어 하늘까지 닿은 마음,
내게도 곧 오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노루발'
여러날을 기다렸다. 꽃대 올라오고도 십여일이 더 지났지만 좀처럼 열리지 않던 꽃이 피었다. 그 앞에 가만히 서서 몇날을 두고 보고 또 보던 그 마음으로 눈맞춤한다. 작게 피면서도 단단한 느낌이 주는 것이 보는 이의 마음에 단아함으로 담긴다.


이름을 불러줄 수 있다는 것이 가져다준 몸과 마음의 변화다. 어디 꽃만 그려랴ᆢ.


우리나라 숲속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늘푸른 여러해살이풀이다. 잎은 뿌리에서만 자라나므로 줄기가 서지 않고 잎이 한 자리에 뭉친다.


꽃은 6∼7월에 피고 노란빛을 띤 흰색이거나 흰색이며, 간혹 분홍색도 보인다. 여러개의 꽃이 밑을 향하여 모여 달린다.


노루발이라는 이름은 한자명 녹제초鹿蹄草는 사슴발굽풀이라는 의미다. 한반도에는 사슴 대신에 노루가 흔해서인지 노루발로 바꿔 부르고 있다. 또한, 동그란 잎이 노루의 발자국을 닮았다고 하여 노루발이라고도 한다.


숲속 홀로서도 무리지어서도 이쁜 모습에서 소녀의 마음을 보았나 보다. '소녀의 기도'라는 꽃말을 가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눈맞춤의 거리'
가까이만 다가선다고 해서 모든 것을 다 자세하게 볼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무엇이든 다 알고 자세히 보고 싶은 마음에 무작정 들이대지만 경험이 쌓이면 이제 뒷걸음질 치며 거리를 두게 된다.

상대와의 알맞은 눈맞춤에는 적당한 거리가 필요함을 알게된 것이다. 그렇게해서 확보된 거리는 보다 여유롭고 편안하게 서로가 마주볼 수 있는 전재조건이 된다. 이제야 비로소 공존이 가능해진 것이다.

꽃도 사람도 자세히 봐야 이쁘듯, 기본은 거리를 좁혀 자세히 보는 것에 있다. 

그대에게 나도 그렇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